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조선의 별궁과 궁가)] ---- ||<-3> {{{-1 {{{#ffd700 '''조선의 별궁'''}}}}}}[br] {{{+1 {{{#ffd700 '''죽동궁'''}}}}}}'''[br]'''{{{#ffd700 '''竹洞宮'''}}}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fdf.png|width=100%]]}}} || ||<-3> {{{#ffd700 '''죽동궁 터 표지판. 다른 표지석과는 달리 벽돌기둥 사이에 안내문이 있다.'''}}}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장소=센터마크호텔, 너비=100%, 높이=100%)]}}} || ||<-2> {{{#ffd700 '''위치'''}}} || [[한성부]] 중부 관훈동[br]{{{-1 ([[서울특별시]] [[종로구]] 인사동 5길 38 관훈빌딩[* 구 [[지번주소]] [[종로구]] 관훈동 198-42.])}}} || ||<-2> {{{#ffd700 '''설립시기'''}}} || 미상 || ||<-2> {{{#ffd700 '''해체시기'''}}} || 미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932년 죽동궁.jpg|width=100%]]}}} || || {{{#gold '''1932년 죽동궁[* [[https://ko.wikipedia.org/wiki/%EC%A3%BD%EB%8F%99%EA%B6%81#/media/%ED%8C%8C%EC%9D%BC:%EC%A3%BD%EB%8F%99%EA%B6%81(19321225).jpg|사진 출처]].]'''}}} || [목차] [clearfix] == 개요 == 조선의 별궁. [[순화궁]] 터와 바로 마주하고 있다. [[조선시대|조선 후기]] [[순조]]의 [[장녀]] [[명온공주]][* [[KBS 2TV|KBS2]] [[드라마]] 〈[[구르미 그린 달빛(드라마)|구르미 그린 달빛]]〉에서 [[이영(구르미 그린 달빛)|이영]]([[박보검]] 분)의 [[동생]]이자 [[정혜성]]이 맡은 배역 명은공주의 모티브가 되는 인물이다.]와 부마 동녕위(東寧尉) 김현근(金賢根)[* 당시 세도가문이었던 [[안동 김씨]] 일원으로, [[김상용]]의 8대손이자 [[김좌진]] 장군의 친형 김경진의 양증조부이다.][* [[구르미 그린 달빛(드라마)|〈구르미 그린 달빛〉]]에서 명은공주에게 청혼한 정덕호의 [[모티브]]로 추정된다.]이 거주했던 [[궁]]이다. == 역사 == 원래 이름은 '죽도궁(竹刀宮)'이었다. 김현근이 꽤 큰 [[질병]]에 걸렸을 때 [[무당]]들이 쾌유를 기원하는 [[굿]]을 하면서 [[대나무]] [[칼]][[춤]]을 추었고, 다행히 김현근이 완치된 일화에서 유래했다. 나중에 궁명(宮名)이 죽동궁으로 변했으며 동 이름도 '죽동(竹洞)'이 되었다. 1868년(고종 5년) 김현근이 사망한 후 손자 김덕규가 머물다가 얼마 지나지 않아 [[명성황후]]의 오빠 [[민승호]]의 소유가 되었다. 1874년(고종 11년)에 [[민승호 암살 사건|민승호가 폭사한 후]]에는 민승호의 양자 [[민영익]]이 죽동궁을 상속받았다. 1914년에 [[민영익]]이 죽은 후에는 죽동궁 소유권을 놓고 분쟁이 일어났으며 민영익의 아들 민정식이 승자가 되었다. 그러나 민정식은 여러 문제로 재산을 잃은 채 [[상하이]]로 돌아갔고, 일부는 어느 [[일본인]]의 손으로 넘어갔다.[[https://ko.wikipedia.org/wiki/%EC%A3%BD%EB%8F%99%EA%B6%81|#]] 일본인의 소유로 있는 동안 민영익이 소장했던 골동품과 서화 경매가 열리기도 했다. 그리고 1930년대에 들어서는 민영휘의 서자 민대식이 주인이 되었다. [[분류:조선의 별궁과 궁가]][[분류:조선 시대의 없어진 건축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