[Include(틀:안성시의 읍면동)] ||<-2> '''[[안성시|{{{#000000,#dddddd 안성시}}}]]의 [[면(행정구역)|{{{#000000,#dddddd 면}}}]]'''[br]'''{{{+1 죽산면}}}'''[br]竹山面 | Juksan-myeon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안성시 죽산면,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경기도 || || '''기초자치단체''' || 안성시 || || '''행정표준코드''' || 4080045 || || '''관할 법정리''' || 10리 || || '''하위 행정구역''' || 35행정리 94반 || || '''면적''' || 57.26㎢ || || '''인구''' || 6,795명[* 2023년 2월 주민등록인구] || || '''인구밀도''' || 118.67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안성시'''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김학용]] ,,(4선),, || ||<-2> '''경기도의원 | 제2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박명수 ,,(초선),, || ||<-2> '''안성시의원 | 다 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안정열]] ,,(3선),,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이중섭 ,,(초선),,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황윤희 ,,(초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죽산초교길 61 (죽산리 348) || || [[https://www.anseong.go.kr/csc/juksan/contents.do?mId=0100000000|죽산면사무소]] || [목차][clearfix] == 개요 == [[경기도]] [[안성시]] 남동쪽 끝에 위치한 안성시의 [[면(행정구역)|면]]이다. 과거 죽산군 지역에 해당하는 죽산면, [[일죽면]], 삼죽면의 중심에 위치해있으며, 舊 죽산군 지역의 교통의 요충지이다. 안성 시내와는 별개로, 일죽면과 함께 독자적인 [[생활권]]을 가지고 있다. 1914년 [[부군면 통폐합]] 이전 옛 죽산군 지역으로, 죽주산성 일대가 그 치소였다. 애시당초 죽산면이라는 이름 자체가 '''죽'''주'''산'''성에서 두 글자를 뽑은 것이다. 죽주산성은 [[궁예]]가 [[양길]]을 쳐부수고 한반도 북부의 패권을 틀어쥔 [[비뇌성 전투]]가 벌어진 곳으로 추정된다. 면의 북부를 흐르고 있는 죽산천은 안성의 이름을 딴 하천인 [[안성천]]의 수계가 아닌 [[한강]] 수계이며[* 죽산천은 삼죽면의 덕산저수지 부근에서 발원하여 죽산면의 북부를 지나서 일죽면에서 [[청미천]](용인시 원삼면에서 발원하여 백암면을 관통)과 합류한다.][* 청미천은 일죽면을 지나 이천시로 흘러들어 이천시 장호원읍과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의 경계를 이룬 후 여주시 점동면을 흐르다가 한강으로 합류한다.][* 안성시에서 한강 수계에 해당하는 부분은 삼죽면의 북쪽 절반(남쪽 절반은 안성천), 죽산면의 2/3, 일죽면 전체이다.], 심지어 남쪽 3개리(두교리, 칠장리, 당목리)는 [[금강]]수계이다.[* 두교리에 광혜저수지가 있다.] 하지만 지리적으로 멀기는 해도 많은 것들(교육, 여가생활, 쇼핑 등)을 안성 시내를 통해 보조받기 때문에, [[공도읍]]과는 달리 완벽히 독자적인 생활권이라고 볼 수는 없다. 경기도의 최남단 안성, 그 중에서도 가장 외곽이기 때문에 [[충청도]]의 색깔을 가지고 있는 몇 안 되는 곳이다. == 지명 유래 == 1992년 9월 이죽면(二竹面)에서 죽산면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 교통 == [[17번 국도]] === 버스교통 === 舊 죽산군 지역에서 가장 큰 터미널이 위치하고있으며 세 면의 시외교통을 담당하고있다. [[이천시]], [[용인시]], [[음성군]], [[진천군]]과 접하기 때문에 일죽면과 함께 안성시와 충청도를 연결하는 관문역할을 하고있으며 시내버스를 타고 이천시, 용인시, 음성군, 진천군을 갈 수 있다. 삼죽면-죽산면-일죽면 내부에서 운행되는 시내버스의 경우는 아래와 같다. * [[안성 버스 3]] * 안성 버스 3-1 * 안성 버스 3-2 * 안성 버스 3-3 * 안성 버스 3-4 * 안성 버스 3-5 * 안성 버스 3-6 * 안성 버스 3-7 * 안성 버스 3-8 * 안성 버스 3-9 * 안성 버스 3-11 * [[안성 버스 17]] * [[안성 버스 37]] * [[안성 버스 370]] * [[안성 버스 380]] * [[경기광주 버스 26-1]] * [[용인 버스 10-1, 101]] * [[평택 버스 8203]] 죽산터미널을 경유하는 직행버스의 행선지는 아래와 같다. * [[서울남부터미널]] * [[동서울터미널]] * [[천안시]] (온양 경유) * [[수원시]] * [[안산시]] * [[인천광역시]] * [[충주시]] * [[원주시]] * [[안양시]] * [[부천시]] * [[고양시]] * [[성남시]] * [[이천시]] * [[양평군]] * [[평택시]] (송탄 경유) * [[오산시]] * [[진천군]] ([[광혜원]]) === 도로교통 === == 상권 == 죽산 터미널부터 시작해서 두원공대까지 상권지역이 펼쳐져 있으며 바로 옆 면인 일죽면보다 인구가 적으나 시내의 규모가 더 크다. 죽산 시장은 舊 죽산군 지역에서 가장 큰 시장이며 삼죽면과 일죽면의 면민들도 찾아올 정도로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다. == 교육 == === 초등학교 === 죽산초등학교, 광선초등학교 === 중학교 === 죽산중학교 === 고등학교 === [[죽산고등학교]] == 환경 == == 주변 시설 == == 법정리 일람 == === 죽산리 === 죽산면행정복지센터, 죽산터미널, 죽산초등학교, 죽산중고등학교, 안성죽산작은도서관, 죽산시장이 있다. === 매산리 === === 장원리 === === 두현리 === === 장능리 === === 장계리 === === 용설리 === 용설저수지가 있다. === 칠장리 === [[칠장사]]가 있다. === 당목리 === === 두교리 === [[분류:안성시의 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