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 내의 외교공관)] [include(틀:한독관계)] ---- ||<-2> [[파일:독일 국장.svg|width=9%]] [br] {{{+1 {{{#fff '''대한민국 주재 독일연방공화국 대사관'''}}}}}}'''[br]'''{{{#fff '''Botschaft 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 in Korea'''}}}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주한독일대사관.jp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장소=주한독일대사관, 너비=100%, 높이=100%)]}}} || || {{{#fff '''위치'''}}} || '''[[서울특별시]] [[중구(서울특별시)|중구]] 한강대로 416 [br] [[서울스퀘어]] 8층''' || || {{{#fff '''업무 시간'''}}} || '''월, 화, 목요일: 오전 9:00~11:30 [br] 수요일: 오후 2:00~4:30 [br] 금요일: 오전 8:30~11:00 ''' || || {{{#000 '''상급기관'''}}} || '''독일 외무청''' || || {{{#000 '''공관장'''}}} || '''게오르크 빌프리트 슈미트 (Georg Wilfried Schmidt)''' || || {{{#000 '''링크'''}}} || [[http://www.seoul.diplo.de/Vertretung/seoul/ko/Startseite.html|[[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GermanyinKorea, 크기=20)] [[https://www.facebook.com/GermanEmbassySeoul|[[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https://www.instagram.com/germanyinkorea/|[[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eutschebotschaftlogo.jpg|width=100%]]}}} || [목차] [clearfix] == 개요 == [[독일연방공화국]]이 [[대한민국]]에 설치한 외교공관. == 역사 == 1883년에 [[조독수호통상조약]]을 통해 조선과 독일 제국이 외교를 수립한 게 최초였다. 1905년 [[을사조약]] 이후 [[대한제국]]의 외교권이 박탈되면서 나라 대 나라 간 수교는 끊어졌지만 경성에 두었던 [[주한독일공사관|영사관]]은 유지하다가, 그마저도 1차 세계대전이 일어나 일제가 독일 제국에 선전포고하며 철수하였다. 이후 1928년 바이마르 공화국에서 경성에 영사관을 다시 설치하였다. 한독 간 외교관계는 1955년에야 복원되어 이듬해 서독의 리하르트 헤르츠(Richard Hertz, 1898-1961)가 초대 대사로 부임하였다. [[냉전]] 시기에 몇 안 되는 [[분단국가]]였던 탓에 이로 인해 동질감이 높은 편이었다. 반면, [[공산권]]에 속하던 [[동독]]과는 당연히 [[미수교국|미수교]] 상태였다. 다만, [[1990년]] [[사회주의통일당]] 정부 붕괴 이후에도 [[동서독 통일]]은 근시일 내에 이루어지지 않을 것이라고 판단한 양국 외교 관계자가 동독 자유선거를 계기로 상호 수교를 합의한 바 있었지만, 단 6개월만에 동독이 서독에 흡수되는 형태로 통일이 이루어지면서 끝내 수교가 이루어지지는 않았다. 한국과 활발한 교역을 펼치고 있으며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강국임에도 불구하고 이례적으로 독립된 대사관 건물을 쓰지 않고 있다. 과거에는 독립된 대사관 건물을 갖고 있었으나[* 당시의 대사관 건물은 현재 주한[[모로코]]대사관이 쓰고 있다.], 2014년 9월 [[서울스퀘어]]로 이전하였다. 주소는 [[서울특별시]] [[중구(서울)|중구]] [[한강대로]] 416 8층 (남대문로5가, 서울스퀘어)이다. 같은 건물에는 주한[[덴마크]]대사관, [[주한 에스토니아 대사관|주한에스토니아대사관]], [[주한유럽연합대표부]]가 위치해 있다. 아이러니하게도 남산의 대사관 산하 주한독일문화원의 경우 자체 건물을 운영하고 있다.[* 1978년에 완공된 건물로 연식이 꽤 된 건축물이다. [[후암동]]의 소월로변 경사면에 지어진 건물로, 주출입구인 소월로 쪽에서 보면 작은 1층 건물같지만 그곳이 8층이고, 아래쪽 경사부로 건축물이 계단식으로 낮아져 후암동 쪽으로도 출입구가 이어지는 독특한 형태다.] 영사관은 따로 없지만 [[부산광역시]] [[동구(부산)|동구]]에 명예 영사관을 두고 있다. 한국해양대 항해융합학부 정진성 교수가 명예영사를 겸직하고 있다. 부산역 뒤에 위치한 협성마리나G7 A동 숙박용 건물에 위치해 있다. == 대사 == 2023년 기준으로 게오르크 빌프리트 슈미트(Georg Wilfried Schmidt) 대사가 재임 중이다. == 여담 == 영화 [[몰락/패러디|몰락의 수많은 패러디]]가 혹시 나치 우상화로 문제가 되지 않느냐고 질문하자 페이스북을 통해 패러디의 내용은 어디까지나 히틀러와 나치의 희화화가 목적이기에 독일의 나치 관련 법률에 저촉되지 않는다고 답변한 바 있다. 산하에 [[https://www.goethe.de/ins/kr/ko/m/index.html?wt_sc=seoul_|'괴테 인스티튜트']]라는 문화원이 있다. 소재지는 서울, 부산, 대구, 광주, 대전. == 관련 항목 == * [[한독관계]] [[분류:독일의 외교]][[분류:대한민국의 외교]][[분류:한독관계]][[분류:외교공관]][[분류:서울스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