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주한미군)] [목차] == 규모 == * 2019년 기준 28,500명[[https://news.v.daum.net/v/20190524100519928|#]][* 그런데 2017년 기준으로는 23,000명이었다.[[https://news.v.daum.net/v/20180515144605321|#]] 순환배치에 따른 결과인 듯.] * 한편 2019년 미국 [[국방수권법]](1년 한시법)[[https://news.v.daum.net/v/20181226161606998|#]]에 따라 [[주한미군]]을 22,000명 이하로 축소시키려면 [[미국 의회]]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https://www.voakorea.com/amp/4393536.html|#]] 그러나 주한미군은 약 6,000명(1개 여단 규모)이 순환 배치된다. 미국이 순환 배치를 활용하면 이 규정을 무력화 시킬 수 있다.[[https://news.v.daum.net/v/20181225153740277|#]] 순환 계획에 따라 미국으로 돌아간 부대를 대체할 부대의 한국 배치를 지연시키며 한국을 압박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 2019년 1월 30일 미국 의회는 [[주한미군]]을 22,000명 이하로 감축하는 것은 북한 핵폐기 완료 전엔 안되도록 하는 법안을 발의하였다. 이들은 [[주한미군]] 감축에 들어갈 비용 지원을 제한하고 이를 어렵게 만드는 법안을 발의했다. 국방수권법([[NDAA]]) 보다 한발 더 나간 셈이다. 현지 소식통들은 민주-공화 양당이 공동으로 법안을 발의한 데다 미 의회 내에서 주한미군 감축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워낙 높다는 점을 감안할 때 법안 통과에 별다른 장애물이 없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https://news.v.daum.net/v/20190201030035117|#]] * 2020 회계연도 국방수권법안에 따르면 현재 [[주한미군]] 규모와 동일한 28,500명으로 상향되었다.[[https://news.v.daum.net/v/20190524100519928|#]]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2934568|<그래픽> 세계 주둔 미군 현황(종합)]] * 한편 전국 각지의 주한미군 부대에는 한국인 근로자 12,000여 명이 시설 관리, 전투 지원, 금융, 의료서비스 등 업무에 종사한다.[[https://news.v.daum.net/v/20181214044554670|#]] === 본부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USFK_Logo.svg.png]] [[유엔군사령부]], [[한미연합군사령부]], [[주한미군]]사령부가 해당된다. [[미합중국 인도-태평양사령부]] 예하이다. ||<-2> 주한미군사령관[br]UN군사령관[br][[한미연합군사령관]] ||<-2> 주한미군 부사령관[br]미공군 제7공군사령관[br]한미연합군 공군구성군사령관 || ||<-2> [[파일:미 육군대장 Paul J. LaCamera.jpg|width=200]] ||<-2> [[파일:Scott_L_Pleus.jpg|width=200]] || ||<-2> [[폴 라카메라]] 육군 [[대장(계급)|대장]] ||<-2> 스콧 L. 플레우스 공군 중장 || || 미육군 제8군사령관[br]한미연합군 [[참모장]][br]한미연합군 지상군구성군 부사령관 ||<-2> 주한미군 참모장[br]UN군 참모장 || 주한미군 [[주임원사]][br]한미연합군 주임원사[br]UN군 주임원사 || || [[파일:벌레슨 중장.jpg|width=200]] ||<-2> [[파일:미 육군준장 John Weidner.png|width=200]] || [[|width=200]] || || 윌러드 벌러슨 육군 [[중장]] ||<-2> 존 W. 와이드너 육군 [[준장]] || 잭 H. 러브 육군 [[원사(계급)|원사]] || * 본부: 주한미군사령부와 유엔군사령부는 [[USAG 험프리스]]로 이전, 한미연합군사령부도 입주할 예정이다. === 주한미군 육군 [[제8군]]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ighth_US_Army_-_Korea.png]] [[제8군]] 조직도 || [[파일:벌레슨 중장.jpg|width=70%]] || || [[파일:조용근 준장.jpg|width=100%]] || || || || 제8군사령관 || 제8군부사령관-Sustainment || 제8군부사령관(한국군측) || 제8군부사령관-작전 || 제8군주임원사 || || 윌러드 벌러슨 [[중장]] || 마이클 D. 로치 준장 || [[조용근(군인)|조용근]] 준장 || 트레버 J. 브레덴캠프 준장 || 로버트 H. 콥 원사 || * 본부: 원래는 [[용산기지]]에 있었다가 평택으로 이전. 기존 용산기지 내 건물은 폐쇄되었다. * 예하 부대: 제8군본부대대, 제2보병사단(한미 연합사단), 제19지원사령부, 제1통신여단, 제2전투항공여단, 제35방공포병여단, 제65의무여단, 제106의무대, 제501정보여단, 미 육군 한국근무단, [[공동경비구역|JSA]] 경비대대, 미 공병대 극동지부, 제8군 군악대, 제8군 부사관교육대 등 * 육군 총 인원 약 17,146명 ==== [[제2보병사단(미국)|제2보병사단/한미연합사단]] ==== || 제2보병사단장/한미연합사단장 || 제2보병사단/한미연합사단 지원부사단장 || 제2보병사단/한미연합사단 기동부사단장 || 한미연합사단 한측부사단장 || 제2보병사단/한미연합사단 참모장 || 제2보병사단/한미연합사단 한측참모장 || 제2사단주임원사 || || 윌리엄 D. 테일러(William D. “Hank” Taylor) [[소장(계급)|소장]] || 브랜든 앤더슨(Brandon Anderson) [[대령]] || 로버트 S. 브라운(Robert S. "Todd" Brown) [[대령]] || [[김정혁(육군)|김정혁]] [[준장]] || 웨이드 A. 저먼(Wade A. Germann) [[대령]] || 김기환 [[대령]] || 케네스 R. 프랑코(Kenneth R. Franco) [[원사(계급)|원사]] || * 본부: 캠프 레드 클라우드에서 캠프 험프리스로 이전 * 예하 부대: 본부대대, 순환기갑여단, 제2전투항공여단, 제210화력여단, 제2지원여단 등 ==== 제19원정지원사령부 ==== [[파일:Simerly.jpg|width=30%]] * 제19원정지원사령부 사령관: 마크 T. 시멀리 [[준장]] * 제19원정지원사령부 주임원사: 라데릭 그린 [[원사(계급)|원사]] * 본부: 캠프 헨리 * 예하 부대: 본부중대, 501지원여단, 주한물자지원단, 175재정관리소, 94군사경찰대대 등. * 각 미군 기지를 관리하는 기지사령부 등 일부 주한미육군 부대들은 미8군 예하가 아닌 IMCOM-Pacific 예하이다. === 주한미군 공군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40px-Seventh_Air_Force_-_Emblem.png]] 주한미군 공군([[제7공군]]) 수뇌진이다. || [[파일:Scott_L_Pleus.jpg|width=200]] || || || || [[사령관]] 스콧 L. 플레우스 (Scott L. Pleus) [[중장]] [[https://www.7af.pacaf.af.mil/About-Us/Biographies/Display/Article/833946/lieutenant-general-kenneth-s-wilsbach/|소개]] || 부사령관 라이언 P. 키니 (Ryan P. Keeney) [[준장]] [[https://www.7af.pacaf.af.mil/About-Us/Biographies/Display/Article/3044315/ryan-p-keeney/|소개]] || [[주임원사]] 제리미아 W. 로스 (Jeremiah W. Ross) [[원사(계급)|원사]] [[https://www.7af.pacaf.af.mil/About-Us/Biographies/Display/Article/3467793/jeremiah-w-ross/|소개]] || * 본부: [[오산 공군기지]] 아래에도 언급되어있지만, 실제 소재지는 [[오산시]]가 아니라 [[평택시]]이다. * 약 8,815명 * 제51전투비행단 - 오산공군기지(테일코드는 OS) * 제36전투비행대대 * 제25전투비행대대 * 제5정찰비행대대 * [[제8전투비행단(주한미군)|제8전투비행단]] - 군산공군기지 (테일코드는 WP) * 제80전투비행대대 * 제35전투비행대대 과거엔 광주공군기지에서 제90전투비행대대가 배치됐던 적이 있었다. [[http://bemil.chosun.com/nbrd/bbs/view.html?b_bbs_id=10044&pn=0&num=30150#none|광주공군기지의 F-15E]] === 주한미군 해군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Official_CNFK_Command_Crest_2010.jpg]] [[파일:external/c3.staticflickr.com/24911791090_a1176402c2_k.jpg|width=600]] Commander, U.S. Naval Forces Korea(CNFK) CTF-78 주한미군 해군(미 [[제7함대]] 한국 분견대)은 7함대의 일부이다. [[주일미군]]과 달리 한국에서 [[미 해군]]의 규모는 작다. || || || || || 사령관 || 부사령관 || 주임원사 || || 닐 A. 코프로스키(Neil A. Koprowski) 대령 || 제임스 R 말로네(James R. Malone) 대령 || 니콜라스 메시나(Nicholas Messina) 원사 || * 본부: [[부산 해군기지]] * 약 274명 === 주한미군 해병대 === [[파일:external/www.globalsecurity.org/usmarfork.gif]] U.S. Marine Corps Forces, Korea(MARFORK) 주한미군 해병대 역시 [[주일미군]]과 교류가 잦다. [[오키나와]] 등으로 예전부터 [[대한민국 해병대]] 인원을 보내 교육시키기도 했다. || || || || 사령관 || 주임원사 || || 윌리엄 E. 소우자(William E. Souza III) [[소장(계급)|소장]] || 헥터 J. 소토로드리게즈(Hector J. Soto-Rodriguez) 원사 || * 본부: [[USAG 험프리스]] * 약 242명 === 주한미군 우주군 === [[파일:United_States_Space_Forces_Korea_emblem.png|width=200]] United States Space Forces Korea (USSFK) 2022년 12월 14일 창설된 부대 주한미우주군 지휘관: 조슈아 맥컬리언 중령 === [[미합중국 특수작전사령부|주한특수작전사령부]]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80px-Special_Operations_Command_Korea.png]] Special Operations Command Korea (SOC-K) [[한반도]]에서의 [[특수전|특수작전]]에 관련된 모든 사항을 담당하고 미 본토의 [[미합중국 특수작전사령부]] 및 예하 사령부와의 연락을 위한 기능적 구성 권역특수작전사령부. 구성군사령부가 아닌 권역 특수작전사령부인만큼, 한반도로 파병온 육/해/공/해병 [[미합중국 특수작전사령부|미군 특수작전부대]]를 총괄하고 지원해주는 합동군 체계다. * 사령관: 데릭 N. 립슨(Derek N. Lipson) 육군 [[준장]] * 본부: [[USAG 험프리스]] * 규모: 기밀 === 기타 === * 주한 [[미8군]]에 있는 [[대한민국 육군]] 소속인 [[카투사]] 2,609명과 [[군무원]]은 제외한 것이다. == 여담 == * [[2015년]] 12월 1일에 전시작전권이 환수되면, [[한미연합군사령부|한미연합사]]가 폐지에 따라 [[카투사]] 제도도 함께 폐지된다는 루머가 있다. 그러나 카투사는 [[한미연합군사령부|한미연합사]] 소속이 아니라 [[육군인사사령부]] 직할부대이며, 한미연합사가 창설되기 전에 카투사 제도가 먼저 있었다. 따라서 한미연합사가 폐지됨과 동시에 카투사 제도가 폐지된다는 것은 잘못 알려진 이야기이다. 애초에 전시작전권이 회수된다고 주한미군이 사라지는게 아닌데 한미 양국간 군사협력에 --값싸고 훌륭한 노동력을 제공하는-- 지대한 공헌을 하는 카투사를 폐지할 이유가 전혀 없다...... 물론 주한미군이 철수한다면 카투사도 폐지될 것이다. * [[2011년]] 4월 19일, [[대한민국 국방부]]는 "언론이 보도한 미측 보고서에 나오는 병력 규모는 실제 병력이 아니라 시설 수용 규모를 기준으로 집계한 것일 뿐 실제 병력 규모와는 무관하다."라고 밝혔다. [[http://media.daum.net/politics/dipdefen/view.html?cateid=1068&newsid=20110419161054769&p=govpress|국방부, 주한미군 28,500명 유지 재확인. '공감코리아'. 2011.4.19]] * 과거 계획으로는 [[2012년]] 4월에 대한민국의 전시작전권 환수 시점까지는 현 수준으로 동결하다, 이후 [[2017년]]까지 16,285 ~ 16,764명. 그 이후로는 1,000여 명 혹은 수십여 명만 남기는 방안도 있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21&aid=0000069809|주한美육군 1,000명만 남을 수도]] 결과적으로 보면 2015년 기준으로 더는 한국에 고정적으로 배치되는 미 지상군이 없게 되어 이 플랜은 제한적으로 실행되었다. * 유사 시 [[대한민국]] 방위를 지원하기 위해 투입되는 [[미군]] 증원전력은 [[미국 육군]]·[[미국 해군]]·[[미국 공군]]과 [[미국 해병대]]를 포함하여 [[병력]] 약 69만 명, [[함정]] 약 160 척, [[항공기]] 약 2,000 대의 규모로 알려져 있었지만, 최근 미국은 국방예산을 절약하기 위해 최근 지상전력과 1차 대응 전력은 한국이 맡고 미군은 해공군 위주로 10~20만 정도만 지원하는 쪽을 추진하고 있다. * [[세탁]]·[[배식]]·시설보수 등 [[허드렛일]]을 포함해 미군 기지 내 240여 종 업무에서 13,000여 명의 [[한국인]]들이 일하고 있다. 그 외에도 군무원으로서 일하거나 기지 내 상점이나 식당[* 군인 식당이 아닌 [[파파이스]]나 [[버거킹]], [[스타벅스]] 등의 상용 프랜차이즈 식당을 말한다.] 등에서 일하고 있는 한국인들도 있다. == 한미 방위비(주한미군 운영경비)분담금 == *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금은 [[2018년]] 기준 9,602억원 이었다. [[http://media.daum.net/politics/dipdefen/view.html?cateid=1068&newsid=20120106184408014&p=segye|#]] * [[2004년]]에는 6,601억원, [[2005년]]과 [[2006년]]에는 6,804억 원, [[2007년]] 7,255억 원, [[2008년]] 7,415억 원, [[2009년]] 7,600억 원, [[2010년]] 7,904억 원이었다. * [[환율]]은 [[2000년]] 1,200원, [[2001년]] 1,100원, [[2002년]] 1,300원, [[2003년]] 1,200원, [[2004년]] 1,200원 [[http://kostat.go.kr/wnsearch/search.jsp|통계청 통합검색 통계DB '방위비분담금현황 : 방위비 분담금 지원현황']] [[http://mnd.go.kr/mndInfo/publication/policyDataBook/policyDataBook_1/2010year/index.jsp|국방부 국방정보공개 간행물 정책자료집 중 '2010 국방백서 국문판 전체'-제3절 주한미군의 안정적인 주둔여건 보장 71쪽']] * [[2005년]]부터 [[대한민국 국방부|국방부]] 참여 하에 [[외교통상부]]가 주관하고 있다. 방위비 분담금은 [[2004년]]까지 [[미국 달러|달러]]와 원화를 함께 지불하다가 [[2005년]] 이후 전액 원화로 지불하여 [[환율]] 변동의 영향 없이 안정적인 예산 운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 매년 [[대한민국]]의 분담 비율이 증가되고 있다. [[1987년]] 제 19차 한미연례안보협의회의([[SCM]])이후 [[1990년]] 3,000만 달러, [[1991년]] 4,000만 달러, [[1992년]] 5,000만 달러. 이에 따라 [[대한민국]]의 군사비를 [[GNP]]의 6%로 책정하였다. * 한미 양국은 [[2008년]] 12월 [[2009년]] 이후 방위비 분담금 결정에 적용할 새로운 협정에 합의하였고, 이 협정은 [[2009년]] 3월 [[국회]] 비준 동의를 받아 발효되었다. 2009년부터 [[2013년]]까지 5년을 유효기간으로 하는 이 협정은 연도별 방위비 분담금을 전전년도 소비자 물가지수를 반영하여 인상하되 최대 4%를 넘지 않기로 하였다. 이에 따라 2009년 7,600억 원([[2007년]] 물가 상승률 2.5% 적용), [[2010년]] 7,904억 원([[2008년]] [[물가]] 상승률이 4.7%이나 상한선인 4% 적용)을 부담하게 되었다. * [[2000년]]도 기준 18억 9,500만 달러로, 42%이다. [[독일]]의 경우 57억 6,700만 달러(21%), [[일본]]의 경우 63억 3,200만 달러(79%)이다. [[http://mnd.go.kr/mndInfo/publication/policyDataBook/policyDataBook_4/index.jsp|국방부 국방정보공개 간행물 정책자료집 중 '한미동맹과 주한미군']] * 방위비 분담금 지원 항목 ([[2010년]] 기준) * [[인건비]]: 주한미군이 고용한 [[한국인]] 고용원에 대한 인건비 * 군사건설: 주한미군용 시설 건설 * 군수지원: 주한미군 [[탄약]]저장, 항공기 정비 등 용역 및 물자지원 * Cato Institute의 더그 밴도(Doug Bandow)의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정부가 [[주한미군]]에 쓰는 비용은 1년마다 약 150억 달러라고 한다(1998년 기준). [[https://www.cato.org/pubs/pas/pa-308.pdf|#]] 150억 달러는 [[1998년]] [[환율]] 기준으로 약 21조원이다. 그와 비교해 [[대한민국 국방부]]의 [[1998년]] [[국방예산]]은 약 14조 원이었다. * [[대한민국 국군]]의 국방비는 [[2019년]] 기준 46조 6,972억 원이다. [[GDP]] 대비 2.51%, 정부재정대비 14.1%이다. [[http://mnd.go.kr/mndInfo/publication/policyDataBook/policyDataBook_1/index.jsp|국방부 국방정보공개 간행물 정책자료집 중 '2010 국방백서 국문판 부록']] == 주한미군 부대 == [[주한미군/부대]] 문서로. [[분류:주한미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