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이탈리아의 외교]][[분류:외교공관]][[분류:한국-이탈리아 관계]][[분류:중구(서울)]][[분류:조선 시대의 없어진 건축물]] ---- [include(틀:대한제국 내의 외교공관)] [include(틀:한국-이탈리아 관계)] ---- ||<-3> [[파일:대한제국 국장.svg|width=28]] '''[[틀:대한제국 내의 외교공관|{{{#ffd800 대한제국 내의 외교공관}}}]]''' || ||<-3>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장.svg|width=9%]] [br] {{{+1 {{{#fff '''주한이탈리아공사관'''}}}}}}'''[br]'''{{{#fff '''駐韓伊太利公使館 | legazione Regno d'Italia nella Corea'''}}} || ||<-2><#fff,#12121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width=100%]]}}} ||<#fff,#12121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장.svg|width=40%]]}}} || ||<-2><#008751> {{{#fff '''국기'''}}} ||<#008751> {{{#fff '''국장'''}}}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장소=서소문동 대한항공빌딩, 너비=100%, 높이=100%)]}}} || || '''위치''' ||<-2> '''[[서울특별시]] [[중구(서울특별시)|중구]] [[서소문로]] 117''' || || '''상급기관''' ||<-2> '''이탈리아 왕국 외무부''' || || '''영사관 설립''' ||<-2> '''1901년''' || || '''공사관 승격''' ||<-2> '''1903년''' || || '''공사관 폐쇄''' ||<-2> '''1905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탈리아공사관.png|width=100%]]}}} || || {{{#fff '''서소문에 있었던 이탈리아 공사관'''}}}[* [[http://www.seoulstory.kr/front/kor/story/view.do?searchCondition=0&searchKeyword=%EC%9D%B4%ED%83%88%EB%A6%AC%EC%95%84+%EA%B3%B5%EC%82%AC%EA%B4%80&sStatus=9&sDivi=0&sTag=&pageIndex=1&idx=3750|사진 출처 - 서울스토리.]]] || [목차] [clearfix] == 개요 == [[서울특별시]] [[중구(서울)|중구]]에 있었던 [[이탈리아 왕국]]의 옛 [[공사관]]이다. == 역사 == 1884년([[고종(대한제국)|고종]] 21년) 6월에 [[조이수호통상조약]]의 체결로, [[조선]]과 [[이탈리아 왕국|이탈리아]]는 [[한국-이탈리아 관계#s-2.2|외교관계를 맺었다.]] 그러나 이탈리아 정부는 [[한성부|한성]]에 상주할 [[외교관]]을 파견하지 않았으며 [[외교공관]]도 짓지 않았다. 그리고 한동안 외교 및 통상 업무를 [[영국]]공사관에게 대신 맡겼다.[[http://www.seoulstory.kr/front/kor/story/view.do?searchCondition=0&searchKeyword=%EC%9D%B4%ED%83%88%EB%A6%AC%EC%95%84+%EA%B3%B5%EC%82%AC%EA%B4%80&sStatus=9&sDivi=0&sTag=&pageIndex=1&idx=375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곤당골 이탈리아공사관.png|width=100%]]}}} || || {{{#fff '''곤당골에 있었던 이탈리아 공사관'''}}}[*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OrgFilePopup.do?cp_code=cp0710&index_id=cp07100181&content_id=cp071001810087511&content_seq=6|사진 출처 - 문화콘텐츠닷컴.]]] || 그러다 [[대한제국]] 수립 후인 1901년([[광무]] 5년) 12월에야 비로소 상주 [[영사]]로 프란체세티 디 말그라 [[백작]][* Count Ugo Francesetti di Malgra, 한문 이름: 불안사서덕(佛安士瑞德). 1877 ~ 1902.]을 파견했고 [[영사관]]도 개설했다. 처음에는 곤당골에 있는 [[미국인]] [[목사]] 사무엘 무어[* Samuel Forman, Moore, 한국 이름 모삼열(牟三悅). 1860 ~ 1906. 현재 승동교회의 전신인 곤당골교회를 세운 사람이다.]가 살던 집(지금의 [[을지로|을지로 1가]] [[롯데호텔]] 자리)을 영사관으로 사용하다 나중에 서소문동 41번지(지금의 [[대한항공]] 빌딩 자리)[* 도로명주소: [[서소문로]] 117.]로 옮겼다.[[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_id=CP_THE001&cp_code=cp0710&index_id=cp07100181&content_id=cp071001810087511&search_left_menu=3|#]] 말그라 영사는 1902년(광무 6년)에 [[장티푸스]]로 요절했고, 후임으로 그의 친구이자 현역 [[해군]] [[중위]]였던 카를로 로제티[* Carlo Rossetti. 1876 ~ 1948.]가 부임했다. 로제티 영사는 1903년(광무 7년) 5월에 [[이탈리아 왕국|이탈리아]] 정부의 명으로 영사관을 [[공사관]]으로 승격시켰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서소문 대한항공.png|width=100%]]}}} || || {{{#fff '''서소문 이탈리아 공사관 터에 자리한 대한항공빌딩[* 사진 출처 - 카카오맵.]'''}}} || 1905년([[광무]] 9년) 11월에 [[일본 제국|일제]]가 [[을사조약|을사늑약]] 체결로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강탈하여 한국과 [[이탈리아 왕국|이탈리아]]의 [[국교]]는 끊겼다. 이탈리아공사관은 다시 [[영사관]]이 되었다. 〈[[황성신문]]〉에 따르면 1908년([[융희]] 2년) 5월에 [[돈의문]] 밖[* 원문은 '서문(西門) 밖'이다.] [[미국]] [[선교사]] 쓰레왓도의 옛 집터로 영사관을 이전했다고 하는데, 정확한 위치는 알 수 없다.[[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_id=CP_THE001&cp_code=cp0710&index_id=cp07100181&content_id=cp071001810087511&search_left_menu=3|#]] 1910년([[융희]] 4년) 1월에 이탈리아영사관은 문을 닫았고, 기능은 [[영국]]영사관이 위임했다. [[경술국치]] 이후인 1919년 9월에 [[이탈리아 왕국|이탈리아]] 정부에서는 주 [[경성부|경성]][* [[일제강점기]] 시절 [[서울]] 이름.] 이탈리아 [[영사]]로 체자레 티리오로를 부임시키면서 이탈리아영사관은 부활했다.[[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_id=CP_THE001&cp_code=cp0710&index_id=cp07100181&content_id=cp071001810087511&search_left_menu=3|#]] 그러나 1년 뒤에 티리오로 영사가 이탈리아로 가면서 영국영사관에 다시 업무를 넘겨주었다.--영국 없었으면 어쩔 뻔했냐-- 이후 이탈리아 영사와 영사관에 대한 기록은 찾을 수 없다.[[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_id=CP_THE001&cp_code=cp0710&index_id=cp07100181&content_id=cp071001810087511&search_left_menu=3|#]] [[8.15 광복]]과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인 1956년에 [[한국-이탈리아 관계|한국과 이탈리아는 다시 수교했으며]] 1957년 양국의 외교 공관을 공식적으로 복원했다. 현재 주한이탈리아대사관은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대로 98 ([[한남동]])에 있다. == 건물 == == 여담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꼬레아 에 꼬레아니 책.png|width=100%]]}}} || || {{{#fff '''《꼬레아 에 꼬레아니 : 사진해설판》 표지'''}}} || 이돈수와 이순우가 공동 집필하고 출판사 하늘재에서 펴낸 책 《꼬레아 에 꼬레아니 : 사진해설판》에서 이탈리아공사관 및 1900년대 초반 [[서울특별시|서울]]의 모습을 자세히 볼 수 있다. 표지에 보이는 서양식 건물이 바로 이탈리아공사관이다. == 같이보기 == * [[주한이탈리아대사관]] * [[한국-이탈리아 관계]] [각주]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서울 구 벨기에영사관, version=14, paragraph=3, title2=주한이탈리아대사관, version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