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영어로는 Radio Band, 혹은 Frequency Band라고 한다. 전파대역, [[주파수]] [[밴드]]라고도 하다. A밴드와 B밴드 경계상에 뭔가 대단한 차이가 있는 것은 아니며 그저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나눠놓은 것이다. [[레이더]]나 [[무전기]] 같은 군용 장비에도 이에 대한 설명이 종종 나오는데, 보통 IEEE코드 및 NATO 표준 코드 중 하나로 표기하거나 둘을 섞어 쓴다. 몇 몇 밴드는 서로 이름이 비슷해서 사람 헷갈리게 만든다. == [[ITU]] 표준 대역 == 통신용으로 규정된 주파수 대역. 1930년대에 시작된 만큼 굉장히 오래된 주파수 대역 구분이다. 민간용 통신장비는 현재도 이 주파수 대역 구분을 주로 사용하나, 고주파수 대역을 주로 쓰는 군용 레이더, 통신장비는 좀 더 세분화를 위하여 다른 주파수 대역을 쓰기 시작한다. 다만 UHF, VHF 같은 대역은 군용에서도 워낙 드물게 사용하므로 그냥 이 ITU 대역 구분법을 따와서 표시하기도한다. 이름 짓는 법은 심플하다. LF는 Low Frequency, MF는 Medium Frequency, HF는 High Frequency이며 VHF, UHF, SHF, EHF, THF는 각각 Very, Ultra, Super, Extremely, Tremendously HF의 약자이다. || 밴드 || 주파수 || 파장 범위 || 기타 || || VLF밴드 || 3~30 kHz || 100~10 km || || || LF밴드 || 30 kHz~300 kHz || 10~1 km || || || MF밴드 || 300 kHz~3000 kHz || 1~0.1 km || || || HF밴드 || 3~30 MHz || 100~10 m || || || [[VHF]]밴드 || 30~300 MHz || 10~1 m || || || [[UHF]]밴드 || 300~3000 MHz || 1~0.1 m || || || SHF밴드 || 3~30 GHz || 10~1 cm || || || EHF밴드 || 30~300 GHz || 1~0.1 cm || || || THF밴드 || 300~3000 GHz || 1~0.1 mm || || == [[IEEE]] 표준 대역 == 말 그대로 IEEE에서 설정한 주파수 대역. 시초는 2차대전 중 미군이 자국의 통신/레이더용 주파수를 분류하면서 만든 것이다. 일종의 기밀자료로서 만든 것이다보니 알파벳이 순서대로 되어있지 않고 중구난방인것이 특징(다만 뭔가 의미가 있기는 하다). 본래는 각 밴드에 따라 다시 첨자를 붙여서 세분화하기도 하였으나 현재는 K밴드 이외에는 이러한 구분은 없다. K밴드의 경우에는 이보다 약간 높다하여 Ka(above), 낮은 밴드는 Ku(under), 전쟁 이후에도 이 구분에 대한 상세 내용을 제대로 공개하지 않았으나 이미 많은 미국내 업체들이 이 분류에 따라 서로 제품과 기술자료를 만들었고, 결국 미국내에서 광범위하게 쓰다보니 [[IEEE]]에서 기존 ITU 표준에서 쓰던HF, UHF, VHF를 덧붙여 표준으로 정했다. 협회 표준대역 답게 해당 대역을 실험하기 위한 [[도파관]] 규격 역시 정해져있다. 최근 군용 레이더의 경우 갈 수록 주파수가 높게/낮게 넓어지다 보니 일부는 IEEE를 벗어나고, 이 때문에 [[NATO]]와 미군은 군용 레이더용 주파수 대역을 따로 설정하기에 이르렀다. || 밴드 || 주파수 || 파장 범위 || 기타 || || HF밴드 || 3~30MHz || 100~10m || || || VHF밴드 || 30~300MHz || 10~1m ||윈드 프로파일러(대기권-중간권 하부)에 사용 || || UHF밴드 || 0.3~1GHz || 1~0.3m ||대기경계층 윈드 프로파일러에 사용 || || L밴드 || 1~2 GHz || 30~15cm ||'''L'''ong, [[NOAA]] 윈드 프로파일러, ATC 레이더에 사용 || || S밴드 || 2~4 GHz || 15~7.5cm ||'''S'''hort, 장거리(~100km) 강수 관측 || || C밴드 || 4~8 GHz || 7.5~3.8cm ||'''C'''ompromise(S와 X사이라는 의미, 중거리(~60km) 강수 관측.[br]INMARSAT(국제 해상 통신)에 주로 쓰인다. 주파수가 비교적 낮아 신호 효율이 좋기 때문이다. || || X밴드 || 8~12 GHz || 3.8~2.5cm ||사격통제장치에 많이 쓰여서 십자조준기를 본땀, 단거리(~30km) 구름, 강수 관측, [[X-Band 레이더]] 등에 사용. || || Ku밴드 || 12~18 GHz || 2.5~1.7cm ||'''K'''urz-'''u'''nder, TRMM PR, GPM PR (dual freq.)에 사용.[br]민간용 통신 혹은 위성 방송이 주로 사용하는 대역이다. Skylife도 Ku Band 이용 || || K밴드 || 18~27 GHz || 1.7~1.1cm ||'''K'''urz, 독어로 (파장이) '짧다'는 의미 || || Ka밴드 || 27~40 GHz || 1.1~0.75cm ||'''K'''urz-'''a'''bove, 롱보우 아파치의 레이더에 이용. 해상도가 상대적[* 레이더의 절대적 크기가(그리고 출력이) 워낙 작아서 군함의 레이더에 비할 바는 못 된다.]으로 높지만 거리가 매우 짧다 || || V밴드 || 40~75 GHz || 7.5~4mm ||'''V'''ery High || || W밴드 || 75~110 GHz || 4~2.7mm ||V 다음 문자, 구름, 강수 관측 || || M밴드 || 110~300 GHz || 2.7~1mm || || == [[NATO]], [[유럽연합]], [[미국]] 표준 대역 == 군용 [[레이더]] 및 [[ECM]] 장비를 다루기 위해 만든 주파수 대역. 밴드 설정 목적이 목적이다 보니 민간용 통신장비나 일반 라디오 주파수의 특성을 나누는데는 적합하지 않다. 레이더들의 홍보용 브로셔 등에는 IEEE 밴드와 이 NATO밴드를 함께 적기도 한다. 이를테면 X밴드(IEEE)대역, I/J(NATO)대역 이런식.일부 대역 이름이 IEEE표준 밴드하고 겹쳐서 간혹 사람 헷갈리게 만들기도 한다. || 밴드 || 주파수 || 파장 범위 || 기타 || || A밴드 || 0~0.25 GHz || 0~1.2 m || || || B밴드 || 0.25~0.5 GHz || 1.2~0.6 m || || || C밴드 || 0.5~1 GHz || 60cm~30cm || || || D밴드 || 1~2 GHz || 30cm~15cm || || || E밴드 || 2~3 GHz || 15cm~10cm || || || F밴드 || 3~4 GHz || 10cm~7.5cm || || || G밴드 || 4~6 GHz || 7.5cm~5cm || || || H밴드 || 6~8 GHz || 5cm~3.75cm || || || I밴드 || 8~10 GHz || 3.75cm~3cm || || || J밴드 || 10~20 GHz || 3cm~1.5cm || || || K밴드 || 20~40 GHz || 1.5cm~0.75cm || || || L밴드 || 40~60 GHz || 7.5mm~5mm || || || M밴드 || 60~100 GHz || 5mm~3mm || || == 대한민국의 주파수 할당 현황 == * [[전파]]의 [[전파#s-2|주파수별 용도]] 문단 참고. * 공식 사이트 : [[https://www.spectrum.or.kr/bbs/board.php?bo_table=frequency|전파진흥원의 주파수 스펙트럼 포탈의 공개 데이터 검색]][* [[https://spectrum.or.kr/bbs/board.php?bo_table=frequency&sca=&sop=and&sfl=wr_subject%7C%7Cwr_content%7C%7Cwr_1&dis=&src_yn=Y&fre1=&fre2=&fre_unit=&stx=|전체 보기]]로 볼 수도 있는데 항목이 너무 많아서 로딩에 시간이 오래 걸린다. ] * 커뮤니티 자료 : [[http://m.dcinside.com/board/baseball_new8/12001220|이곳(디시인사이드)]][[https://image.dcinside.com/viewimagePop.php?id=2fbcc323e7d334aa51b1d3a24e&no=24b0d769e1d32ca73fed82fa11d028313b437bcefb649778a12108a42aa1ac2a569c3c6766b71d5a54d4756b78e1e7c3a2ac0d84fe4d9a452ddb3b5fe286f27acc20b7b0be61b763e2b1ebcc6123124dee5b38|이미지링크2]][* 대용량 이미지 호스팅을 하기 위해서 디시인사이드 국내야구갤러리에 업로드.]에서 3K[[헤르츠|Hz]]~3000[[기가|G]]Hz 대역까지 총 정리해놓은 자료를 볼 수 있다. 약 7000*5000 해상도 (36메가픽셀) 4.67[[메가바이트|MB]] 대용량 [[PNG]] 파일. 2.21MB짜리 [[PDF]] 파일도 있다. [[https://spectrummap.kr/images/pdf/ufrequency_01.pdf|pdf 링크]] == 관련 문서 == * [[통신]] * [[주파수]] * [[전파]] * [[채널]] * [[레이더]] * [[무전기]] * [[X-Band 레이더]] * [[이동통신 주파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분류:전자기학]][[분류:레이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