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fff 제8-9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의회의원}}}'''[br]{{{+1 {{{#ffffff '''주이삭'''}}}}}} [br]{{{#ffffff '''朱이삭 | Ju Isaac'''}}}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rame-142.png|width=100%]]}}} || ||<|2> '''{{{#FFFFFF 출생}}}''' ||[[1988년]] [[2월 16일]] ([age(1988-02-16)]세)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 || '''{{{#FFFFFF 학력}}}''' ||<(> [[서울미동초등학교]] {{{-1 (졸업)}}}[br][[인창중학교(서울)]] {{{-1 (졸업)}}}[br][[인창고등학교(서울)]] {{{-1 (졸업)}}}[br][[중앙대학교]] {{{-1 (사회복지학 / 학사)}}}|| || '''{{{#FFFFFF 병역}}}''' ||<(> 육군 병장(만기 전역)|| || '''{{{#FFFFFF 소속 정당}}}''' ||<(> [include(틀:국민의힘)] || || '''{{{#FFFFFF 의원 선수}}}''' ||<(> 2 || || '''{{{#FFFFFF 의원 대수}}}''' ||<(> 8, 9|| || '''{{{#FFFFFF 지역구}}}'''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가선거구 (충현동, 천연동, 북아현동, 신촌동)|| || '''{{{#FFFFFF 소속 위원회}}}''' ||<(> 의회운영위원회 재정건설위원회|| || '''{{{#FFFFFF 현직}}}''' ||<(> 제9대 서대문구의회 의원|| || '''{{{#FFFFFF 경력}}}''' ||<(> 제8,9대 서대문구의회 의원[br]제9대 서대문구의회 전반기 재정건설위원회 부위원장[br]제8대 서대문구의회 전반기 행정복지위원회 위원[br]제8대 서대문구의회 후반기 재정건설위원회 부위원장[br]제8대 서대문구의회 후반기 의회운영위원회 부위원장[br]제8대 서대문구의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장[br][[새정치민주연합]] 전국대학생위원회 부위원장[br][[바른미래당]] 서울시당 청년위원회 부위원장[br][[바른미래당]] 중앙당 부대변인[br][[국민의당(2020년)|국민의당]] 부대변인 [br][[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br][[국민의힘]] 부대변인[br][[국민의힘 바로 세우기]] 부대표|| || '''{{{#FFFFFF 수상}}}''' ||<(> [[시사저널]] 차세대 리더 100인 선정(2021)[br]제4회 청소년희망대상 대상(2019)[br]제1회 거버넌스지방정치대상 지방정치문화부문 최우수상(2019)|| || '''{{{#FFFFFF 링크}}}''' ||<(> [[http://blog.naver.com/isacczzang|[[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facebook.com/ju.isaac.9|[[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https://instagram.com/isaactic_sdm?igshid=NmZiMzY2Mjc=|[[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sdmcouncil.go.kr/source/member/main/main.html|[[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정치인]]. [[친안]]계[* 주이삭은 안철수라는 사람을 따라다니는 친안이라기보다 지향하는 정치 방향과 정책에 대한 견해가 일치해 함께하고 있다고 한다. 실제로 안철수와 개인적으로는 악연인 이준석에도 호의적이다.] 출신이다. 1988년 2월 16일 [[서울특별시]] [[서대문구]]에서 태어났다. 인창고등학교, [[중앙대학교]] 사회복지학과(편입)를 졸업하였다. 2018년 구의원 당선 당시 30세로 정치인 중 젊은 편이며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당선된 바른미래당 출신의 몇 안되는 국민의힘 기초의원이다.[* 비슷한 경우로 현재 [[국민의힘]] 소속인 [[이기인]] 성남시의원이 있다. 다만 이쪽은 2인 선거구에서 당선.] 2022년 제8회 지방선거에서도 당선되어 재선에 성공했다. 2-나번 후보임에도 거대 양당 가번 후보를 모두 이기고 1등으로 당선된 매우 특이한 선거 경력을 가지고 있다. == 정치 활동 == [[중앙대학교]] 재학 중 무소속이었던 [[안철수]] 의원이 '국민과 함께 하는 새정치추진위원회'(새정추)를 추진할 당시 서울시 청년 위원 활동을 하며 정계에 입문하였다. 새정치추진위원회는 정식 명칭을 [[새정치연합]]으로 결정하고 창당준비위원회를 발족하였으나 얼마안가 민주당과의 합당이 확실시 되며 정당활동 2개월도 안되던 차에 [[새정치민주연합]]에 합류하게 됐다. [[새정치민주연합]]에서는 전국대학생위원회 부위원장으로 정계 활동을 이어 나갔다. 이후 [[새정치민주연합]] 전국대학생위원회 기획국장을 맡아 다양한 행사를 추진해 20대 청년 대학생이 정당 정치에 참여할 수 있는 발판을 만들기 위해 주력했다. 2015년부터 19대 국회 임기 마감일까지 의원실 비서를 지냈고, 2016년 6월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 공채 1기 당직자로 채용되어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 공보실 간사 보직을 맡아 주로 실무를 담당했다. [[2017년 대선]] 당시 [[안철수]]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 대통령 후보를 취재하는 기자들과 함께 전국을 돌아 다니며 원활한 취재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총괄하며 조율하는 역할을 하며 본인 역량을 강화시켰다. [[2018년 지방선거]]를 앞두며 '조금이라도 젊은 사람이 출마해야 미래가 있다'라며 본인이 나고 자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가 선거구(충현동/천연동/북아현동/신촌동)에 지역구 기초의원으로 출마하여 5,444표 (3등)으로 당선되었다. * 2020년 10월 30일 안철수 대표의 서울시장 불출마 결정에 반발하여 자신이 부대변인(공보팀장 겸임)을 맡고 있었던 [[국민의당(2020년)|국민의당]]에서 탈당했다가 본격 출마 선언을 하자 복당했다. (*복당 신청 후 약 2개월 만에 복당 완료) * 2021년 8월 16일 안철수 대표가 국민의힘과의 합당 결렬을 선언하자 반발하며 [[국민의당(2020년)|국민의당]]을 탈당하였다.[[http://naver.me/xQObB3Eh|#]][* [[국민의힘-국민의당 합당]]은 대선 직후에 결국 이루어져 안철수와 재회했다.] * 2021년 8월 24일, [[국민의힘]]에 인재영입 형식으로 입당할 것이라는 기사가 떴다. [[http://www.inews24.com/view/1398696|#]] [[민생당]] 인원까지 포함하여 2~30명 규모라고 한다. 이후 8월 30일에 공식적으로 입당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0&oid=421&aid=0005571162|#]] 2022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구의원 재선에 도전했는데, 3인 선거구에서 2-나를 받아 당선이 쉽지만은 않아보였으나 예상을 깨고 1위로 무탈하게 당선되어 재선에 성공하였다. 나번 후보가 거대 양당 가번 후보를 모두 이기는 경우는 매우 드문 케이스다. 2-가 후보도 당선되며 국힘 후보들이 모두 생환에 성공한건 덤. == 기타 == * 정치권 내에서 상당히 젊은 편에 속하고 있으며 공보 분야 전문가로 알려져 있다. 국회의원 보좌진과 당의 사무처 말단 직원부터 시작하여 기초의원(서대문구의원)부터 본격적인 선출직 정치인의 길을 걷게 되었다. * 유일한 [[국민의당(2020년)|국민의당]] 소속 서울 지역 기초의회의원이었으나 안철수 대표의 서울시장 보궐선거 불출마 선언에 반발하여 2020년 10월 30일에 탈당을 선택했다가 2020년 12월 20일, 안철수 대표가 불출마 선언을 번복하고 출마 선언을 하자 환영의 뜻을 밝히며 탈당 약 3개월 만에 복당했다. * 하지만 이준석의 부름을 받고 국민의힘으로 당을 옮기게됐다. 그리고 20대 대선에서 [[서대문구 갑]] 지역은 윤석열의 승리로 끝나면서 22대 총선 출마 가능성이 커졌다. 하지만 2022년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다시 기초의원(서대문구의원)에 출마하고 당선됨으로써 22대 총선때 서대문구 갑 선거구에 출마할 가능성은 적어진 상태다. * 한편 국민의힘 서대문 갑 당협위원장이었던 [[이성헌]]은 지난 지방선거에서 서대문구청장에 당선되어 국민의힘 소속 서대문구 갑 지역 총선 후보 자리는 무주공산이 되며 몇몇 후보가 출마를 준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주이삭 구의원 본인은 기초분야부터 단계를 밟아 정치인으로서 성장하는 것을 지향한다고 한다. 하지만 젊은 나이에도 지역 내에서 나번임에도 1등으로 당선될 정도의 높은 인지도를 가진 것은 물론 서대문 지역연고도 확실한 편이라, 총선에 출마할 경우 [[서대문구 갑]] 지역에서 국민의힘의 경쟁력 있는 후보가 될 수 있다. 물론 이준석에 호의적이라 현재 당 지도부로부터 공천을 받을 수 있을지는 미지수.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합니다. || {{{#ffffff 연도}}} || {{{#ffffff 선거 종류}}} || {{{#ffffff 선거구}}} || {{{#ffffff 소속 정당}}} || {{{#ffffff 득표수 (득표율)}}} || {{{#ffffff 당선 여부}}} || {{{#ffffff 비고}}} || || 2018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 서울 서대문구의회 가 || [include(틀:바른미래당)] || '''5,444 (15.01%)''' || '''당선 (3위)''' || '''초선'''[* [[대선거구제]]로 3위까지 당선되었다.]|| || 2022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include(틀:국민의힘)] || '''8,883 (27.05%)''' || '''당선 (1위)''' || '''재선''' || == 소속 정당 == || '''{{{#fff 소속}}}''' || '''{{{#fff 기간}}}''' || '''{{{#fff 비고}}}''' || || [include(틀:새정치연합)][br]([include(틀:무소속)]) || 2014 || 정계입문, 창당준비위원회 || || [include(틀:새정치민주연합)] || 2014 - 2015 || 합당 || || [include(틀:무소속)] || 2015 - 2016 ||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 || || [include(틀:국민의당(2016년))] || 2016 - 2018 || 창당 || || [include(틀:바른미래당)] || 2018 - 2020 || [[바른정당]]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무소속)] || 2020 ||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 || || [include(틀:국민의당)] || 2020 || 창당 || || [include(틀:무소속)] || 2020 || 안철수의 서울시장 재보궐 불출마 움직임에 따른 탈당 || || [include(틀:국민의당)] || 2020 - 2021 || 복당 || || [include(틀:무소속)] || 2021 || 국민의힘과 합당 결렬에 의한 탈당 || || [include(틀:국민의힘)] || 2021 - 현재 || 입당 ||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서대문구 출신 인물]][[분류:바른미래당 기초의회의원]][[분류:1988년 출생]][[분류:순우리말 이름]][[분류:서울특별시의 기초의회의원]][[분류:국민의당(2020년) 기초의회의원]][[분류:국민의힘 기초의회의원]][[분류:서울미동초등학교 출신]][[분류:인창중학교(서울) 출신]][[분류:인창고등학교(서울) 출신]][[분류:중앙대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