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酒食是儀. [[조선]] 후기, 1800년대에 [[연안 이씨]]가 처음 편찬하여 여러대에 걸쳐 기록되어 온 [[한글]] 요리책. 현재 [[대전광역시]] [[대덕구]] 송촌동에 위치한 은진 송씨(恩津宋氏) 종택에 소장되어 있다. == 내용 == 지돈령부사(知敦寧府事) 송영로(宋永老, 1803년 ~ 1881년)의 부인인 연안 이씨(1804년 ~ 1860년)가 처음 기록하기 시작하여 여러 대에 걸쳐 기록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책에 남겨진 필체로 보아 최소 세 사람 이상이 기록한 것으로 추정되며, 연안 이씨가 소대헌 종가에 시집와서 시가의 음식을 하나씩 익혀가며 이 책을 기록한 후, 그 뒤로 그녀의 대를 이은 여성들이 손끝으로 전수받은 음식 솜씨를 이 책에 하나둘 덧붙인 것으로 보인다. [[주식]]류, 찬물류, 병과류 및 음청류, [[술|주류]] 등 음식을 만들고 재료를 다루는 법 96항이 기록되어 있고, 그 중에서 낙지 볶기에는 낙지찜을 하는 법이, 동김치에는 이를 활용한 생치 김치나 [[냉면]]을 만드는 법이, [[약과]] 만드는 법에는 만두과와 다식과가, 앵두편에는 복분자편이 추가로 기록되어 있어 총 100여 가지의 식품을 다루는 법과 음식 조리법이 수록되어 있다. 또한 음식 조리 방법 외에도 산모에게 필요한 민간요법, 염색법과 탈색법 등 생활사에 관련된 자료도 함께 기록되어 있다. 은진 송씨 가문에는 주식시의 외에도 술 만드는 비법을 따로 모아 정리한 술 제조 비법서인 [[우음제방]]이 있어 두 책을 함께 번갈아 가며 기록한 것으로 여겨진다. == 구성 == * 주식류(主食類) * [[죽]] : 잣죽, 호두죽, 흑임자죽, 흰죽, 삼합미음(2) * [[국수]] : 난면, 국수비빔, [[냉면]][* 동김치([[동치미]])를 담그는 기록에 함께 쓰여 있다.] * [[만두]] : [[물만두]], 만두, 수교의, 변씨만두 * 부식류(副食類) * [[국(요리)|국]]/[[전골]] : [[열구자탕]](2), [[승기악탕]], 완자탕, 전골채소 * [[찜]] : 떡찜, 숭어찜, 붕어찜, 도라지찜, 묵찜, 송이찜, 갈비찜, 연계찜, 계란쌈, 낙지찜 * [[볶음]] : [[떡볶이]], 동아초, 묵초, 낙지볶기 * [[전(한국 요리)|전]] / [[구이]] : 제육전, 동아전, 집노리미, 풋고추적, 생선 굽는 법, 고기 굽는 법, 생치 굽는 법 * 숙채(熟菜) : 외상문채, 죽순채, 호박나물 * [[회]](膾) : 어채, 화채, 위어회 * 숙육(熟肉) : 상한 고기를 삶는 방법, 고기를 삶는 방법, 고기국을 끓이는 방법, 황구·흑구 쓰는 법 * 전약 : 백강(白薑), 계심(桂心), 녹각교(鹿角膠) * [[젓갈]] : 장해법, 게젓 * 마른찬 : 소반찬, 약포, 시체약포 * 침채류(沈菜類) : 장김치, 동김치, 생치김치, 석박지, 동아석박지, 동가침채, 용인과지 * 기타 : 도화계란법, 계란 삶는 법 * 병과(餠菓) 및 음청류(飮淸類) * 떡류 : [[약식]]법, 소합떡법, [[두텁떡]], 갖은두텁떡, 섭화전, 석이전, [[승검초단자]], 토란단자, 감저단자, [[석탄병]], 잡과전, [[증편]], 요기떡, 율강병법 * 한과류 : [[약과]] 지지는 법[* 만두과와 다식과가 추가되어 있다.], 앵두편[* 복분자편 만드는 법이 추가되어 있다.] * 음청류 : 화면, [[식혜]], [[매화차]], [[국화차]] * 주류(酒類) * 구기자주, 감향주(2), 별별약주, 두견주, 점감주, 송순주, 화향입주방 * 장류(醬類) * 집장, [[고추장]], [[청국장]], 즙지히 * 기타 * 게 오래두는 법, 세어법(생선을 씻는 방법), 분골니법([[잉어]]의 뱃속에 후추와 파 등을 넣고 항아리에 넣어 입구를 봉하고 뭉근하게 고아 생선살과 뼈를 분리하는 법), 저장법, 세척법, 양육법, 아기 베고 탈이 있을 때 약 쓰는 법, 산모젖내는 법 등등. * 조리 도구 : 체(크기별로 체, 깁체, 고운체, 어레미, 얼멍이로 나누었다), 숟가락, 주걱, 홍두깨, 양푼, 열박(바가지), 옹배기, 찬합, 보시기, 탕기, 그릇 * 계량 : 길이단위로 치(寸)와 푼(分), 무게 단위로 푼(分)과 냥(兩), 기타 단, 방울, 줌, 보, 쪽 == 특징 == 현재 전해지고 있는 고조리서들은 주로 [[경상북도]] [[안동시]], [[영양군]], [[상주시]] 일대를 기반으로 하고 있는데, 16세기 음식 문화를 대표하는 [[수운잡방]], 여성([[장계향]])이 쓴 최초의 한글조리서 [[음식디미방]], 사대부가의 높은 가양주 제조 기술을 볼 수 있는 [[온주법]], 19세기 말 한식 상차림의 모습을 그림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는 [[시의전서]] 등의 한국의 대표 고조리서들이 모두 저 지역 출신이다. 그러나 주식시의와 [[우음제방]]은 대전(大田)을 기반으로 한 은진 송씨 가문의 책으로 이례적으로 [[충청도]] 지역의 음식 문화를 살펴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로 인정받고 있으며, 그간 [[영남]] 지방에 집중되었던 조선 시대 식생활 자료가 충청 지역으로 연구의 폭을 확대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주식시의는 [[왕비]]를 배출한 사대부가와 궁중 음식과의 교류를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동춘당(同春堂) 송준길은 조선 후기의 왕비들이 대부분 그의 외손이라 할 정도로 왕실과 관련이 깊은데, [[숙종(조선)|숙종]]의 비(妃)인 [[인현왕후]]가 동춘당의 외손녀이고, [[고종(대한제국)|고종]]의 비인 [[명성황후]]와 [[순종(대한제국)|순종]]의 첫 번째 비인 [[순명효황후]]도 이 집안 후손이다. 또한 동춘당의 증손녀가 장원급제한 김제겸(金濟謙, 1680년 ~ 1722년)에게 시집갔는데, 그의 후손 가운데 [[순조]]의 비인 [[순원왕후]], [[헌종(조선)|헌종]]의 비인 [[효현왕후]], [[철종(조선)|철종]]의 비인 [[철인왕후]]가 나왔다. 그러므로 송준길 가와 조선 궁중은 지속적인 교류가 있었으며, 궁중음식 가운데 몇 가지가 종가 음식으로 계속 전수되고 있었다. 1800년대 궁중의 [[의궤]]에 기록된 음식과 비교해볼 때 열구자탕, 완자탕, 금중탕, 숭어찜, 붕어찜, 연계찜, 어채 등과 약식, 두텁떡, 승검초단자, 약과 등의 조리 방법이 궁중 음식과 완전히 똑같은 것으로 추정 중이다. 마지막으로 주식시의에 기록된 음식 중 전골 채소, 도라지찜, 낙지 볶기, 외상문채 등은 다른 조선 시대 조리서에서는 전혀 찾아볼 수 없는 독특한 조리법으로 대전 지방 특유의 음식 문화를 연구해 볼 수 있다. [[분류:조선의 요리서]][[분류:은진 송씨]][[분류:대전광역시의 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