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酒醋沉菹方. [[조선]]시대 16세기 후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요리책. 우리나라에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한글]] 요리책이다. 총 1책이며, 현재 [[전라도]] 지역의 한 개인이 소장 중이다. == 내용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449&aid=0000138708|채널A : 400년 전 김치 담그기…한글 필사 요리책 발견]] 국내에서 가장 오래되었다고 추정하는 한글 필사본 음식방문(飮食方文, 요리서)으로 [[경북대학교]] 백두현 교수(국어국문학과)가 2017년 9월 29일에 발견했다. 총 126가지 음식 조리법을 수록했다. 16세기에 만든 요리서이다. 이전까지 가장 오래된 한글 요리책으로 알려진 17세기 초기 제작본 [[최씨음식법]]과 17세기 후기 제작본 [[음식디미방]]보다 50~100여 년 앞서 한글로 썼다. 다만 주초침저방은 총 126가지 음식 중 121종은 한문으로, 오직 5가지만 한글로 기록했기 때문에 '가장 오래된 '''순'''한글 요리책'은 여전히 최씨음식법과 음식디미방이다. 세종시대에 만들어 15~16세기 문헌에 주로 쓰였던 ㅴ, ㅵ 등 세 글자 병서자가 보이고 15세기 문법을 보여주는 ‘뒷다가’(두-잇-다가)도 찾아볼 수 있다. 특히 [[경상도]] 지방의 향토음식으로 [[홍길동전]]의 저자 [[허균]]이 1611년에 쓴 음식책 [[도문대작]]에서 '[[다식]]은 안동다식이 가장 맛있다.' 했는데, 그 조리법을 알 수 없던 '[[안동]]다식’ 방문이 여기에 수록되었다. [[김치]] 방문 또한 20종이나 있다. 김치 방문 중 [[새우]]젓으로 담는 '감동저'(甘動菹) 김치가 수록된 최초의 문헌이기도 하다. 평소 음식학에 관심이 많은 전라도에 사는 개인이 소장하던 것을 [[경북대학교]] 백두현 교수가 알아보아 알려졌다. 한국 전통음식과 전통주 연구 및 전통생활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 외부 링크 ==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22&aid=0003215465|세계일보 : 가장 오래된 한글 필사 ‘음식 조리서’ 공개]] * [[http://www.yeongnam.com/mnews/newsview.do?mode=newsView&newskey=20170929.010020717570001|영남일보 : 가장 오래된 한글 필사본 음식조리서 공개]] * [[http://www.tbc.co.kr/tbc_news/n14_newsview.html?p_no=20170928175011AE00372|TBC대구방송 : 가장 오래된 한글 음식 조리서 필사본 발견]] * [[http://www.kyongbuk.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1005596|경북일보 : 가장 오래된 한글 필사본 음식방문 공개]] [[분류:조선의 요리서]][[분류:훈민정음]][[분류:개인 소장 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