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주니치 드래곤즈/역사)] [include(틀:주니치 드래곤즈)] [목차] == 개요 == [[주니치 드래곤즈]]의 2023 시즌을 서술한 문서. == 오프 시즌 == 모든 시즌 일정이 종료된 뒤, 구단의 재정 상태가 좋지 않은지라 전력 보강까지는 바라지도 않고 전력 유지를 하는 정도만 해도 모자를 판인데 2022년 11월 15일에 말도 안되는 호구딜을 성사시키며 팬들의 속을 뒤집어 놓았다. 팀의 주축 타자인 [[아베 토시키]]를 내년에 만 37세가 되는 라쿠텐의 [[와쿠이 히데아키]]와 1대1 트레이드로 맞바꾼 것. 참고로 이 트레이드는 '''라쿠텐이 먼저 제안한게 아니라 주니치가 제안한 것이다.'''[* 사유는 2루수 세대교체라고 설명했다. 당초의 계획대로 [[이시카와 타카야]]를 3루에 기용하고, [[타카하시 슈헤이]]를 2루수로 기용할 방침일 것으로 보인다.] 가뜩이나 약한 타선에서 그나마 제 몫을 해 주던 타자들을 트레이드로 넘겨준 것도 모자라 받아온 선수가 타자도 아니고 이미 주니치 주전 라인업에 차고 넘쳐서 받아올 필요가 전혀 없는 투수 포지션인데다, 한술 더 떠서 그렇게 트레이드로 받아온 투수가 언제 에이징 커브가 와도 이상하지 않을 노장 선수이다. 전력적인 측면에서도, 팀 운영적인 측면에서도[* 연봉이 3600만엔에 불과한 아베에 비해 와쿠이는 1억이 넘어간다.] 투수 뎁스는 두터운데 습자지 수준의 타자 뎁스를 만들어 어떠한 이득을 챙겨가지 못한 트레이드라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이대로 가다가는 주니치 홀로 [[투고타저]] 시즌을 보내게 생겼다. 2022년 11월 18일 [[교다 요타]]가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로 트레이드되었는데, 문제는 받아온 선수가 좌완'''투수''' 스나다 요시키. 이 때문에 팬들은 승수를 못 쌓고 있는데 경쟁자까지 들어오는 주니치 투수들에게 애도를 표하고 있다. 그나마 이번 트레이드의 반응은 아베 트레이드건보단 반응이 나은데, 좌완 불펜 자원인 후쿠 히로토가 황색인대골화증[* 인대가 척수를 압박해 심하면 하반신 마비까지 유발하는 난치병으로, 이 병에 걸린 일본 프로야구 선수 대부분이 발병 후 커리어가 오래 가지 못했다. 한국에선 [[정찬헌]]이 이 병에 걸려 수술을 받은 적이 었었고, 후쿠 말고 최근에 이 병에 걸린 선수는 [[미시마 카즈키]].]에 걸려 내년 시즌 소화가 불투명해지면서 좌완 불펜이 부족해질 것을 대비한 트레이드라는 시각이 있다. 거기다 쿄다는 타격성적 발전이 없어 주전에서 밀려났고, 타츠나미 감독에게 찍힌 탓에 어떠한 방식으로도 팀을 떠나는 것이 예상된다는 반응도 있었다. 요코하마 또한 고정 유격수 없이 모리-시바타-야마토 3명을 뺑뺑이 돌렸었기에 마침 좋은 인재가 들어왔다는 반응도 있고. 주니치는 11월 하순이 되어 지배하선수만 벌써 '''17명'''을 방출, 트레이드, 육성선수 전환 등으로 로스터에서 제외시켰다. 특히나 여론의 뭇매를 맞아가면서 [[이시카와 타카야]]의 자리를 만들어준 만큼, 이시카와와 츠치다를 비롯한 신예들이 코어 선수로 자리잡아 주길 바랄 수밖에 없게 되었다. 그러나 [[타츠나미 카즈요시|타츠나미]] 감독은 2022년 11월 25일 기자회견에서 [[야구는 투수놀음]]이라며 타격성적이 나쁘더라도 투수 정비 후 앞으로의 [[리빌딩]]을 진행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이에 팬들은 감독이 [[2022 카타르 월드컵|카타르 월드컵]]에 전력보강을 위한 시찰 가냐며 야유하고 있다(...). 12월 9일에 행해진 현역 드래프트에서, 주니치는 요코하마의 외야수 [[호소카와 세이야]]를 지명했다. 그리고, 그 요코하마는 주니치의 좌완 투수 카사하라를 지명했는데 공교롭게도 호소카와의 데뷔 타석 상대이자 첫 홈런을 때려낸 상대가 바로 카사하라였다. 데뷔 첫 타석에 마주했던 상대와 얼떨결에 팀을 맞바꾸게 된 셈. 넷상에서도 사실상 양 팀 간의 트레이드라고 보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어쨌거나 주니치 입장에선 중견급 좌완을 내보낸 대신 유망주 딱지를 떼진 못했으나 귀중한 오른손 장타자 자원을 얻어왔으니 나쁘지 않은 교환이 된 셈.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주니치 드래곤즈/역사, version=57, paragraph=3.4)] 2023년 3월 3일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과의 평가전에서 승리했는데, [[오가사와라 신노스케]]가 차기 대표팀 좌완 에이스로 각광받았으며 일본 야구팬들은 주니치 선수들을 국가대표로 보내야 하는 것 아니냐면서 대표팀을 걱정하고 있다(...). == 로스터 변동 == === 지배하선수 === ==== 영입 및 계약 ==== ===== 투수 ===== ||<-4>
'''투수 영입''' || || '''일자''' || '''성명''' || '''이전 소속''' || '''비고''' || || '''11.07''' || '''나카치 레이아(仲地礼亜)''' || '''오키나와대학''' || '''드래프트 1위''' || || '''11.08''' || '''모리야마 아키오(森山暁生)''' || '''토쿠시마현립 아난히카리고교[br](徳島県立阿南光高等学校)''' || '''드래프트 3위''' || || '''11.20''' || '''후쿠시마 쇼타(福島章太)''' || '''육성 선수''' || || ===== 포수 ===== ||<-4>
'''포수 영입''' || || '''일자''' || '''성명''' || '''이전 소속''' || '''비고''' || || '''11.09''' || '''야마아사 류노스케(山浅龍之介)''' || '''세이코가쿠엔고교(聖光学院高)''' || '''드래프트 4위''' || ===== 내야수 ===== ||<-4>
'''내야수 영입''' || || '''일자''' || '''성명''' || '''이전 소속''' || '''비고''' || || '''11.13''' || '''후쿠나가 히로키(福永裕基)''' || '''일본신약''' || '''드래프트 7위''' || || '''11.14''' || '''타나카 미키야(田中幹也)''' || '''[[아지아대학]]''' || '''드래프트 6위''' || || '''11.15''' || '''하마 쇼노스케(濱将乃介)''' || '''NOL 후쿠이''' || '''드래프트 5위''' || || '''11.22''' || '''올란도 칼리흐테(Orlando Calixte)''' || '''[[술탄네스 데 몬테레이]]''' || || || '''11.27''' || '''무라마츠 카이토(村松開人)''' || '''[[메이지대학]]''' || '''드래프트 2위''' || ===== 외야수 ===== ||<-4>
'''외야수 영입''' || || '''일자''' || '''성명''' || '''이전 소속''' || '''비고''' || || '''11.22''' || '''[[소일로 알몬테]]''' || '''[[술탄네스 데 몬테레이]]''' || '''[[주니치 드래곤즈]] 복귀''' || || '''11.28''' || '''[[아리스티데스 아퀴노]]''' || '''[[신시내티 레즈|{{{#ffffff 신시내티 레즈}}}]]''' || || || '''12.09''' || '''호소카와 세이야(細川成也)''' ||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ffffff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 '''현역 드래프트''' || ===== 투수 ===== ||<-4>
'''투수 방출 ·이적''' || || '''일자''' || '''성명''' || '''행선지''' || '''비고''' || ||<|3> '''10.04''' || '''사토 유우(佐藤優)''' || - || || || '''켄토 마르크 이시다(マルク)''' || - || || || '''요안 타바레스(Yohan Tavarez)''' || - || || ||<|3> '''10.18''' || '''이와사키 쇼(岩嵜翔)''' ||<|3> '''육성선수''' ||<|3> '''육성선수 전환''' || || '''카키고시 켄신(垣越建伸)''' || || '''카토 츠바사(加藤翼)''' || || '''12.09''' || '''카사하라 쇼타로(笠原祥太郎)''' ||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ffffff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 '''현역 드래프트''' || ===== 포수 ===== ||<-4>
'''포수 방출·이적''' || || '''일자''' || '''성명''' || '''행선지''' || '''비고''' || || '''10.04''' || '''야마시타 아야츠구(山下斐紹)''' || - || || || '''10.13''' || '''아리엘 마르티네스(Ariel Martínez)''' ||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ffffff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 || || '''10.22''' || '''카츠라 이오리(桂依央利)''' || - || || ===== 내야수 ===== ||<-4>
'''내야수 방출·이적''' || || '''일자''' || '''성명''' || '''행선지''' || '''비고''' || || '''10.04''' || '''루크 와카마츠(Lucas Wakamatsu)''' || - || || || '''10.30''' || '''페드로 레비야(ペドロ・レビージャ)''' || '''육성선수''' || || || '''11.10''' || '''미츠마타 타이키(三ツ俣大樹)''' ||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96c800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 || ===== 외야수 ===== ||<-4>
'''외야수 방출·이적''' || || '''일자''' || '''성명''' || '''행선지''' || '''비고''' || || '''09.23'''[* 은퇴식 기준.] || '''[[후쿠도메 코스케]](福留孝介)''' || - || '''현역 은퇴''' || ||<|3> '''10.04''' || '''[[히라타 료스케]](平田良介)''' || - || || || '''와타나베 마사루(渡辺勝)''' || - || || || '''타키노 카나메(滝野要)''' || - || || || '''10.30''' || '''기예르모 가르시아(Guillermo García)''' || '''육성선수''' || '''육성선수 전환''' || ==== 트레이드 ==== ||<-5>
'''트레이드 목록''' || || '''일자''' || '''상대''' || '''주니치 Get''' || '''상대 Get''' || '''비고''' || || '''11.15''' ||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ffcc00 楽天}}}]]''' || '''[[와쿠이 히데아키]](涌井秀章)''' || '''[[아베 토시키]](阿部寿樹)''' || || || '''11.18''' ||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00428e DeNA}}}]]''' || '''스나다 요시키(砂田毅樹)''' || '''[[쿄다 요타]](京田陽太)''' || || || '''12.26''' || '''[[치바 롯데 마린즈|{{{#ffffff ロッテ}}}]]''' || '''[[카토 타쿠마]](加藤拓馬)''' || || '''무상 트레이드''' || === 육성선수 === ==== 영입 ==== ||<-4>
'''육성선수 영입''' || || '''일자''' || '''성명''' || '''이전 소속''' || '''비고''' || ||<|3> '''10.18''' || '''이와사키 쇼(岩嵜翔)''' ||<|5> '''지배하선수''' ||<|5> '''지배하선수에서 전환''' || || '''카키고시 켄신(垣越建伸)''' || || '''카토 츠바사(加藤翼)''' || ||<|2> '''10.30''' || '''기예르모 가르시아(Guillermo García)''' || || '''페드로 레비야(Pedro Revilla)''' || || '''11.18''' || '''마츠야마 신야(松山晋也)''' || '''하치노헤가쿠인대학(八戸学院大学)''' || '''육성 드래프트 1위''' || || '''11.19''' || '''노나카 텐토(野中天翔)''' || '''노스아지아대학 메이오고교[br](ノースアジア大学明桜高等学校)''' || '''육성 드래프트 2위''' || || '''11.20''' || '''히구치 세이슈(樋口正修)''' || '''BCL 사이타마''' || '''육성 드래프트 3위''' || || '''11.26''' || '''타케우치 류신(竹内龍臣)''' || '''지배하선수''' || '''지배하선수에서 전환''' || ==== 방출 및 이적 ==== ||<-4>
'''육성선수 영입''' || || '''일자''' || '''성명''' || '''행선지''' || '''비고''' || ||<|2> '''10.04''' || '''하마다 타츠로(濱田達郎)''' || || || || '''오오미네 유타(大嶺祐太)''' || || '''현역 은퇴''' || || '''11.20''' || '''후쿠시마 쇼타(福島章太)''' || '''지배하선수''' || '''지배하선수로 전환''' || === 등번호 변경 === * 고토 슌타 : No.00 → No.53 * 타카마츠 와타루 : No.0 → No.51 * [[이시카와 타카야]] : No.2 → No.25 * 이와사키 쇼 : No.16 → No.203 * 카키고시 켄신 : No.61 → No.205 * 카토 츠바사 : No.65 → No.204 * 페드로 레비야 : No.94 → No.209 * 기예르모 가르시아 : No.95 → No.210 * 후쿠시마 쇼타 : No.209 → No.64 * 나카치 레이아(드래프트 1위) : No.31 * 무라마츠 카이토(드래프트 2위) : No.5 * 모리야마 아키오(드래프트 3위) : No.40 * 야마아사 류노스케(드래프트 4위) : No.57 * 하마 쇼노스케(드래프트 5위) : No.37 * 타나카 미키야(드래프트 6위) : No.2 * 후쿠나가 히로키(드래프트 7위) : No.68 * 마츠야마 신야(육성 드래프트 1위) : No.211 * 노나카 텐토(육성 드래프트 2위) : No.212 * 히구치 세이슈(육성 드래프트 3위) : No.213 == [[스프링캠프]] == [[오키나와현]] [[챠탄초]] 일대에 캠프를 차렸다. 2월 11, 12일 이틀간 [[삼성 라이온즈]]와 연습경기를 치러 18-1, 7-0으로 가뿐하게 이겼다. 첫 날 경기는 [[노성호]]의 0.2이닝 9실점 난조에 힘입어 대량 득점으로 승리, 둘쨋 날에도 삼성의 불펜진들을 상대로 차근차근 점수를 벌어 이겼다. 양 팀에서 모두 지도자 생활을 했던 [[오치아이 에이지]] 투수코치의 주선으로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109&aid=0004787387|경기 일정을 잡을 수 있었으며]], 삼성에 코치로 들어간 [[이병규(1974)|이병규]]를 찾는 주니치 팬들도 있었다고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109&aid=0004787922|한다.]] [[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에는 [[타카하시 히로토]]가 출전하게 되었다. === [[사무라이 재팬]] 평가전 === ==== 1차전({{{#blue 勝}}}) ==== ||
<-30>
[[일본프로야구|[[파일:NPB 로고.svg|width=50]]]] '''2023.04.11(火) 18:00 | [[반테린 돔 나고야]] (제1차전)''' || || '''球團''' || '''先發''' || '''1''' || '''2''' || '''3''' || '''4''' || '''5''' || '''6''' || '''7''' || '''8''' || '''9''' || '''計''' || '''安''' || '''失''' || || '''[[사무라이 재팬|[[파일: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로고.svg|width=25]]]]''' || [[이마나가 쇼타]] || 0 || 0 || 0 || 1 || 0 || 0 || 0 || 1 || 0 ||<#dcdcdc> '''2''' || 6 || 1 || || '''[[주니치 드래곤즈|[[파일:주니치 드래곤즈 엠블럼.svg|width=25]]]]''' || [[오가사와라 신노스케]] || 0 || 0 || 1 || 0 || 0 || 2 || 4 || 0 || 0 ||<#ffd700> '''7''' || 10 || 0 || ||<-30> '''{{{#blue 승 : [[오가사와라 신노스케|{{{#blue 오가사와라 신노스케}}}]]}}}''' | '''{{{#red 패 : [[토고 쇼세이|{{{#red 토고 쇼세이}}}]]}}}''' | '''{{{#green S : -}}}''' || ||<-17> {{{#!folding [ 스타팅 멤버 ] {{{#!wiki style="margin:-11px;margin-top:-6px;margin-bottom:-6px" ||<-3> [[파일: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로고.svg|width=30]] '''{{{#FFFFFF 侍ジャパン}}}''' || '''[[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파일: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로고.svg|width=25]]]]''' ||<-3> '''{{{#ffffff 中日}}}''' [[파일:주니치 드래곤즈 엠블럼.svg|width=30]] || || '''포지션''' || '''등번호''' || '''선수''' || '''타순''' || '''선수''' || '''등번호''' || '''포지션''' || || 二 || 1 || [[야마다 테츠토]](山田哲人) || '''1''' || [[오오시마 요헤이]](大島洋平) || 8 || 左 || || 左 || 8 || [[콘도 켄스케]](近藤健介) || '''2''' || [[올란도 칼릭스테]] || 99 || 指 || || 一 || 3 || [[마키 슈고]](牧秀悟) || '''3''' || [[호소카와 세이야]](細川成也) || 0 || 中 || || 三 || 55 || [[무라카미 무네타카]](村上宗隆) || '''4''' || [[다얀 비시에도]] || 66 || 一 || || 左 || 25 || [[오카모토 카즈마]](岡本和真) || '''5''' || [[아리스티데스 아키노]] || 9 || 右 || || 指 || 33 || [[야마카와 호타카]](山川穂高) || '''6''' || [[타카하시 슈헤이]](高橋周平) || 3 || 三 || || 遊 || 2 || [[겐다 소스케]](源田壮亮) || '''7''' || [[키노시타 타쿠야]](木下拓哉) || 35 || 捕 || || 捕 || 24 || [[오시로 타쿠미]](大城卓三) || '''8''' || [[츠치다 류쿠]](龍空) || 45 || 遊 || || 中 || 9 || [[슈토 우쿄]](周東佑京) || '''9''' || [[타나카 미키야]](田中幹也) || 2 || 二 || }}}}}} || 3월 3일과 4일 이틀 연속으로 [[반테린 돔 나고야]]에서 [[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사무라이 재팬]] 대표팀과 강화시합이 있어서 주목을 받게 되었다. 1차전이 열린 [[오타니 쇼헤이]]의 입국과 대표팀의 본격적인 피로연이 될 경기라 좋은 분위기로 경기에 임하게 되었지만... 3회초 용병 칼리스테가 [[이마나가 쇼타]]를 상대로 선취 적시타로 앞서나간 주니치는 6회에 아키노의 솔로포와 키노시타의 적시타로 [[토고 쇼세이]]를, 7회에는 [[마츠이 유키]]를 상대로 호소카와와 타카하시의 적시타로 무너뜨려버렸고 만루에서 구원등판한 [[쿠리바야시 료지]]마저 키노시타에게 적시타를 맞고 마츠이의 승계 주자 두 명을 홈으로 불러들였다. 결국, 쿠리야마 감독과 [[오타니 쇼헤이|오타니]], [[라스 눗바|눗바]], [[요시다 마사타카|요시다]] 등 해당 출전하지 않은 메이저파들의 표정이 굳어지는 와중에 대표팀을 철저히 박살내버리는 바람에, 아키노 등 용병들의 활약이 이어지자 '''올해는 다르다'''를 기대하는 한 편, 요시다나 오타니 등이 출전하진 않았다곤 해도 '''전년도 세리그 꼴찌'''에게 박살나는 대표팀을 보고 걱정하는 주니치 팬들의 반응도 많았다. 결과적으로 대표팀이 이후의 연습경기와 WBC 본선까지 한번도 지지 않고 우승을 차지하며, '이 대표팀에 1패를 안긴 주니치가 세계 최강' 이라는 드립이 트위터 등에서 유행하는 동시에 '''주니치우승'''이 전 세계 트위터 트렌드 10위 안에 들기도 했다. 이에 주니치신문 공식 트위터는 우승 소식을 전하면서 이 날의 경기결과를 다시 전했다. [[https://news.yahoo.co.jp/articles/8c566079c270ec684bea2188d8e938cbfd854a72|#]] ==== 2차전({{{#red 敗}}}) ==== ||
<-30>
[[일본프로야구|[[파일:NPB 로고.svg|width=50]]]] '''2023.04.11(火) 18:00 | [[반테린 돔 나고야]] (제1차전)''' || || '''球團''' || '''先發''' || '''1''' || '''2''' || '''3''' || '''4''' || '''5''' || '''6''' || '''7''' || '''8''' || '''9''' || '''計''' || '''安''' || '''失''' || || '''[[사무라이 재팬|[[파일: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로고.svg|width=25]]]]''' || [[사사키 로키]] || 0 || 0 || 1 || 0 || 0 || 0 || 1 || 2 || 0 ||<#ffd700> '''4''' || 5 || 0 || || '''[[주니치 드래곤즈|[[파일:주니치 드래곤즈 엠블럼.svg|width=25]]]]''' || [[오노 유다이(야구선수)|오노 유다이]] || 0 || 0 || 0 || 1 || 0 || 0 || 0 || 0 || 0 ||<#dcdcdc> '''1''' || 3 || 2 || ||<-30> '''{{{#blue 승 : [[타카하시 히로토|{{{#blue 타카하시 히로토}}}]]}}}''' | '''{{{#red 패 : [[야나기 유야|{{{#red 야나기 유야}}}]]}}}''' | '''{{{#green S : [[이토 히로미|{{{#green 이토 히로미}}}]]}}}''' || ||<-17> {{{#!folding [ 스타팅 멤버 ] {{{#!wiki style="margin:-11px;margin-top:-6px;margin-bottom:-6px" ||<-3> [[파일: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로고.svg|width=30]] '''{{{#FFFFFF 侍ジャパン}}}''' || '''[[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파일: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로고.svg|width=25]]]]''' ||<-3> '''{{{#ffffff 中日}}}''' [[파일:주니치 드래곤즈 엠블럼.svg|width=30]] || || '''포지션''' || '''등번호''' || '''선수''' || '''타순''' || '''선수''' || '''등번호''' || '''포지션''' || || 左 || 8 || [[콘도 켄스케]](近藤健介) || '''1''' || [[올란도 칼릭스테]] || 99 || 指 || || 遊 || 7 || [[나카노 타쿠무]](中野拓夢) || '''2''' || [[오오시마 요헤이]](大島洋平) || 8 || 左 || || 二 || 3 || [[마키 슈고]](牧秀悟) || '''3''' || [[호소카와 세이야]](細川成也) || 0 || 中 || || 指 || 55 || [[무라카미 무네타카]](村上宗隆) || '''4''' || [[다얀 비시에도]] || 66 || 一 || || 三 || 25 || [[오카모토 카즈마]](岡本和真) || '''5''' || [[아리스티데스 아키노]] || 9 || 右 || || 一 || 33 || [[야마카와 호타카]](山川穂高) || '''6''' || [[타카하시 슈헤이]](高橋周平) || 3 || 三 || || 左 || 9 || [[슈토 우쿄]](周東佑京) || '''7''' || [[키노시타 타쿠야]](木下拓哉) || 35 || 捕 || || 捕 || 10 || [[카이 타쿠야]](甲斐拓也) || '''8''' || [[츠치다 류쿠]](龍空) || 45 || 遊 || || 中 || 1 || [[후지와라 쿄타]](藤原恭大)[* 외야수 지원] || '''9''' || [[타나카 미키야]](田中幹也) || 2 || 二 || }}}}}} || 승리 투수도 패전 투수도 모두 주니치 선수. [[야나기 유야]]가 4이닝 1실점으로 패전을 떠안았고, 2022년도 지명 신인 나카치와 [[교다 요타|쿄다]] 트레이드로 얻은 스나다가 각각 1실점씩 더하면서 4:1로 패배했다. 승리투수인 [[타카하시 히로토]]는 팀동료들을 상대로 2이닝 1볼넷 4탈삼진으로 안정적인 활약을 펼쳤고, 아키노가 이틀 연속으로 반테린 돔의 담장을 넘기는 맹활약으로 패배에도 불구하고 주니치 팬들을 웃게 했다. == 정규 시즌 == === 3~4월 === 3월 18일, 라쿠텐과의 시범경기에서 지난해 12월에 은퇴를 선언한 [[히라타 료스케]]의 은퇴식이 펼쳐진다. 그런데 개막을 '''사흘 앞둔''' 3월 28일, [[2023 WBC]] 쿠바 국가대표로 참전한 핵심 불펜 자원인 [[야리엘 로드리게스]]가 구단과의 계약을 일방적으로 파기하고, 그대로 미국으로 망명하면서 전력에 상당한 손실이 발생했다.[* 2011년 [[요미우리 자이언츠]]에서 [[브라이언 배니스터]]가 시즌 개막 전 경기를 한 경기도 뛰지 않고 미국으로 도망가 빡친 요미우리 구단 측에서는 일본야구기구에 제한선수 공시를 걸어 아예 타 리그에서도 영입할 수 없도록 조치를 취했다. 그러나 배니스터와 달리 쿠바 국적인 야리엘 로드리게스의 경우 쿠바가 독재국가인 점으로 인해 제한선수 공시 시 인권 및 선수 권리 차원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타츠나미 감독은 당황했는지 로드리게스를 찾아올 것을 당부했으나 이후 인터뷰를 보면 포기한 듯하다(...). * '''3/31 ~ 4/2 @ [[요미우리 자이언츠]]({{{#red 1승 2패}}})''' 3월 31일 개막전에서는 [[오가사와라 신노스케]]가 145구를 던졌으나 ND를 기록하고 카츠노 아키요시[* 정작 카츠노 아키요시도 불운으로 인해 2년만에 승리를 거뒀다.]가 1구 던지고 승리투수가 되는 바람에, 이겼음에도 불구하고 타츠나미 감독과 주니치 타자들은 가루가 되도록 까였다.[* 타선이야 9회 이전에 [[오카바야시 유키]]와 [[오오시마 요헤이]]가 매 타석 출루를 했음에도 좀처럼 받아먹지 못하면서 2득점에 그친 것은 비판받을 만하지만, 적어도 오가사와라와는 직접적인 연관은 없다. 8회까지 올려야했는 지도 의문이지만, 적어도 [[오카모토 카즈마]] 앞에서는 교체했어야 했고, 늦어도 오카모토에게 안타를 맞았으면 역시 우타 슬러거인 [[나카타 쇼]] 앞에서라도 교체하는 것이 맞았다. 타츠나미 감독이 아무리 PL출신에 [[호시노 센이치]] 감독 하에 선수생활을 한 탓에 구식야구에 절어져 있다지만, 단속 규정 풀어줘도 이런 식의 운영이라면 올해도 성적이 잘 나올 것이라는 기대를 하기 어렵다.] 2차전은 타선이 [[포스터 그리핀]]을 털지 못하고 전체적으로 침묵한 탓에, 세리그 무대를 처음 밟는 노장 [[와쿠이 히데아키]]가 7이닝 103구 4피안타(1피홈런) 2볼넷 1사구 7탈삼진 2실점으로 호투했음에도 패전을 떠안았다. 4월 2일, 3차전은 1회에 선취점을 역시나 먼저 뽑았지만 답답한 타격을 이어나가다 6회말에 동점을 허용, 7회말에 역전을 허용했다. 8회초에 [[타카하시 슈헤이]]의 내야안타와 [[호소카와 세이야]]의 기적같은 적시타로 동점을 이뤘지만, 8회말에 시미즈가 곧바로 [[마루 요시히로]]에게 홈런을 맞고 3:2로 패배하면서 첫 승 이후 2연패로 개막시리즈를 마무리했다. * '''4/4 ~ 4/6 VS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red 1승 2패}}})''' 1차전부터 원래 알던 주니치 타선으로 회귀의 조짐이 보이기 시작했다. 선발 [[오노 유다이(야구선수)|오노 유다이]]의 7이닝 1실점(비자책) 호투가 무색하게도 타선은 단 1점도 지원해주지 못하면서 영봉패를 당했다.~~작년 퍼펙트게임도 날려먹은 타선에게 무엇을 기대하겠냐만~~ 2차전도 무기력한 5:0 영패로 4연패를 당했다. 19이닝째 무득점중이며 5경기 중 3경기가 영봉패다. 3차전에서 영건 [[타카하시 히로토]]가 6이닝 1실점으로 호투하고 타선이 웬일로 3점이나 내며 3:1 승리로 스윕패 및 5연패에서 탈출, 홈에서 첫 승리를 거뒀다. 1회초 타카하시는 하마다 타이키에게 선제 솔로홈런을 내줬으나 이후에는 단 한 개의 피안타도 내주지 않았다. 2회말 상대 실책으로 얻은 1사 3루의 기회에서 츠치다 류쿠의 적시타로 동점에 성공했으며 21이닝 만에 첫 득점에 성공했다. 3회말에는 비시에도의 펜스를 맞히는 2루타[* 타구가 좌익수의 글러브에 그대로 잡히는 것처럼 보였으나 펜스에 맞고 잡아서 2루타가 됐다.]로 만든 1사 2,3루에서 후쿠나가 히로키의 희생플라이와 칼리스테의 적시타로 3-1 역전에 성공했다. [[타지마 신지]]가 7회초 무사 2,3루의 위기를 맞이했으나 여기서 단 한 점도 실점하지 않으면서 타카하시의 승리를 지켰다. * '''4/7 ~ 4/9 @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red 2패}}})''' 지난 해 호구를 제대로 잡혔던 요코하마와의 원정 3연전. 그러나 1차전에는 비가 많이 와 우천취소되었다. 4월 8일 경기에서 마침내 시즌 첫 팀 홈런이 터졌다! 시즌 첫 홈런의 주인공은 다름 아닌 [[츠치다 류쿠]](...) 데뷔 3년차인 츠치다의 1군 데뷔 첫 홈런이기도 했고, 먼저 선취점을 뽑으며 분위기를 끌어올렸지만... 5회말, [[와쿠이 히데아키]]가 상대 '''선발 투수''' [[로버트 그셀만]]에게 [[답내친|동점을 허용하는 2루타]](...)를 맞았고, 6회말 [[미야자키 토시로]]에게 역전 솔로 홈런을 허용했다. 주니치의 답답한 타선은 추가점을 내지도 못한 채, 8회말 2사 3루에서 [[세키네 타이키]]에게 악송구로 내야안타까지 허용하며 점수를 2점차로 더 벌려주면서 그대로 패배했다. 가장 잘 치고 있는 선수가 '''만37세'''인 [[오오시마 요헤이]]인 시점에서 도저히 출구가 보이지 않는 타선. 4월 9일 경기는 후쿠타니 코지가 1회부터 타자일순의 맹공을 맞고 6실점하면서 승부의 추가 일찌감치 기울어졌고, 그 분위기 그대로 점수 1점도 내지 못하고 시즌 4번째 영봉패를 당했다. * '''4/11 ~ 4/12 VS [[히로시마 도요 카프]]({{{#green 1승 1패}}})''' 1차전부터 주니치에 강한 난적 [[쿠리 아렌]]을 상대하게 되었고, 예상대로(?) 8이닝동안 꿈쩍도 못하면서 또다시 영봉패의 위기에 처했다. 선발 [[야나기 유야]]는 3회까지는 준수한 피칭을 선보였지만, 4회초 츠치다의 실책을 비롯한 주니치 내야진의 매끄럽지 못한 수비에 멘탈이라도 나간 듯 연타를 맞고 2실점했다. 9회초에도 [[아키야마 쇼고]]의 '''네 번째''' 안타에 2점을 더 내주면서 비참하게 패배할 것으로 보였으나, 9회말 무사만루에서 [[다얀 비시에도]]의 클러치 병살(...)로 어렵게 1점을 뽑으면서 시즌 7패 중 5패가 셧아웃 패배라는 끔찍한 기록을 남기는 것만큼은 면했다. 하지만, 패배보다 더 좋지 않은 사실은 [[오노 유다이(야구선수)|오노 유다이]]가 왼쪽 팔꿈치 연골 제거 수술로 늦어도 8월 말에나 복귀할 수 있다는 것. 더군다나, 경기 종료 직후 마지막으로 덕아웃에 들어가던 오오니시 외야수비·주루코치가 [[https://www.youtube.com/watch?v=3UkvGEiFHW8&ab_channel=%E3%81%A1%E3%82%85%E3%83%BC%E3%81%AB%E3%81%A1TV|관중과 마찰을 겪는가 하면]], [[다얀 비시에도]]의 병살로 1득점을 하자, [[https://mobile.twitter.com/NUCB/status/1645789327635664898|득점 만세 응원을 하는 응원단에게 '뭐가 만세냐, X신인가?(万歳じゃねーよ。馬鹿か!)라고 욕을 하는 등]](...) 작년보다 더하면 더한 상황에 팬들도 지쳐가는 모양새이다. 그리고, 급기야 [[주니치 신문]] 산하 주니치 스포츠에서 '[[https://www.chunichi.co.jp/article/670995?ref=spo_top_pc_mainnews|이번 시즌 주니치는 '''두 번이나''' 이기고 있다. 작년 개막 9연패에서 클라이맥스 시리즈에 진출한 한신은 어떻게 절망의 늪에서 기어나와 올라갔는가?]]'라는 고도의 희망회로인지, [[정신승리]]인지 모를[* 실제로 [[한신 타이거스/2022년|직전년도 한신]]은 개막 9연패에서 가을야구까지 가긴 했지만, 지금의 주니치와는 비교가 과분할 정도로 상황이 좋았다. 홈런도 주니치 대비 1.3배 더 많이 쳤고(주니치 62 vs 한신 84), 도루는 리그 1등이었으며(110도루), 덕분에 득실마진이 리그에서 제일 좋았다. 게다가 [[교류전]]에서도 전체 2위 12승 6패를 거둔 건 덤이었다.] 기사가 나오기에 이르렀다. 겨우 9시합했는데 득점은 13, 실점은 30이라는 극악의 득실마진을 기록하며 옆리그 라쿠텐과 함께 극악의 물빠따를 자랑하는 중. 계속된 타격 부진으로 인하여, [[J1리그]] [[나고야 그램퍼스]]와 같은 경기수로 비교하면 득점이 더 적어 주니치 팬들은 아예 최근 5~6시합의 득점 수를 비교하기까지 이르렀으며 축구팬들은 J리그 1경기당 평균 득점랭킹에 주니치를 집어넣기 시작했다(...). 4월 12일 기준으로 평균 득점 기준으로는 [[세레소 오사카]]와 같은 9위이나 득실차가 -17로 [[J2리그]] [[제프 유나이티드 이치하라 치바]]보다 더 낮다. 급기야 [[엘링 홀란드]]와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npb&no=79152&page=4|비교하는 글]]까지 나오기 시작했다(...). 2차전은 3회까지 퍼펙트로 호투하던 후쿠타니가 [[니시카와 료마]]에게 선제 2타점 적시타를 내주고 3⅔이닝만에 강판되었지만, 이후 불펜이 카프 타선을 상대로 '''단 1출루'''만 허용하며 철저히 봉쇄했고, 우려했던 [[조일로 알몬테]]가 솔로 홈런으로 동점을 이룬데 이어 엔도가 흔들린 틈을 타 호소카와의 2루타로 득점권 찬스를 유지했다. 엔도가 내려간 이후 올라온 [[아두와 마코토]]를 상대로 키노시타의 역전타와 대타 [[아리스티데스 아키노]]의 투런포로 점수를 벌리면서 3연패를 끊어내고 귀중한 승리를 거뒀다. * '''4/14 ~ 4/16 VS [[요미우리 자이언츠]]({{{#blue 2승 1패}}})''' 요미우리가 직전 한신과의 3연전을 루징 시리즈로 마감한 덕분에 기어이 양 팀은 승차 없이 승률에서만 요미우리가 약간 앞선 상태로 [[단두대 매치]]를 치르게 되었다. [[이시카와 타카야]]의 시즌 첫 출장인 1차전은 안방으로 옮겨 [[오가사와라 신노스케]]와 [[타일러 비디]]의 개막전 리매치가 성사되었다. 주니치는 2회말부터 호소카와와 후쿠나가의 연속 안타에 키노시타의 땅볼로 선취점, 츠치다의 적시타로 2점을 가볍게 뽑았다. 4회말에도 호소카와가 2루타로 두 경기 연속 멀티히트를 기록, 투수 오가사와라가~~답내친~~적시타와 오오시마의 적시타로 점수를 4:0으로 벌렸다. 5회까지 무실점으로 막은 오가사와라가 6회초 1사부터 흔들리며, [[오코에 루이]]에게 볼넷, [[마루 요시히로]]에게 안타, [[사카모토 하야토]]와 [[나카타 쇼]]에게 적시타를 허용하며 2실점했지만 자신의 힘으로 6이닝을 113구로 마무리지었다. 오가사와라의 역투에 보답하듯 7회말 [[키노시타 타쿠야]]의 만루 싹쓸이 3타점 적시타로 '''선발 전원 안타(!)'''를 기록했고, 8회말에도 대타 [[아리스티데스 아키노]]의 적시타와 대타 칼리스테의 타점으로 점수를 9:2까지 화끈하게 벌리고 대승을 거두며 '''[[요미우리 자이언츠]]를 1770일만의 꼴찌로 밀어넣었다'''. --한신팬들이 이 소식을 좋아합니다.-- 2차전, 단독 꼴찌로 굴러 떨어진 쿄진이 자존심에 상처를 입었는지, [[타카하시 히로토]]를 2회초부터 무사만루 위기로 몰아넣고 2득점을 거두었고, 4회초에는 [[오시로 타쿠미]]가 솔로 홈런을 기록하면서 3:0으로 도망갔다. 주니치는 점수를 따라붙기 위해 5회말에 주전 유격수 츠치다와 선발 타카하시의 타석에 모두 대타를 투입하였고, 볼넷으로 출루한 대타 칼릭스테를 오오시마가 적시타로 불러들이며 1점을 따라붙었다. 6회말에도 이시카와의 볼넷과 호소카와의 2루타로 한 점차로 따라붙었지만, 주니치의 타선으로는 쿄진 불펜도 털기 어려웠고(...) 결국, 9회초 이시카와의 실책이 나비효과를 불러일으키며 대거 3실점하며 6:2로 패배하고 말았다. 이로인해 요미우리에게 밀려 다시 꼴등으로 내려앉았다. 3차전, 1회말부터 요미우리 선발 아카호시 유지를 털어 4점을 선취해 0-4로 시작했으나, 요미우리의 반격도 만만치 않았다. 2회 워커의 투런포로 2-4로 추격했고, 2회말 1점을 도망갔으나 5회초에 4-5까지 추격을 당했고 주니치 선발 스즈키 히로시는 승리투수 요건에 아웃카운트 1개를 남기고 내려가야 했다. 구원으로 올라온 소부에 다이스케가 어찌저찌 막고 5회말 2점을 내서 겨우 5-7로 승리, 위닝 시리즈와 탈꼴지를 이뤄냈다. 주니치가 웬일로(?) 타격전을 펼친 것이 이상하지만, 선발 투수 스즈키를 제외한 선발 야수 전원 안타를 기록, 홈런은 없었지만 적재적소에서 15안타가 폭발하면서 7:5로 승리할 수 있었다. 오오시마는 5타수 2안타로 만 37세임에도 시즌 타율 .400을 기록 중이며, 오카바야시는 3안타, 호소카와는 거의 매일 장타 포함한 멀티 히트로 시즌 타율이 .429까지 올라갔다. 이시카와도 3타수 2안타 1타점으로 늦게 합류했지만 적응에 어려움은 없는 모습. 위닝 시리즈는 물론이고, 쿄진을 꼴찌로 다시 밀어넣은 다음 월요일 휴식이라... * '''4/18, 4/20 @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red 피스윕}}})''' 4월 18일 1차전에 등판한 [[와쿠이 히데아키]]는 5이닝 2실점을 기록했으나, 두 배 이상의 안타를 기록하고도 무득점에 그친 주니치 타선 덕분에 결국 시즌 3패를 달성했다. 주니치 타선은 와쿠이가 등판한 세 경기에서 '''총 1득점(...)'''이라는 눈물나는 득점지원으로 와쿠이의 세리그 데뷔 시즌을 험난하게 만들고 있다. 2차전에는 [[이시카와 타카야]]가 2회말에 백스크린을 직격하는 큼지막한 중월 홈런을 기록하며 좋은 폼을 유지하고 있었지만 연장 11회말에 [[나카무라 유헤이]]에게 끝내기 안타를 맞고 패배하며 스윕당했다. * '''4/21 ~ 4/23 VS [[한신 타이거스]]({{{#blue 2승 1패}}})''' 1차전 선발 [[오가사와라 신노스케]]가 1회초부터 [[치카모토 코지]]를 볼넷, [[쉘든 노이지]]에게 안타를 맞고 1사 1,3루의 득점권 위기를 맞아 [[오오야마 유스케]]에게 희생플라이로 1실점하면서 시작을 끊었지만 7회까지 5피안타 2볼넷 9탈삼진 1실점 호투로 팀의 승리를 책임졌다. 타선 역시 한신의 에이스 [[아오야기 코요]]를 2⅔이닝 7피안타 2볼넷 1사구 4탈삼진 4실점으로 무너뜨리며 오가사와라에게 초반부터 득점지원을 해주면서 연패를 끊었다. 한편, '''14연패(...)'''를 기록하던 2군 역시 한신 2군을 상대로 4:1로 승리하면서 겨우 연패를 끊었다. 에이스로 자리잡은 [[타카하시 히로토]]가 2차전 선발로 출격하여 6이닝 90구 5피안타 1사구 7탈삼진 2실점으로 호투했으나, [[요미우리 자이언츠|쿄진]]을 상대로 7이닝 퍼펙트를 기록했던 [[무라카미 쇼키]]에게 철저히 틀어막히며 9이닝 2피안타 '''무사사구''' 10탈삼진 완봉승을 허락해 2:0으로 무기력하게 패배했다. 3차전 선발 후쿠타니가 절정의 폼을 자랑하는 [[치카모토 코지]]에게 '''초구 리드오프 홈런'''을 허용하면서 한신이 경기 시작과 동시에 쉽게 점수를 뽑았다. 하지만, 이 것이 이날 한신의 유일한 득점이 되었다. 후쿠타니는 경기 제1구 피홈런의 충격에도 침착한 피칭으로 6⅓이닝 96구 4피안타(1피홈런) 1볼넷 5탈삼진 1실점 호투를 펼쳤으며, 주니치 타선은 이 날도 역시 친 것에 비해 득점 생산력은 매우 떨어졌지만, 5회말 [[사이키 히로토]]를 상대로 호소카와의 2타점 적시타가 터지면서 후쿠타니의 실점보다는(...) 많이 득점하면서 승리를 챙겨다주었다. * '''4/25 ~ 4/27 @ [[히로시마 도요 카프]]({{{#green 1승 1패}}})''' 25일 경기는~~비를 몰고 다니는 츠라이 때문에~~우천중지되었고, 26일에는 만날 때마다 주니치 타선의 혈을 뚫어주는(...) [[오세라 다이치]]를 제압하고 [[와쿠이 히데아키]]가 7이닝 3실점으로 '''센트럴 리그에서의 첫 승'''을 신고했다. [[라이델 마르티네스]] 역시 [[쿠리바야시 료지]]와 [[야마사키 야스아키]]와 타이를 이루는 시즌 7세이브를 달성했다. 타선에서는 4타수 3안타 2타점으로 활약한 [[오카바야시 유키]], 거의 매경기 장타 포함하여 멀티히트를 때리고 있는 [[호소카와 세이야]], 3타수 2안타 2타점을 기록한 [[후쿠나가 히로키]] 등이 좋은 모습을 보인 반면, 아키노는 오세라 상대로도 열심히 선풍기질을 했다(...) 27일 경기는 [[아라이 타카히로]]와 [[타츠나미 카즈요시]] 양 감독이 막장 경기 운영 능력을 뽐내면서 질 떨어지는 [[병림픽]]을 보여준 끝에 12회말에 역전패를 당했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히로시마 도요 카프/2023년/4월, 문단=8.3)] * '''4/28 ~ 4/30 VS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red 피스윕}}})''' 세리그 1위와의 홈경기이자 [[골든 위크]] 첫 시리즈다. 1차전은 [[이마나가 쇼타]]와 [[오가사와라 신노스케]]와의 투수전이 전개되어 양쪽 다 타선이 제대로 터지지 않았으나, 승리는 4회초에 [[마키 슈고]]의 적시타로 결승점을 낸 요코하마에게 돌아갔다. 2차전은 5회까지 4:2로 앞서나갔으나, 6회초부터 계투진이 단체로 제구 난조 + 연타를 맞으면서 순식간에 5실점을 하면서 뒤집혔고 그대로 패배. 3차전은 [[타카하시 히로토]]와 [[아즈마 카츠키]]의 맞대결. 타카하시는 5회에 만루 상황에서 마키에게 2타점을 맞으면서 강판. 계투진은 무실점으로 버텨냈지만 주니치 타선은 아즈마를 상대로 2루조차 못밟고 4안타만 치면서 아즈마에게 완봉을 헌납했다. 스윕패는 물론 벌써 이번 시즌 8번째 영봉패. 작년에 이어서 요코하마만 만나면 죽을 쑤는 모습을 이번 시즌도 초반부터 보여주고 있다. 주니치의 제일 큰 문제는 역시나 타선. 타율은 야쿠르트가 밑바닥을 보여주고 있고 주니치 타선이 4월 중후반부부터 터지기 시작해서 높아지긴 했지만 홈런 갯수가 압도적 최하위로 4월 마지막 경기까지 끝난 시점에서 '''꼴랑 4개'''이다. 12개 구단 단독 최하위인건 물론이고, 오릭스의 [[스기모토 유타로]](8개), 교진의 [[나카타 쇼]]/세이부의 [[나카무라 타케야]](둘 다 6개)보다 적다. 심지어 비슷한 시기 개막한 KBO, MLB와 비교해도 [[양석환]]보다 적으며[* 참고로 KBO 팀 홈런 최하위는 [[한화 이글스]]인데 그 한화도 9개나 쳤다.] MLB는 내셔널, 아메리칸 리그 안 가리고 주니치보다 홈런이 많은 타자가 수두룩하다.[* 한 술 더 떠서 MLB 홈런 상위권 선수들은 이미 주니치의 2배씩 친 타자들이 많고 [[맥스 먼시]]나 [[피트 알론소]]는 3배 가까이 치고 있다.] === 5월 === * '''5/2 ~ 5/4 @ [[한신 타이거스]]({{{#red 1승 2패}}})''' 한신의 에이스 [[아오야기 코요]]가 주니치 타선을 맞아, 1회초부터 [[오카바야시 유키|오카바야시]]-[[오오시마 요헤이|오오시마]]-[[조일로 알몬테|알몬테]]에게 안타를 맞고 무사만루를 만들어주었다. [[이시카와 타카야|이시카와]]가 땅볼로 물러나긴 했지만, 해결사 [[호소카와 세이야|호소카와]]가 2타점 적시타, 미조와키의 희생플라이로 3:0을 만들었다. 아오야기는 이후에도 무라마츠에게 안타, [[키노시타 타쿠야]]를 볼넷으로 내보내며 또다시 만루 위기를 맞이했지만, 주니치 선발 후쿠타니를 삼진으로 잡으며 겨우 이닝을 마무리했다. 2회 이후 주니치 타선은 할 일 다 끝냈다는 듯, 고작 1안타에 그쳤지만(...) 후쿠타니가 6⅔이닝 1실점 호투와 소부에와 [[라이델 마르티네스]]의 필승조가 틀어막으면서 3:1로 승리, 4연패를 끊었다. 헌법기념일을 맞은 5월 3일 14시 경기, 주니치 타선이 한신의 또다른 에이스 [[니시 유키]]를 2이닝만에 털었다. [[이시카와 타카야]]의 안타 이후 [[다얀 비시에도]]와 후쿠나가가 범타로 물러나긴 했지만, 무라마츠-[[키노시타 타쿠야]]-'''[[와쿠이 히데아키]]'''의 3연속 안타와 [[오카바야시 유키]]의 볼넷 이후 또다시 [[오오시마 요헤이]]-[[호소카와 세이야]]-이시카와의 안타로 무려 7타자 연속으로 출루하며 이틀 연속으로 한신 에이스들을 주니치 타선이 박살내면서 [[한신아재]]들을 빡치게 했다. 그러나 와쿠이가 2회말에 [[치카모토 코지]]에게 2타점 적시타, 5회말 [[쉘든 노이지]]의 희생플라이와 [[사토 테루아키]]에게 적시타를 내주며 6:4까지 한신이 추격했다. 6회말, 와쿠이 대신 올라온 스나다가 스트레이트 볼넷을 내주자 카프전의 PTSD 때문인지(...) 바로 카츠노로 투수 교체를 하였으나 카츠노가 치카모토를 5구 볼넷, [[나카노 타쿠무]]를 스트레이트 볼넷을 내주면서 장작을 쌓다 결국 [[오오야마 유스케]]에게 적시타를 맞고 기어이 동점을 허용했다. 이후 7회와 8회는 소강 상태로 흘러갔고, 9회초에 [[카일 켈러]]의 견제 실책을 통해 만든 2루 찬스에서 키노시타의 적시타로 7:6으로 리드를 다시 잡았고, 수호신 [[라이델 마르티네스]]가 9회말에 올라왔다. 그러나 9회말 한신도 선두타자 오오야마의 2루타를 치고 나가며 마지막 희망을 살렸다. 오오야마는 대주자 [[우에다 카이]]로 교체되었고, [[사토 테루아키]]가 2루 정면 타구를 쳤으나 2루수 후쿠나가가 포구하지 못하고 뒤로 빠뜨리면서 동점을 만들었다. 이후로도 피안타와 볼넷을 묶어 무사 만루 찬스를 한신이 잡았고, 결국 [[키나미 세이야]]의 끝내기와 함께 주니치는 6점차 리드를 지키지 못하고 대역전패를 당했다. 경기 결과와는 별개로 주니치가 3실책, 한신도 2실책을 기록하는 등 [[대첩(야구)|막장대첩]]이라 불러도 모자람이 없는 경기 내용을 보여줬다. 여기에다가 이 날까지 무홈런으로 기어이 '''100이닝 연속 무홈런'''이라는 대기록[* 5/3 기준으로 주니치의 팀홈런은 4개에 그치는데 그 마저도 이시카와를 제외하면 대부분이 타격이 좋지않아 주로 벤치에서 스타트하는 선수들이 기록하였다.]이 쓰여지고 말았다. 5월 4일 에이스 [[야나기 유야]]가 선발로 나왔고 야나기는 [[답내친]]까지 시전하며 7이닝을 1실점으로 막고 있었지만, [[타츠나미 카즈요시|감독]]이 8회에도 야나기를 올렸고 상대 팀 타자들에게 두들겨 맞는 와중에도 놔두다가 '''130구 던지고 3실점에 승계주자 두 명'''이 있는 상태에서 내려가게 했다. 다행히도 추가 실점은 없었으나 9회초 2-3 상태에서 끝내 뒤집지 못했고 그대로 2-3으로 경기 끝, 루징 시리즈를 기록했다. * '''5/5 ~ 5/7 VS [[요미우리 자이언츠]]({{{#blue 스윕}}})''' 어린이날 시리즈이자 골든 위크 마지막 시리즈. 선발 [[오가사와라 신노스케]]가 1회초 선두타자 히로오카 타이시에게 리드 오프 홈런을 맞는 주니치스러운 스타트를 끊었고, 5회초 사카모토와 애덤 워커에게 연속 적시타로 3:0으로 끌려갔다. 주니치는 5회말 후쿠나가 안타-키노시타 볼넷-무라마츠 안타로 무사 만루 찬스를 잡아 [[카토 쇼헤이]]가 곧바로 2타점 적시타를 기록, 1점차 무사 1·2루 찬스를 이어갔으나 오카바야시가 번트 실패, 이토 코스케의 병살타로 추가 득점에 실패했다. 주니치는 4회에서 6회까지 3이닝 연속 병살타를 치는 막장 공격을 선보였으나, 리그 최악의 불펜을 보유한 쿄진을 상대로 8회말 호소카와의 2타점 역전 적시타와 [[이시카와 타카야]]의 투런포, 후쿠나가의 투런포까지 6득점 빅이닝을 터뜨리면서 36,000명 가까인 찾아온 어린이와 가족팬들 앞에서 굳은 의지를 보였다. 특히 4번 이시카와는 주니치의 '''117이닝만의 홈런'''(...)을 터뜨리는 활약으로 마침내 정규시즌 10승 고지(?)에 올랐다. 또한, 작년 9월에 국가 지정 난치병에 걸려 엔트리에서 말소된 이후 고생한 후쿠 히로토가 8회초 1이닝 무실점으로 복귀하자마자 승리 투수가 되는 기쁨을 누리기도 했다. 2차전 선발 [[마츠바 타카히로]]가 6이닝 1실점, [[포스터 그리핀]]이 7이닝 1실점을 기록했다. 주니치는 4회초에 애덤 워커에 적시타를 허용하며 선취점을 내주었지만, 6회말 득점권 찬스에서 [[키노시타 타쿠야]]의 동점 적시타, 8회말 볼넷으로 나간 이시카와를 대신하여 들어간 대주자 타카마츠 와타루가 도루 성공[* 8회초 요미우리도 똑같이 주자가 1루에 나갔으나, 보내기 번트 실패와 함께 공격에서 무득점으로 물러났다.] 이후 후쿠나가의 안타 때 홈을 밟으며 역전승을 거두며 위닝 시리즈를 확정지었다. [[라이델 마르티네스]]는 일본 통산 100세이브를 성공시켰다. [[https://news.yahoo.co.jp/articles/1793886ba5f132e4b1181c5c57667362113d1f14|주니치 동료들이 직접 케이크를 만들어 건네주면서 100세이브 달성을 축하했다]].~~[[야리엘 로드리게스|너는 튀지말라는 소리]]~~ 3차전, 주니치는 선발로 에이스 [[타카하시 히로토]]가, 쿄진은 [[아카호시 유지]]가 출격했다. 타카하시는 물론이고, 아카호시 역시 호투하면서 투수전 양상으로 흘러가며 6회까지 양 팀 모두 무득점에 그쳤으나...7회초에 [[오시로 타쿠미]]가 균형을 깨는 시즌 4호 솔로 홈런으로 타카하시에게 일격을 가했다. 하지만, 아카호시 역시 7회말에 [[키노시타 타쿠야]]에게 담장을 직격하는 적시타를 맞고 동점을 허용하며 6⅔이닝 1실점으로 교체되었다. 불펜싸움으로 들어간 8회 이후, [[타지마 신지]]는 깔끔하게 삼자범퇴로 막은 반면, 쿄진의 불펜진은 8회말에만 볼넷 3개로 만루를 만들어주며 주니치에게 찬스를 만들어주었고, [[이시카와 타카야]]가 좌익수 희생플라이로 기어코 역전에 성공했다. 9회말은 [[라이델 마르티네스]]가 깔끔히 삼자범퇴로 막으면서 시즌 10세이브로 센트럴 리그 단독 선두에 올랐다. 타선이 시리즈 내내 선발진에게는 고전했으나, 역시 리그 최악의 쿄진 불펜진을 공략하면서 '''3일 연속 8회말에 역전'''하는 집중력으로 시즌 첫 스윕에 성공하며 5위 쿄진과 승차없는 6위까지 올라오는 데 성공했다. * '''5/9 ~ 5/11 VS [[히로시마 도요 카프]]({{{#red 피스윕}}})''' 카프는 [[2023년 G7 히로시마 정상회의]]로 4연속 원정 시리즈의 첫 단추이고, 1차전은 [[기후현]]의 [[나가라가와 구장]]에서 치러졌다. 1회부터 양 팀이 1사 1,3루에서 무득점으로 시작하였지만, 선발 후쿠타니가 두드려맞으면서도 카프의 득점권에서의 변비야구와 아라이의 이해할 수 없는 작전[* '''104kg인 [[맷 데이비슨]]을 도루시키려다''' 삼진+도루 실패로 병살을 기록한다든가(...)]으로 6이닝 9피안타 7K 무실점을 기록했다. 하지만, 주니치 역시 [[토코다 히로키]] 공략에 어려움을 겪으며 무득점에 그쳤고 결국에는 8회에 필승조 소부에가 [[노마 타카요시]]에게 실점하면서 1:0으로 패배, [[요미우리 자이언츠|쿄진]]과는 다시 1게임차로 벌어졌다. 시즌 9번째 영봉패 및 '''세리그 전구단 상대 영봉패''' 기록을 세우는 데는 불과 30경기밖에 지나지 않았다(...) 2차전 선발로 출격하는 [[와쿠이 히데아키]]는 세리그에서의 첫 승을 카프에게서 기록한 좋은 기억을 가지고 있지만, 상대는 주니치 킬러 [[쿠리 아렌]]. 초반부터 카프가 매섭게 몰아쳤는데, 3회초에만 [[키쿠치 료스케]]-[[노마 타카요시]]-[[아키야마 쇼고]](내야안타)에 [[라이언 맥브룸]]에게 2타점 적시타와 [[니시카와 료마]]에게 희생플라이로 순식간에 3실점을 기록했다. 이후에도 6회초 노마에게 적시타를 맞고 추가 실점했지만, 주니치는 카프의 소총 타선에도 꾸역꾸역 실점을 최소화하는 것은 좋았으나... 쿠리에게 손도 못대면서 9이닝 118구 4피안타 2볼넷 5탈삼진 '''완봉승'''을 대주면서 기어코 '''시즌 열 번째 셧아웃'''을 당했다. 이 페이스대로 가면 시즌 영봉패가 무려 '''46'''(...)회라는 사실에서 주니치 타선은 누가 잘친다고 하더라도 크게 개선되지 않고 있다. '''팀 홈런 10개보다[* 이 시점에서 주니치의 팀홈런은 불과 6개.] 영봉패 10패를 먼저 찍었다'''는 점에서 이 팀의 절망적인 공격력이 잘 드러난다. 정규시즌 5경기 '''0승 3패 1.99'''(...)를 기록 중인 [[야나기 유야]], 승리 요건을 갖추고도 아라이의 삽질로 날려먹은 [[로베르트 코르니엘]]이 각각 첫 승 수확을 위해 출격했다. 카프의 2회 무사만루와 3회 2사만루를 찬스를 야나기가 침착하게 꾸역꾸역 막아내었고, 3회말과 4회말 찬스를 주니치는 놓치지 않고 2점을 뽑았다. 하지만, 5회초에 야나기가 실점을 막지 못했지만 상대 주루 코치의 뻘짓으로 홈에서 주루사하면서 점수는 2:2로 유지되었다. 하지만, 카프와의 불펜 싸움에서 밀리다가 11회초 대타 [[마츠야마 류헤이]]에게 역전 적시타를 맞고 통한의 피스윕을 당했다. 쿄진 스윕 직후 야나기와 후쿠타니의 당찬 인터뷰는 결국 설레발이 된 채로 피스윕이라는 독이 되어 돌아오고 말았다... * '''5/12 ~ 5/14 @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red 1승 2패}}})''' 1차전 선발로 주니치는 [[오가사와라 신노스케]], 야쿠르트는 타카나시 히로토시가 출전했다. 1회초 주니치 공격 때 선두타자 오오시마의 2루타에 이어, [[오카바야시 유키]]가 '''데뷔 4년차에 프로 데뷔 첫 홈런'''을 기록했다! 1군으로 한정했을 때 무려 818타석만의 첫 홈런이며, 2군까지 포함하면 무려 1286타석만이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오카바야시 유키 프로 데뷔 1호.gif|width=100%]]}}} || 이후에도 호소카와와 이시카와까지 안타를 기록하며 4타자 연속 안타를 기록했으나, 알몬테의 병살과 후쿠나가의 범타로 추가 득점에는 실패. 2회초에는 무라마츠의 안타와 오가사와라의 번트로 2사 2루 찬스, 오오시마가 좌전 안타를 기록하는 사이에 무라마츠가 홈에 들어왔는데, 좌익수의 홈송구 사이에 오오시마가 2루로 질주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 야쿠르트의 코가 유다이 포수가 2루에 송구하는 것이 빗나가는 바람에 오오시마가 그대로 홈을 밟아 4:0을 만들며 들어와버렸다(...) 기록은 [[인사이드 파크 홈런]]이 아닌 좌전안타+포수 실책. 주니치 타선은 6회에도 키노시타의 적시타로 이시카와를 홈으로 불러들였고, 8회에도 2점을 추가하면서 7:1 대승을 거뒀다. 선발 오가사와라는 7이닝 8K 1실점 호투로 시즌 3승을 수확했다. 2차전 선발로 전년도 드래프트 1순위 지명신인 나카치 레이아를 선발로 내세웠지만, 1회부터 [[무라카미 무네타카]]에게 투런포를 맞고 1이닝만 소화하였다. 8회초에 [[호소카와 세이야]]의 시즌 1호가 터진 것을 제외하면 안타는 더 많이 치고도 4:1로 패배, 무라카미에게 홈런 2개를 대주면서 부활시켜준 꼴이 되었다. 3차전 선발 [[타카하시 히로토]]가 5이닝 2실점을 기록했는데... 주니치 타선은 득점 지원은 커녕 실책 퍼레이드만 벌였다. 이시카와 혼자 2개, 알몬테와 호소카와까지 공식적으로 기록된 실책만 4개로 결정적인 실점으로 이어지는 등 타카하시를 도와주지 못했다. 타카하시 뒤에 나온 [[타지마 신지]], [[타니모토 케이스케]], [[후쿠 히로토]]까지 죄다 실점하며 게임이 터져버렸다. 그래도 8회초 [[무라마츠 카이토]]가 데뷔 첫 홈런을 [[오가와 야스히로]]에게서 '''만루홈런'''으로 장식했다. 루징 시리즈로 마무리했지만, 1차전에서 [[오카바야시 유키]]의 데뷔 1호, 2차전에서 [[호소카와 세이야]]의 시즌 1호, 3차전에서 무라마츠의 데뷔 1호 등 의미있는 기록이 쏟아져나왔다. * '''5/16 ~ 5/18 VS [[한신 타이거스]]({{{#red 피스윕}}})''' 1차전은 [[토요하시 시민구장]]에서 치른다. 1차전 선발 맞대결은 [[후쿠타니 코지]]와 [[무라카미 쇼키]]. 후쿠타니가 1회부터 2사만루 위기를 맞이하더니 미에세스에게 적시타를 맞고 선취점을 내주었다. 4회까지 양 선발이 꾸역꾸역 막다가 5회초, 후쿠타니가 [[오오야마 유스케]], [[사토 테루아키]], [[사카모토 세이시로]], [[키나미 세이야]]에게 차례대로 두들겨 맞으면서 5:0까지 벌어지고 말았다. 두 자릿수 안타를 기록한 건 덤... 주니치도 5회말, 그 무라카미에게 [[호소카와 세이야]]의 적시타와 [[이시카와 타카야]]의 밀어치는 쓰리런으로 1점차까지 추격에 나섰다. 하지만, 6회초에 한신이 다시 2점차로 벌렸으며, 9회초 노장 [[타니모토 케이스케]]가 또다시 3점이나 퍼주면서 결국 9:4로 패배하고 말았다. 그리고 2차전과 3차전은 안타를 많이 쳤음에도 산발적인 안타가 대부분이어서 각각 1점밖에 뽑지 못하는 발암 타선을 선보이며 패배, 스윕패와 동시에 5연패, 홈 6연패에 빠졌다. 하도 리드할 일이 없다 보니 3차전에 1주일 넘게 개점휴업 중이었던 마무리 라이델 마르티네스를 실전감각 유지를 위하 패색이 짙어가던 9회에 올리는 일을 해야 했다. 2차전은 호소카와의 시즌 2호 솔로 홈런으로 겨우 영봉패를 면했고, 3차전은 [[야나기 유야]]마저 무너지고, 이시카와 타카야의 본헤드 플레이[* 8회말 2사에서 무라마츠의 안타 때 2루 주자였던 이시카와가 1루주자 호소카와의 생환을 확신한 나머지 홈에 들어올 때 속도를 줄이며 들어왔는데, 1루주자 호소카와가 3루까지 질주하다가 노이지의 호송구에 걸려서 터치 아웃되었고, 이시카와가 홈 베이스를 밟은 게 3루쪽 아웃보다 타이밍이 늦어버려서 결국 8회말은 무득점으로 끝나버렸다.]까지 나오면서 결국 스윕당했다. 그 와중에 야나가니는 나고야돔이 아니였다면 넘어갔을 지도 모를 큼지막한 장타를 날리면서 .417의 고타율을 유지하면서 웬만한 주니치 타자들보다 잘치고 있다(...) * '''5/20 ~ 5/21 @ [[요미우리 자이언츠]]({{{#red 피스윕}}})''' 1차전은 오가사와라가 연패를 끊기 위해 나섰지만 2회 1사 1,3루 상황에서 류쿠의 실책으로 1실점, 3회에 오카모토에게 적시타를 맞고 1실점, 5회에 2사 만루 상황에서 오시로 타쿠미에게 만루포를 얻어맞고 무너졌다. 타선은 6회에 이시카와 타카야가 2점 홈런을 낸게 전부. 이렇게 6:2로 패하면서 6연패에 어느새 26패째. 이 페이스대로라면 12개 구단 초고속으로 30패를 찍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2차전, [[타카하시 히로토]]가 6연패를 끊어내기 위해서 출전하였지만... [[애덤 워커]]에게 선제 투런포와 4회에도 마루에게 적시타를 맞는 등 4이닝 3실점으로 조기 강판된 반면, '''전년도 육성드래프트 지명신인''' [[마츠이 하야테]]에게 5이닝 무실점으로 프로 데뷔 첫 승까지 헌납하는 노답 타선이 타카하시를 돕지 못했다. 그나마 마츠이가 내려간 이후 [[호소카와 세이야]]의 시즌3호 투런포로 1점차로 추격에 나서긴 했지만, 오카모토에게 투런포를 맞고 되려 3점차로 벌어지다 결국 7연패를 달성하고 말았다. * '''5/23 ~ 5/25 @ [[히로시마 도요 카프]]({{{#blue 2승 1패}}})''' 2군 갔던 [[다얀 비시에도]]가 히로시마 원정이라고 귀신같이 등록되었다(...) 1차전은 [[하야시 코타]]에게 선제 솔로포를 맞고도 아키야마와 하야시를 제외한 나머지를 후쿠타니가 잘 제압하면서 시즌 3승을 신고했다. 2사 만루에서 행운의 내야안타로 동점을 만든 오시마, 아라이의 투수 교체가 늦은 틈을 타 호소카와의 역전 2타점 적시타로 3:1승리를 거두면서 '''70이닝만의 리드(...)와 7연패를 끊어내는 데 성공했다.''' 2차전은 [[와쿠이 히데아키]]가 1회부터 홈런 두 방에 비시에도의 실책으로 순식간에 노아웃 5실점을 기록했다. [[나카무라 타카히로]]에게 데뷔 첫 타점까지 선물해준 뒤 비시에도가 희생플라이로 시즌 첫 타점(...)을 기록하고, 이시카와가 땅볼로 추가 타점을 올렸지만 천적 [[쿠리 아렌]]은 결국 7이닝 1실점으로 시즌 3승을 수확했다. 3차전, '''[[야나기 유야]]가 [[칠전팔기]] 끝에 마침내 시즌 첫 승을 수확했다.''' 뿐만 아니라, [[다얀 비시에도]]도 시즌 첫 홈런을 기록한 것은 덤. 이쯤되면 아라이는 기부천사가 따름없다... * '''5/26 ~ 5/28 VS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blue 2승 1패}}})''' 1차전부터 [[오가사와라 신노스케]]와 [[로버트 그셀만]]이 나란히 7이닝 호투를 하면서 투수전 양상으로 흘러갔다. 하지만, 오가사와라는 7이닝 103구 3피안타 2볼넷 9탈삼진 무실점으로 시즌 4승을 거머쥔 반면, 그셀만은 7이닝 107구 4피안타(1피홈런) 2볼넷 5탈삼진 1실점을 기록, 이들의 운명을 가른 것은 4회말 4번 [[이시카와 타카야]]의 시즌 5호 한 방이었다. 주니치는 이 한 방으로 2연승 및 '''시즌 첫 영봉승, 시즌 첫 요코하마전 승리''', [[라이델 마르티네스]]가 시즌 12세이브로 단독 선두에 오르는 등 유의미한 기록을 남긴 경기였다. 2차전 주니치는 [[마츠바 타카히로]], 요코하마는 2군에서 한 번 조정하고 올라온 [[트레버 바우어]]가 등판했다. 마츠바가 1회초부터 [[마키 슈고]]에게 2타점 적시타로 점수를 허용하였으나, 1회말 호소카와가 첫 타석부터 한복판 135km/h짜리 커터를 당겨치는 홈런을 선물해주었다. 요코하마가 1점차의 리드를 유지하고 있었으나, 호소카와가 6회말에 한복판 130km/h 슬라이더를 밀어치면서 바우어에게 하나 더 선물해주었다. 이날, 호소카와는 4타수 4안타(2홈런) 2타점 2득점에 장타만 무려 3개로 맹활약을 펼쳤고, 호소카와의 활약에 힘입어 9회말에 무라마츠의 끝내기 안타로 '''시즌 첫 끝내기 안타'''와 함께 3연승으로 탈꼴찌까지 0.5게임차까지 좁혔다. 요코하마전 위닝 시리즈 확보도 크나큰 의미있는 일이 아닐 수 없다. 팀 타선을 하드 캐리 중인 호소카와는 요코하마 시절에는 기회를 별로 받지 못하다가, 주니치 이적 후 그 [[반테린 돔 나고야]]에서 76타수 28안타 3홈런 11타점 .368/.429/.587의 슬래시 라인에 OPS도 무려 1.016이라는 무지막지한 성적을 기록하면서 주니치의 거포 기근을 말끔히 해결해주고 있다. 3차전 선발 [[타카하시 히로토]]는 2군에서 조정을 마치고 돌아온 [[오오누키 신이치]]와 맞대결을 펼쳤다. 아니나 다를까(...) 주니치 타선은 역시나 득점지원은 전무했고 오히려 5회초에, 히로시마 클리닉 퇴원 이후 다시 맛이간 [[다얀 비시에도]]의 어이없는 실책으로 인해 이닝이 종료되지 못하고 비자책 3실점으로 이어지면서 패전을 안겨다주었다. 완봉을 거두려고 9회에도 올라온 오오누키를 상대로 이시카와의 행운의 내야안타로 완봉은 저지하며 2사 1·3루 최후의 찬스를 얻었지만... 역적 of 역적 비시에도가 4구만에 [[야마사키 야스아키]]에게 컷당하면서 스윕 실패 및 탈꼴찌에 0.5게임차 모자란 채로 [[교류전]]에 들어가게 되었다. * '''5/30 ~ 6/1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blue 2승 1패}}})''' 교류전의 첫 맞대결 상대. '''의외로''' 최근 2년간의 전적은 4승 1무 1패로 앞서있다! 그러나 첫날부터 후쿠타니가 호크스 타선에게 두들겨 맞으면서 강판, 두번째 불펜은 [[콘도 켄스케|호크스]] [[야나기타 유키|클린업]] [[쿠리하라 료야|3인방]]에게 3연속으로 힛 바이 피치를 던지는 등 화끈하게 불을 지르며 13:5로 대참패, 12개 구단에서 가장 먼저 30패를 찍게 되었다. 안타는 13:14로 단 1개차였고, 피홈런은 정작 [[카이 타쿠야]](...)의 투런포가 전부였지만, 언제 복귀할 지 모를 [[우메츠 코다이]], 반쯤 시즌 아웃된 상태인 [[오노 유다이(야구선수)|오노 유다이]]의 공백으로 어쩔 수 없이 로테이션에 들어간 후쿠타니는 호크스 타선을 견딜 수가 없었고, 연이어 나온 필승조가 아닌 불펜들도 참담한 수준이었다. 2번 좌익수로 시즌 첫 출장한 브라이트 켄타가 의외로 5타수 3안타 1타점 1득점을 기록, 오카바야시와 함께 테이블 세터로서 나란히 3안타씩 기록하였으나, 정작 중심 타선인 호소카와와 이시카와가 상대적으로 부진하는 바람에 득점을 쓸어담지 못했던 컷도 컸다. 그나마 위안이라면, 자신의 생일날에 시즌 첫 스타멘 출장하여 9회에 솔로 홈런을 기록한 [[우카이 코스케]]의 홈런이 터진 것 정도. 2차전은 [[후쿠오카 PayPay 돔]]의 지붕을 개방한 채로 경기를 치렀다. 선발 [[와쿠이 히데아키]]가 1회말에 멀티 피안타와 [[야나기타 유키]]의 희생플라이로 빠르게 실점했으나, 파리그 시절의 기억이 되살아났는지 7이닝 3피안타 1볼넷 9탈삼진 역투를 펼치면서 시즌 2승을 수확했다. 주니치는 4회초 오카바야시의 도루 이후 믿을맨 호소카와의 적시타로 동점을 이루었고, 1:1로 팽팽하게 맞서던 7회에 브라이트 켄타의 주자 만루를 일소시키는 싹쓸이 적시타를 포함 5안타와 2볼넷을 작렬하면서 히가시하마와 호크스 불펜진을 두들기고 일거 5득점 빅이닝을 만들면서 승리, 당일 닛폰햄에게 져서 '''12연패'''를 한 야쿠르트를 기어이 제끼고 5위로 올라서며 탈꼴찌에 성공했다. 9회초 [[오카바야시 유키]]의 데뷔 두 번째 홈런으로 쐐기를 박은 것은 덤. === 6월 === 6월 1일 소프트뱅크와의 3차전, 시즌 2승에 도전하는 [[야나기 유야]]가 1회부터 야나기마치 타츠루에게 2타점 적시타를 맞고 어렵게 스타트를 끊었지만 2회초 무사만루에서 곧바로 동점을 만들었다. 야나기는 3회말에 또다시 야나기마치에게 내야안타로 실점했으나, 5회초 브라이트가 사구로 나간 이후 1사만루에서 [[호소카와 세이야]]의 타점 먹방 2루타로 역전에 성공, 7회초 선두타자 후쿠나가가 데뷔 두 번째 홈런을 쏘아올렸다. 하지만, 평소에는 믿을맨이던 후쿠 히로토와 시미즈가 야나기의 승을 가볍게 날려먹어버렸지만(...) 8회초, 최근 입지가 위태한 [[타카하시 슈헤이]]가 결승 적시타를 뽑아내면서 '''2006년 이후 17년만의 후쿠오카에서의 위닝 시리즈'''를 기록했다. * '''6/2 ~ 6/4 VS [[오릭스 버팔로즈]]({{{#red 1승 2패}}})''' 1차전은 2023년 제2호 태풍 [[마와르(2023년 태풍)|마와르]]의 영향으로 [[히로시마]] 경기를 제외한 모든 노천 구장 경기가 취소되었으나, [[반테린 돔 나고야]] 덕분에 주니치는 1차전을 치를 수 있었다. 선취점은 의외로 빠르게 났는데, 1회말 선두타자 오카바야시의 3루타 이후 3번 타자 호소카와가 볼카운트 3-1에서 [[야마오카 타이스케]]의 폭투로 호소카와는 볼넷, 오카바야시가 폭투를 틈타 홈을 밟았다. 하지만, 오가사와라가 3회 [[차노 토쿠마사]]에게 적시타를 허용하면서 동점이 되었고, 오가사와라는 7회까지 115구 7탈삼진 1실점 호투를 펼쳤으나 주니치 타선의 추가 득점지원이 없었다. 9회말 2사 만루에서 대타 [[다얀 비시에도]]가 역시나 범타로 물러나면서 승부는 연장전으로 향했다. 11회말, 다시 한번 2사 만루 끝내기 찬스를 만든 주니치는 루키 [[무라마츠 카이토]]의 시즌 두 번째 끝내기 안타로 닛폰햄과 함께 3승 1패로 교류전 1위로 올라섰다. 2차전 선발 [[마츠바 타카히로]]가 친정 오릭스 타선을 5이닝동안 1안타로 잘 억제하였으나, 득점은 1회말 [[이시카와 타카야]]의 적시타가 전부였고, 잘 던지는 마츠바를 63구만 던졌음에도 5회말 1사 1루에서 대타로 교체하질 않나, 7회초 투수 교체하는 족족 두드려 맞으면서 5실점 빅이닝을 허용하면서 연패를 끊어버렸다. 3차전, 7이닝 13탈삼진 무실점을 기록한 [[타카하시 히로토]]에게의 득점 지원은 역시나 없었다. 결국, 타츠나미 감독이 또다시 투수 운용 문제로 8회에 5실점 방화로 어제와 비슷한 흐름으로 이어지면서 [[미야기 히로야]]에게 9이닝 2피안타 10K 완봉을 허용하고 떡실신했다. 이 날 야쿠르트가 라쿠텐에게 위닝 시리즈를 기록하면서 다시 최하위로 돌아갔다. * '''6/6 ~ 6/8 @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blue 2승 1패}}})''' 이번 [[교류전]]에서 '''유이하게 무홈런을 기록 중인 양 팀'''의 맞대결(...) 물빠따에 빛나는 양 팀의 맞대결 답게 1차전부터 득점권 무득점에 주루사의 향연이 펼쳐지면서... 앞선 등판에서는 부진했던 세이부의 [[요자 카이토]]는 7이닝 2실점으로 시즌 첫 QS+를 기록한 것은 물론~~그러고도 패전인 것은 안 비밀~~, 스즈키 히로시는 데뷔 6년차에 첫 선발승을 거두는 기염을 토했다(...) 5회초, [[오카바야시 유키]]의 선제 적시타와 '''5월 [[센트럴 리그]] MVP''' [[호소카와 세이야]]의 추가 적시타로 2:0의 리드를 만들었다. 8회말 무사 1·3루 위기를 맞이하였지만 1실점으로 싸게(?) 막았고, 9회말은 [[라이델 마르티네스]]가 간단히 삭제시키고 시즌 14세이브를 달성하며 1차전을 가져갔다. 2차전, 세이부는 [[혼다 케이스케(야구선수)|혼다 케이스케]]가 오프너로 주니치는 친정을 상대하는 [[와쿠이 히데아키]]가 선발로 출격했다. 역시나 물빠따 대결로 투수전이 펼쳐졌으나 7회말 [[겐다 소스케]]의 선제 적시타로 와쿠이는 8이닝 1실점을 하고도 패전 위기에 놓였으나, 9회초 대타 무라마츠가 [[마스다 타츠시]]를 상대로 희생플라이를 기록하면서 와쿠이의 패전은 삭제되었지만, 소부에가 9회말 하세가와 신야에게 끝내기 홈런을 맞고 연장전 없이 칼퇴근(...) 이날은 호소카와가 3타수 무안타로 물러났는데 8회초에 호소카와 앞에 그 오오시마를 대주자로 교체하고 오카바야시에게 번트까지 대게 하면서 호소카와의 안타를 기대하였으나 호소카와가 범타로 물러나자 득점에 실패하는 등 득점에 있어서 호소카와에 대한 의존도가 거의 100% 수준에 가깝다. 특히, 붙박이 4번 [[이시카와 타카야]]는 '''최근 7경기 30타수 1안타'''에 그치면서 혈막을 자처하고 있다... 3차전, 시즌 2승에 도전하는 [[야나기 유야]]가 출전함과 동시에 삽질하던 [[이시카와 타카야]]가 스타멘에서 제외되어 [[호소카와 세이야]]가 커리어 첫 4번 타자로 출장하였다. 호소카와가 첫 타석부터 2타점 적시타에 6회초 시즌 6호 솔로 홈런까지 치면서 5타수 3안타(1홈런) 3타점 2득점 맹활약을 펼쳤다. 2회에는 [[우카이 코스케]]가 시즌 2호 투런포로 주니치의 교류전 첫 홈런을 기록하는 등 시작과 동시에 경기를 터뜨려버렸다. 야나기는 [[와타나베 켄토]]에게 홈런을 맞으면서 와타나베는 시즌 첫 홈런, 야나기는 시즌 첫 피홈런을 기록하였으나 9이닝 2실점 완투승으로 시즌 첫 완투와 동시에 시즌 2승을 수확하면서 위닝 시리즈를 기록했다. 다시 5위 자리를 탈환한 것은 덤. * '''6/9 ~ 6/11 @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blue 2승 1패}}})''' 1차전은 1사 만루에서 [[타카하시 슈헤이]]의 적시타로 기분좋게 2점 리드로 출발했지만, 타츠나미 감독이 불안한 모습을 보이며 투구수를 많이 기록한 [[오가사와라 신노스케]]를 120구가 넘은 상태에서 7회에도 마운드에 올리면서 'again 개막전' 사태를 찍어버렸다. 개막전과 다른 점은 개막전 때는 이겼고, 이날은 졌다는 것(...) 결국 5:4 한 점차로 패하면서 오가사와를 적절한 시기에 교체했더라면 충분히 이길 만한 승부였을 것이다. 오가사와라는 최종적으로 6⅔이닝 '''131구''' 10피안타 2볼넷 5탈삼진 5실점 패전. 2차전, 교류전 최대 혈막 이시카와가 결국 스타팅 라인업에서 제외되었으나 결과는 또다시 1:0 영봉패. 또다른 혈막 비시에도는 여전하고, 오가사와라는 그렇게 굴러더니 [[마츠바 타카히로]]는 지난 번에 이어서 또다시 조기에 교체하였다(...) 3차전은 우천으로 순연되었다. 예비일인 6월 21일에 경기가 진행될 예정이다. 교류전 예비일에 치러지는 3차전, [[타카하시 히로토]]가 시즌 3승을 위해 출격, 라쿠텐의 타키나카와 맞대결을 펼쳤다. 1회초부터 선두타자 오오시마의 2루타와 오카바야시의 적시타로 순조로운 출발을 한 주니치는 이시카와의 '''교류전 3호 안타'''(...)까지 터지면서 기선제압에 성공하였다. 2회초에도 류쿠-이시바시-오오시마의 연속 안타로 2점을 추가, 3회초에는 호소카와의 시즌 9호 솔로포까지 터지면서 전날 13:0으로 참패한 라쿠텐에게 추가타를 먹였다. 5회초 이시카와의 희생플라이까지 터지면서 5:0의 리드를 잡았으나, 타카하시가 2연속 만루 위기를 겨우 넘기는 등 6회말까지 꾸역꾸역 막다 7회말 주니치 내야의 2연속 실책으로 2점 내주고 말았다. 하지만, 양 팀 모두 추가득점 없이 [[라이델 마르티네스]]가 시즌 15세이브를 달성, 타카하시는 [[교류전]] 3경기 선발에서 '''방어율 0.00'''을 기록한 역대 다섯 번째 선수로 이름을 새겼다. * '''6/13 ~ 6/15 VS [[치바 롯데 마린즈]]({{{#green 1승 1무 1패}}})''' 1차전은 시즌 통틀어서 득점지원이 총 6점이었던 [[타카하시 히로토]]가 무려 7점이라는 득점지원에 힘입어 '''9이닝 125구 5피안타 2볼넷 9탈삼진 완봉승'''으로 데뷔 첫 완투 및 완봉을 달성했다. 주니치 타선은 11안타(2홈런)으로 7득점을 기록하는 득점 생산력과 6회말에는 [[호소카와 세이야]]의 시즌 7호 솔로 홈런 및 [[다얀 비시에도]]의 시즌 2호 및 '''미일통산 200호'''의 백투백 홈런까지 터지며 승부에 쐐기를 박았다. 2차전은 [[와쿠이 히데아키]]가 호투를 펼쳤음에도 [[타네이치 아츠키]]의 호투에 막혀버렸고, 무라마츠가 3타수 3안타로 활약했지만, 중심 타선인 호소카와와 비시에도가 4타수 무안타로 침묵하면서 2:1로 패배하였다. 결국, 호소카와가 해결하지 못하면 지는 팀(...) 3차전은 양 팀의 처절하다 못해 답답함으로 점철된 경기가 이어졌고 결국 1:1 무승부로 경기가 종료되었다. 주니치의 시즌 첫 무승부. 하지만, 승패보다 손등에 공을 맞은 [[키노시타 타쿠야]]가 골절상을 입어 출전할 수 없게된 사실이 주니치에게 더욱 뼈아픈 손실이다. * '''6/16 ~ 6/18 VS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red 피스윕}}})''' 1차전 경기 시작 두 시간을 앞두고 카프의 레전드 [[키타벳푸 마나부]]와 주니치의 '''첫 우승([[1954년 일본시리즈|1954]])'''을 이끌었던 [[스기시타 시게루]] 두 명의 레전드가 연이어 부고 소식이 전해지면서 일본 야구팬들이 슬픔에 빠졌다. 카프의 [[토코다 히로키]]와 주니치의 [[오가사와라 신노스케]]는 나란히 어깨에 무거운 짐을 달고 경기에 임했지만, 토코다가 9이닝 완봉승으로 키타벳푸의 넋을 기린 것과는 달리, 오가사와라는 7이닝 2실점 호투에도 불구하고 눈치도 없이 터지지 않는 타선 덕분에 2:1로 패배하고 말았다. 2차전은 [[이토 히로미]]를 상대로 1회말 호소카와의 타점, 2회말 선발 [[마츠바 타카히로]]의 스퀴즈 성공, 3회말 호소카와의 적시타로 3:0 리드를 잡았다. 마츠바가 5회초 투수 이토에게 적시타 허용, 고작 5⅓이닝 62구 5피안타 2볼넷을 기록하고 후지시마가 구원 등판하였으나...구원 등판한 후지시마가 [[아리엘 마르티네스]]에게 역전 쓰리런을 맞고 떡실신하면서 마츠바 조기 교체는 또한번 실패를 맛보게 되었다. 8회초 무사만루에서도 [[키요미야 코타로]]에게 밀어내기 볼넷, [[후시미 토라이]]의 타점으로 6:3까지 벌어지면서 지난 해 피스윕으로 시작된 닛폰햄전 5연패에 빠졌다. 그나마 위안거리는 9회초에 22년 육성드래프트 1라운더 신인 마츠야마 신야가 데뷔전을 치러 단 14구만에 [[노무라 유키]]-이시이 카즈나리-[[아리스멘디 알칸타라]]를 모조리 삼진으로 돌려세우는 인상적인 데뷔를 보여주었다는 것. 3차전, 마츠바의 말소로 등록된 후쿠나가가 1회부터 만나미와 마르티네스에게 연속 적시타를 허용하면서 2:0으로 끌려갔다. 7회초 [[마츠모토 고]]의 적시타와 소부에의 폭투로 점수를 더 퍼다주며 4:0이 되었지만, 타선은 고작 2안타에 그치면서 기어코 닛폰햄을 상대로 2년 연속 피스윕을 당하며 [[교류전]] 역시 새드엔딩으로 끝나게 생겼다. 라쿠텐과의 11일 3차전 경기가 21일에 [[센다이]] 원정으로 치를 예정이다. 그 사이 19일에 닛폰햄과의 2:2 트레이드가 단행되었다. 주니치에서 야마모토 타쿠미 투수와 군지 유야 포수를 내주고, 닛폰햄에게서 사이토 코우키 투수, 우사미 신고 포수를 얻어왔다. * '''6/23 ~ 6/25 VS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blue 2승 1패}}})''' '''사실상 A클래스와 거리가 멀어진 두 팀의 탈꼴찌 매치업'''. 1차전은 [[오가사와라 신노스케]]와 [[사이 스니드]]의 맞대결. 스니드에게 매우 약했던 주니치였던지라 열세가 예상되었고, 아니나다를까 스니드가 9이닝 105구 6피안타 1볼넷 5탈삼진 무실점 완봉승을 갖다바쳤다. 반면, 오가사와라는 호투에도 불구하고 [[타츠나미 카즈요시]] 감독의 답이 없는 투수 교체 타이밍으로 오가사와라의 자책점은 4점으로 불어나면서 4:0 셧아웃. 2차전은 6월초에 입단한 신 용병 [[움베르토 메히아]]의 일본프로야구 데뷔전이 펼쳐졌다. 하지만, 첫 등판이라 적응이 어려웠던 건지 포심 패스트볼 최고 구속 151km/h에 생소한 [[너클볼]]까지 선보이는 등 피안타는 단 1개로 구위를 증명하였지만, 탄착군이 높게 잡히며 제구에 어려움을 겪었고, 결국 불어난 투구수 때문에 4이닝 94구 1피안타 5볼넷 1실점을 기록하며 첫 승 수확에는 실패하였다. 하지만, [[오가와 야스히로]]를 상대로 1회말부터 호소카와의 동점 적시타와 7회말 [[키노시타 타쿠야]]의 부상을 기회삼아 출전 기회를 얻은 이시바시 코타의 역전 투런포로 3:1 승리를 거두며 다시 공동 5위에 올랐다. 3차전은 [[와쿠이 히데아키]]가 6이닝 112구 6피안타 2볼넷 7탈삼진 1실점 호투로 시즌 3승 및 '''[[나고야 돔]] 첫 승리'''를 기록하였다. 타선 역시 와쿠이와 더불어 호투를 펼치던 [[타카하시 케이지]]를 상대로 비시에도-호소카와-이시카와 클린업 트리오가 5회말 3연속 적시타로 와쿠이를 지원 사격하였고, 6회말에도 오오시마가 내야안타로 적시타, 8회말에도 츠치다 류쿠의 적시타로 5:1 승리를 거두며 탈꼴찌 매치업은 주니치가 위닝 시리즈를 가져가며 야쿠르트를 6위로 내몰고 단독 5위를 차지했다. * '''6/27 ~ 6/29 @ [[한신 타이거스]]({{{#red 1승 2패}}})''' 1차전 선발로 나선 [[야나기 유야]]가 3회말에만 5점을 주는 부진으로 2⅔이닝만에 강판된 변수가 발생하면서 경기 운영에 차질이 생겼다. 주니치 선발진은 확실히 세리그에서도 가장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데, 빠따가 좋은 것도 아니고 그 선발부터 무너지니 어찌할 도리가 없었다. 후지시마, 후쿠, 소부에 등의 왕년의 필승조가 나와서 무너졌고, KKK로 인상적인 데뷔전을 치렀던 신예 마츠야마 신야도 이러한 분위기에서는 별 수 없었는지 2이닝 42구 1피안타 3볼넷 2사구 2실점으로 안습한 경기력을 펼쳤다. 그나마 위안거리는 호소카와의 데뷔 첫 두 자릿수 홈런... 2차전은 [[타카하시 히로토]]와 [[오타케 코타로]]의 에이스 맞대결. 2회초, 선두타자 호소카와의 2루타와 이시카와의 볼넷에 이어 후쿠나가의 번트로 1사 2,3루 찬스에서 이시바시의 선제 2타점 적시타로 타카하시에게 득점 지원을 펼쳤으나, 타츠나미 감독이 7회에 흔들리기 시작한 타카하시의 투수 교체 타이밍을 또 못잡다가 기어이 동점을 허용하고 말았다. 10회초 대타 후쿠다의 데드볼로 시작하여 오카바야시의 3루타로 리드를 잡았고, 비시에도의 추가 적시타까지 터지면서 4:2로 다시 2점차로 벌렸다. 10회말은 라이마르가 가볍게 삼자범퇴를 만들면서 승리. 3차전은 [[마츠바 타카히로]]가 콜업되어 복귀전을 치렀으나, 1회부터 류쿠의 실책으로 점수를 내주더니 반대로 주니치 타선은 [[무라카미 쇼키]]에게 압도당하며 8:0 셧아웃으로 깨졌다. * '''6/30 ~ 7/2 @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green 1승 1무 1패}}})''' 1차전 선발은 불쌍한 [[오가사와라 신노스케]]와 요코하마의 좌완 에이스 [[이마나가 쇼타]]. 오가사와라가 위기를 만들면서도 득점권에서는 꾸역꾸역 막아내었으나, 4회말 무사 1·3루에서 [[토바시라 야스타카]]에게 땅볼 타점을 만들면서 선취점을 내줬다. 오가사와라는 그렇게 7이닝 1실점 호투를 기록하였는데, 8회초에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북방]]에서 온 이적생 우사미 신고가 대타로 나와 극적인 동점 적시타를 기록하며 오가사와라의 패전 요건을 지웠다. 9회초에는 오랜만에 스타팅 멤버로 기회를 잡은 [[타카하시 슈헤이]]가 적시타로 [[이시카와 타카야]]를 홈으로 불러들여 역전에 성공하면서 9회말에 [[라이델 마르티네스|누가]] 나올지를 생각하면 사형선고를 내린 것이나 다름 없었다. 9회말은 급히 몸을 풀고 나온 [[라이델 마르티네스]]가 단 13구만에 KKK로 정리해버리며 역전승에 성공하였다. === 7월 === 2차전은 [[움베르토 메히아]]가 시즌 첫 승 수확을 위한 도전에 나선다. 실제로 7회까지 [[트레버 바우어]]와의 맞대결에서 요코하마 타선을 압도하였으나 8회말 주자 두명을 놔두고 내려갔는데 시미즈가 분식회계를 하는 바람에 동점이 되어서 승리는 그대로 날아가고 말았다. 주니치는 1회 [[타카하시 슈헤이]], 2회 [[오카바야시 유키]]의 적시타로 바우어에게 점수를 뽑아내었으나 이후에는 바우어가 꾸역꾸역 막아내긴 했지만, 양 팀 선수들의 경기력과 [[타츠나미 카즈요시|투수 교체 타이밍 더럽게 못잡는 감독]]과 [[미우라 다이스케|야수 기용 더럽게 못하는 감독]]의 삽질은 저질스럽기 그지 없었다. 그 중 백미라면...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30701 Baysball.gif|width=100%]]}}} || ||<#003595> {{{#ffffff '''정품 ベイス★ボール(...)'''[* '''Baseball'''이 아니라,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Bays]]ball'''(...)]}}}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욕하는 바우어.gif|width=100%]]}}} || ||<#003595> {{{#ffffff '''Fuuuuuck! Fuuuuuck! Fuck!(...)'''}}} || [[트레버 바우어]]도 욕나오게 만드는 어이없는 런다운 플레이. 결국 바우어가 직접 후속 타자를 처리하긴 했으나, 분이 가시지 않았는지 공을 냅다 관중석에 던지고 벤치에 들어갈 때까지 욕을 퍼부었다(...) 9회말 요코하마는 1사 만루 끝내기 찬스에서 [[시바타 타츠히로]]가 제2구를 타격했는데...그것이 또 '''유격수 라인드라이브가 되었고 3루 주자 마키가 귀루하지 못하고 아웃'''되면서(...) 매이닝 레전드를 찍은 두 팀은 연장전으로 들어갔다. 11회말, 선두타자 [[쿠와하라 마사유키]]가 초구 안타로 출루하였는데, 치노 나오토가 보내기 번트 실패 삼진으로 물러난데다 [[마키 슈고]] 역시 삼진으로 물러나면서 주니치는 한숨 돌렸다. 요코하마는 투아웃 [[카미자토 카즈키]] 타석에 쿠와하라에게 도루를 시켰으나 1루와 2루 중간에서 쿠와하라가 햄스트링 통증을 호소하는 바람에 그자리에서 멈춰서 주루사(...) 연장 12회말, 주니치는 패배당하지 않겠다는 일념으로 전날 등판했던 [[라이델 마르티네스]]가 연투하였는데 아까 병살을 기록한 시바타가 무려 라이마르를 상대로 안타(...) [[쿠스모토 타이시]]의 타구를 오카바야시가 슬라이딩 캐치하다 흘리면서 2사 1·3루의 위기 상황을 맞이하였으나 [[토바시라 야스타카]]의 타구는 아슬아슬하게 유격수 땅볼로 끝이나고 말았다. 양 팀 모두 불펜은 불펜대로 다 쓰고, 요코하마는 타격 부침이 장기화되는 와중에 미야자키에 이어 쿠와하라까지 이탈하는 불상사가 겹치며 양 팀 모두 상처만 남은 경기가 아닐 수 없었다. 3차전은 [[와쿠이 히데아키]]가 시즌 4승 수확을 위해 출전하였으나...2회초에는 하위 타순의 야마모토 유다이, 3회초에는 [[마키 슈고]]에게 적시타를 허용하였다. 6회초, 그렇게 학수고대하던 이시카와의 한 방이 터졌으나 와쿠이가 실점으로 6회말을 마무리하지 못한 채 마운드를 내려갔고, 스코어 그대로 3:2로 패배하면서 1승 1무 1패를 주고 받으며 안방에서 쿄진 2연전을 치르러 이동한다. * '''7/4 ~ 7/5 VS [[요미우리 자이언츠]]({{{#red 피스윕}}})''' 1차전은 [[야나기 유야|야나기 센세]]가 출격하였는데 3회초 [[마루 요시히로]]에게 투런을 맞고 시작하였다. 4회말에 [[이시카와 타카야]]의 적시타로 1점 따라붙었지만 타츠나미의 투수 교체 타이밍이 또다시 글러먹은 모습으로 8회초 [[오시로 타쿠미]]에게 기어이 쓰리런을 맞고 5실점으로 떡실신하고 말았다...타선은 야마사키 이오리에게 7이닝 101구 4피안타 1볼넷 6탈삼진 1실점 호투와 시즌 5승을 헌납하였다. 2차전 [[타카하시 히로토]]가 선발로 출격하였으나, 1회 첫 타자 [[루이스 브린슨]]의 타구에 왼쪽 허벅지를 맞고 통증을 호소하였다. 이것이 문제가 되었는지 무사만루를 채우고 [[오카모토 카즈마]]에게 만루 홈런을 허용, 0.1이닝만에 마운드를 내려가고 말았다. 이런 악재 속에서도 3회말 [[우카이 코스케]]의 투런과 5회말 호소카와-이시카와의 연속 적시타로 5:5 동점을 만드는 저력을 보였지만, 연장 11회말 이시카와의 높게 뜬 타구가 정중앙 담장 바로 앞에서 잡히며 안타깝게 넘어가지 못했고, 결국 12회초 소부에가 2실점으로 무너지고 말았다. 12회말 폭투에 힘입어 1득점 2사 3루 마지막 찬스를 잡았으나 야속하게도 땅볼로 경기가 종료되면서 연패에 빠졌다. * '''7/7 ~ 7/9 VS [[히로시마 도요 카프]]({{{#blue 2승 1패}}})''' 1차전의 상대는 주니치전 '''4경기 3승(1완봉) 0.29'''의 천적 [[쿠리 아렌]]이었으나 무려 7실점을 안겨다주면서 8:0 대승을 거뒀다. [[오가사와라 신노스케]]도 좌상바 카프 타선을 상대로 '''9이닝 102구 3피안타 2볼넷 4탈삼진 무실점으로 시즌 첫 완봉승'''을 거뒀다. 2차전 역시 선취점을 내줬지만 6회말 이후 집중력을 발휘하면서 역전에 성공, 5:1로 승리하면서 6이닝 5피안타 1볼넷 3탈삼진 1실점으로 [[움베르토 메히아]]가 NPB 데뷔 첫 승을 신고했다. 3차전은 와쿠이가 선발로 출격, 3회초 [[니시카와 료마]]에게 풀카운트 승부에서 쓰리런을 맞고 5이닝을 끝으로 대타 후쿠다 노부마사로 교체되었다. 그런데 후쿠다의 대타 솔로 홈런과 [[나카자키 쇼타]]를 상대로 한 점 뽑아내며 1점차로 추격, 9회말에는 선두타자 이시카와의 2루타로 동점 찬스를 잡았지만 끝내 홈으로 불러들이지 못하면서 시리즈 스윕에 실패하였다. 생일을 맞이한 [[쿠리바야시 료지]]는 6회에 마운드에 올라와 클린업 트리오인 호소카와, 비시에도, 이시카와를 정리하며 삼자범퇴로 처리하면서, 자신을 뽑아주지 않은 고향팀을 향해, 허리디스크로 좋지 않은 컨디션에도 불구하고 자기 최고구속 154km/h를 찍는 쾌투를 펼쳤다. 패배하긴 했지만 최근 타격감 좋은 이시카와가 오늘도 멀티히트를 기록하는 등 호소카와 하나에만 의존할 필요를 줄일 만한 반등의 모습을 보이는 것은 긍정적인 요소. * '''7/11 ~ 7/13 @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blue 2승 1패}}})''' 탈꼴찌를 향한 야쿠르트와의 시리즈 맞대결. 1차전은 [[야나기 유야]]가 출전하여 5회까지 무실점으로 막았으나, 6회에 난조를 보여 2실점하며 6이닝 90구 4피안타 1볼넷 4탈삼진 2실점을 기록하며 시즌 3승(...)을 기록했다. 최근 좋은 타격감을 가지고 진구구장에 온 주니치 타선은 [[호소카와 세이야]]의 시즌 11호 투런포와 [[이시카와 타카야]]의 시즌7,8호 멀티 홈런을 앞세워 득점을 뽑았고 9회에는 [[라이델 마르티네스]]가 2사 이후 3연속 피안타로 방어율 0.00이 깨질 위기에 처했으나, 나가오카를 잡아내고 시즌 20세이브 고지를 달성했다. 놀랍게도, 현재까지 7월 세리그 팀타율 1위가 주니치이다! 특히 6월 한달동안 '''.113/.185/.145'''라는 목불인견 수준인 기적의 슬래시 라인을 기록하며 혈막 노릇을 제대로 하던 이시카와가 7월 들어서는 '''.484/.515/.935에 OPS 1.451'''이라는 괴력을 과시하고 있다. 2차저 선발 후쿠타니가 고작 1⅔이닝만에 3실점으로 강판되었지만, 이시카와의 홈런 포함 멀티히트를 앞세워 역전까지 성공하였지만...소부에를 비롯한 불펜진의 부진에 결국 [[무라카미 무네타카]]에게 홈런 두 방을 맞고 8:5로 패배했다. 3차전은 지난 번에 완봉승을 거둔 [[오가사와라 신노스케]]가 출격. 2회말 [[도밍고 산타나]]에게 솔로 홈런을 맞고 선취점을 주었지만, 4회초에 비시에도와 무라마츠의 연속 적시타로 역전에 성공하였다. 물론 4회말에 무라카미에게 동점 솔로 홈런을 맞긴 했지만. 6회초 우사미 신고가 이적 후 첫 홈런을 뽑아 리드를 만들었고, 8회초 이시카와가 오늘도 적시타를 기록하면서 4:2로 벌렸고, 9회말은 수호신 [[라이델 마르티네스|라이마르]]가 단 6구만에 정리해버리면서 2연속 위닝 시리즈를 기록했다. * '''7/15 ~ 7/17 @ [[한신 타이거스]]({{{#blue 2승 1패}}})''' '''전반기 마지막 시리즈''' 1차전 선발로 [[타카하시 히로토]]가 출격했으나 오늘도 1회말부터 주자를 쌓으며 선취점을 허용했다. 3회초 무사 1·3루 찬스에서 타카하시의 동점 스퀴즈와 오카바야시의 희생플라이로 역전에 성공하였으나, 4회말 똑같이 1사 1·3루 상황에서 역전을 허용하면서 3:2가 되었다. 타카하시가 6이닝 110구 3실점으로 내려간 이후 8회에도 [[사토 테루아키]]에게 타점을 허용하면서 2점차로 벌려졌지만, [[이와자키 스구루]]가 나오지 않은 9회초에 [[이와사다 유타]]를 상대로 [[오카바야시 유키]]의 2타점 적시타로 극적인 동점을 만들었다. 연장 10회초, 선두타자 미조와키가 2루타로 치고 나간 이후 번트로 1사 3루의 역전 찬스를 맞이한 상황에서 후쿠다의 땅볼 타구에 미조와키가 홈을 밟지 못하면서 2사 1루로 바뀌고 말았지만, 후쿠나가 히로키의 평범한 2루수 땅볼로 이닝이 종료될 것을 2루수 [[나카노 타쿠무]]의 실책으로 2사 1·2루 찬스를 이어나갔다. 결국 앞서 3안타 맹타상의 [[오오시마 요헤이]]가 우측 선상 페어볼로 2루 주자 후쿠다와 한신의 송구 에러까지 겹치며 1루 주자 후쿠나가까지 홈을 밟으면서 6:4로 역전에 성공했다. 10회말은 [[라이델 마르티네스|라이마르]]가 오늘도 무실점 세이브로 종료시키면서 7월의 좋은 기세를 이어나갔다. 실제로도 세리그 7월 타율 1~4위가 모두 주니치 선수([[이시카와 타카야]](.455), [[오오시마 요헤이]](.341), [[오카바야시 유키]](.333), [[우사미 신고]](.333))이며 부진하던 류쿠 역시 .286으로 7위에 올라있다. ---- 2차전은 [[움베르토 메히아]]의 6이닝 무실점 호투와 한신 타선의 삽질, 4회초 호소카와의 시즌 12호 솔로 홈런과 7회초 대타 고토 슌타의 2타점 적시타로 3:0 셧아웃을 거두면서 전반기 마지막 시리즈를 위닝 시리즈로 확정지었다. '''[[타츠나미 카즈요시]] 감독의 100승'''은 덤. ---- 3차전은 [[와쿠이 히데아키]]가 출전해서 1회말부터 부진하다못해 삽을 푸던 [[사토 테루아키]]에게 쓰리런을 맞고 부활시켜주더니 타선은 한신과 나란히 11안타를 기록하고도, 죄다 루상에서 미아가 되어 단 한 명만이 홈을 밟는 주니치 타선으로 돌아오고 말았다. 7월 18일,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의 '''외야수 노망주''' [[카와고에 세이지]]를 받고 내야수 유망주 타카마츠 와타루를 넘겨주었다. 이미 외야 자원이 포화 상태임에도 외야 노망주를 데려온 것이 [[오오시마 요헤이]]를 홀대하던 [[타츠나미 카즈요시]] 감독의 의견이 반영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 '''7/22 ~ 7/23 @ [[히로시마 도요 카프]]({{{#red 시리즈 피스윕}}})''' 1차전은 [[타카하시 히로토]]와 [[모리시타 마사토]]의 맞대결. 2회초 이시카와의 선제 솔로 홈런이 터졌지만, 곧바로 타카하시가 오모리 미노루에게 역전 적시타를 허용하고 말았다. 5회초에 선두타자 [[인정 2루타]]를 기록한 무라마츠가 리드를 크게 잡고 있다 [[아이자와 츠바사]]가 2루에 송구하는 사이 3루로 도루하는 영민한 주루 플레이를 선보이며 류쿠의 희생플라이로 동점을 만들었다. 타카하시가 제구가 좋지 못해 주자를 쌓으면서도 득점권에서는 범타로 막아내며 6이닝 100구 6피안타 3볼넷 6탈삼진 2실점으로 2:2 동점 상황에서 마운드를 내려갔다. 하지만, 타카하시가 내려간 이후 카츠노가~~이름값하지 못하고~~선두타자 투수 모리시타에게 2루타를 맞은 이후, [[노마 타카요시]]에게 세 번째 안타를 허용하면서 역전, [[아키야마 쇼고]]에게 볼넷과 [[우에모토 타카시]]에게 안타를 맞고 1사 만루에서 교체되었다. [[사이토 코키]]가 올라와서 [[코조노 카이토]]를 삼진으로 돌려세웠지만, [[맷 데비이슨]]에게 2타점 중전 적시타를 맞고 5:2까지 벌어지면서 승리와 멀어졌다. 8회초 오모리가 코조노의 콜을 듣지 못하고 부딪히며 낙구하는 바람에 운좋게 선두타자 오오시마가 출루한 이후, 오카바야시의 적시타로 한 점 따라갔지만 아키야마의 레이저 송구로 2루에서 잡히면서 좋다 말았고...결국 2점차를 뒤집지 못하면서 패배, 5위 야쿠르트와의 승차도 2.5게임으로 벌어졌다. ---- 2차전은 주니치에게 상대적으로 약했던 [[오세라 다이치]]와 카프 상대로는 상대적으로 강했던 [[야나기 유야]]의 맞대결이 펼쳐졌으나 오세라의 호투와 카프의 연승 기세를 꺾지 못하고 패배하였다. 6회까지 틀어막힌 오세라를 상대로 7회초 이적생 [[카와고에 세이지]]가 대타로 나서 적시타를 기록했지만 무라마츠의 뇌주루로 이닝이 종료되면서 찬물을 끼얹은 것이 아쉬운 장면이었다. * '''7/25 ~ 7/27 VS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red 1승 2패}}})''' '''1번 [[다얀 비시에도|비시에도]]'''라는 괴랄한 라인업으로 팬들을 충공깽으로 만든 것으로도 모자라 선발 [[오가사와라 신노스케]]가 1회부터 [[쿠와하라 마사유키]] 초구 2루타 - [[세키네 타이키]] 4구 내야안타 - [[미야자키 토시로]] 초구 안타(1타점) - [[마키 슈고]] 초구 2루타(1타점)으로 단 7구만에 4피안타와 2실점을 기록했다. [[마에다 야마토|야마토]]에게도 적시타를 맞으면서 1회부터 5피안타 4실점으로 거하게 불질러버렸다. 5회초에 쿠와하라에게 솔로 홈런까지 허용하면서 5:0으로 끌려가다가 7회말 오오시마의 희생 플라이와 9회말에 오카바야시의 내야안타로 시작하여 2득점 이후 2사 만루에서 동점 및 역전 찬스까지 만들었지만 주니치의 추가 득점은 나오지 않은 채 5:3으로 패배하며 4연패에 빠졌다. ---- [[일본프로야구/2022년/신인선수 선택회의|작년 드래프트 1라운더]] [[나카치 레이아]]가 두 번째 선발 등판 기회를 잡았다. 1회말부터 부진을 깨는 호소카와의 적시타가 터지더니 4회와 5회, 7회까지 나란히 2득점 씩 기록하면서 신인에게 화끈한 득점지원을 펼쳤다. 나카치는 6이닝 105구 1피안타 3볼넷 4탈삼진 무실점의 호투로 데뷔 첫 승을 신고하였다. ---- [[움베르토 메히아]]의 호투와 바우어를 상대로 끊임없이 찬스를 만들었지만 무사 1·3루 찬스마저 무득점으로 날리는 전형적인 주니치 타선의 모습을 보여주다 2:1로 패배. * '''7/28 ~ 7/30 @ [[요미우리 자이언츠]]({{{#red 시리즈 피스윕}}})''' 1회초 호소카와의 솔로 홈런을 앞세워 2점을 먼저 뽑은 주니치였지만, '''전반기에만 10패'''를 달성한 와쿠이가 1회말에 [[오카모토 카즈마]]에게 역전 쓰리런을 맞는 등 난타당하면서 초반에 게임이 터졌다. 11안타 5득점으로 추격하기에는 15피안타 11실점의 마운드 덕분에 다시 연패모드에 빠졌다. ---- 1회 피만루홈런의 기억이 가시기도 전에 [[타카하시 히로토]]가 또다시 쿄진전 부진을 겪었다. 최근 성적이 괜찮은 야마사키 이오리를 상대로 3점을 뽑아냈지만 타카하시의 5이닝 5실점을 극복하지 못하면서 이번 시즌 승패마진 -19를 기록하며 시즌 워스트를 달성했다. ---- [[야나기 유야]]와 [[요안데르 멘데스]]의 7이닝 무실점 호투로 투수전이 펼쳐지면서 0의 행진이 이어졌으나, 8회말 필승조 시미즈가 선두타자 [[사카모토 하야토]]를 볼넷으로 내보낸 이후 [[카지타니 타카유키]]의 희생번트로 득점권 위기를 맞이했다. 타츠나미 감독은 [[오카모토 카즈마]]를 고의사구로 내보냈으나...이 고의사구부터 꼬이기 시작하며 시미즈의 폭투로 1사 2·3루가 된 이후 오카모토를 거르고 상대한 [[아키히로 유토]]에게 2타점 적시타에 [[오시로 타쿠미]]까지 볼넷으로 내보낸 이후 수비 원툴 [[카도와키 마코토]]에게도 2타점 적시타를 맞고 멸망했다. 결국, 4:0 셧아웃으로 시리즈 피스윕으로 우울하게 7월을 마무리했다. 전반적으로 타선은 호소카와의 맹활약 등의 호재가 있어서 작년보다는 홈런을 많이 쳐주고 있고 타율도 높아졌지만 속빈강정인게 득점 지원이 12개 구단 최하위권로 세리그에서 유일하게 300득점을 못 넘기고 있다. 거기에 실책은 그 한신마저도 제치고 센트럴리그 1위이다(12구단 1위는 닛폰햄). 문제는 주니치 2군의 성적 또한 웨스턴리그에서 독보적으로 꼴지일 정도로 1군 못지않게 처참하다는 것. === 8월 === * '''8/1 ~ 8/3 VS [[한신 타이거스]]({{{#red 1승 2패}}})''' 1차전은 오가사와라와 [[니시 준야]]의 맞대결이었지만 오가사와라가 6이닝 6실점으로 탈탈 털리면서 10:2로 대참패. 심지어 이날 오가사와라는 6회 2사 만루 상황에서 '''투수''' 니시 준야에게 싹쓸이 2루타를 맞는 굴욕까지 맛봤다. 5연패에 승패마진은 -21까지 떨어지며 시즌 마진 기록을 꾸준히 경신하고 있다. ---- 2차전은 [[움베르토 메히아]]가 3이닝 1실점으로 조기 강판되는 사태에도 불구하고, 타선이 [[아키야마 타쿠미]]를 공략하였고 남은 6이닝을 불펜진이 단 1안타 하나로 출루를 억제하면서 5연패를 끊어냈다. ---- 안그래도 선발 로테이션이 불안정한 마당에 메히아까지 이탈하면서 적신호가 켜졌다.~~물론 더 떨어질 곳은 없지만~~신인인 [[나카치 레이아]]가 등판했지만 지난번의 깜짝 호투와는 다르게 오늘은 4이닝 103구 5실점으로 5이닝을 채우지 못하고 내려갔다. 그나마 좋았던(?) 점이라면 [[스나다 요시키]], [[오카노 유이치로]], [[후지시마 켄토]], [[타지마 신지]] 등 주요 불펜 자원이 아닌 선수들이 무실점으로 잘 막아주었다는 것이 위안. 6회말 무사 1·3루 찬스에서 [[호소카와 세이야]]가 타점을 기록히긴 했지만 병살을 기록하는 아쉬움과 7회말 [[다얀 비시에도]]의 적시타로 셧아웃은 면한 채 5:2로 패배. * '''8/4 ~ 8/6 VS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blue 2승 1패}}})''' 세리그 [[단두대 매치|5~6위 매치업]]. 주니치는 [[마츠바 타카히로]]가 다시 콜업되어 선발을 맡았고, 야쿠르트는 카프의 [[쿠리 아렌]]만큼은 아니지만 역시 주니치 킬러로 악명높은 [[사이 스니드]]를 내보냈다. 1회초, 시작부터 마츠바가 득점권에 주자를 두는 위태위태한 모습을 보였으나 [[도밍고 산타나]]를 삼진으로 돌려세우면서 26구를 던지면서 무실점을 기록했다. 1회말 선두타자 [[오카바야시 유키]]가 야쿠르트의 수비가 어지러운 틈을 타 선두타자 3루타를 기록,~~하루 안타 못쳤다고~~[[오오시마 요헤이]]를 빼고 넣은 [[카와고에 세이지]]는 삼진(...)으로 물러났다. 하지만, 쿠리 때와 마찬가지로 언제까지고 호구 노릇을 해주지 않겠다는 굳은 의지를 보였는지, [[다얀 비시에도]]의 선제 적시타에 이어 [[이시카와 타카야]]의 안타, 그 둘을 불러들이는 [[호소카와 세이야]]의 2타점 적시타와 [[타카하시 슈헤이]]의 1타점 적시타까지 5안타를 때려부어 4득점 빅이닝을 만들었다. 마츠바는 4회초 산타나에게 1실점을 허용했지만 5이닝 1실점으로 드디어 시즌 첫 승을 수확했다. '''생일을 맞이한''' 호소카와는 무려 나고야 돔에서 3회말 시즌 15호 투런포와 8회말 시즌 16호 투런포까지 '''4타수 3안타(2홈런) 6타점 3득점으로 생일을 자축했다'''. 호소카와의 활약에 힘입은 주니치 타선은 간만에 13안타(3홈런) 11득점으로 11:1이라는 시원한 대승을 거뒀다. ---- 2차전 선발 [[타카하시 히로토]]가 선두타자 [[야마다 테츠토]]에게 2루타를 맞고 시작하였으나 [[미야모토 타케시]]와 [[아오키 노리치카]]를 범타로 돌려세웠으나 폭투로 선취점을 내주고 말았다. 하지만, 1회말 선두타자 오카바야시도 마찬가지로 2루타를 기록하였고 비시에도의 적시타로 동점을 이뤘다. 2회말에는 호소카와의 볼넷과 [[타카하시 슈헤이]]의 2루타로 만든 무사 2·3루 찬스에서 류쿠의 적시타와 야쿠르트의 유격수 나가오카의 송구 미스까지 겹쳐 3:1 역전에 성공, 오오시마의 적시타까지 터지면서 4:1로 앞서나가며 [[오가와 야스히로]]를 무너뜨렸다. 타카하시가 6회초 [[무라카미 무네타카]]에게 적시타를 허용하면서 4:2가 되었지만 이후에는 점수 변동없이 주니치가 승리하였다. ---- [[야나기 유야]]의 3⅓이닝 87구 7피안타 4볼넷 3실점의 부진으로 인한 조기강판과 [[코자와 레이지]]에게 고전한 타선 덕분에 좀처럼 점수를 뽑지 못하였다. 야나기의 강판 이후 주니치 불펜이 거의 완벽하다시피 야쿠르트 타선을 억제해주었지만 타선은 8회말 호소카와의 1타점 적시타에 그치며 3:1로 패배하며 시리즈 스윕에는 실패하였다. * '''8/8 ~ 8/10 @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red 시리즈 피스윕}}})''' 1회부터 그 [[이마나가 쇼타]]를 상대로 테이블 세터가 연속 안타로 밥상을 차려놓자, 호소카와가 2타점, 이시카와가 1타점, 슈헤이가 1타점으로 무려 4점을 뽑고 시작했지만...4회부터 [[오가사와라 신노스케]]가 난조를 보이면서 추격을 허용하더니 결국 6⅓이닝 6실점으로 패전을 먹고 7:4로 역전패하였다. ---- [[스즈키 히로시]], [[오카노 유이치로]], [[타지마 신지]](...)가 줄줄이 나오다 요코하마의 혈막을 뚫어준 반면, 주니치 타선은 [[트레버 바우어]]에게 7이닝 4피안타 1사구 10탈삼진 무실점으로 압도당했다. 9회초 [[이리에 타이세이]]를 상대로 2점을 뽑아내며 셧아웃은 간신히 면하면서 8:2로 대패, 12구단 첫 60패 도달과 동시에 '''자력 [[클라이맥스 시리즈|CS]] 진출 가능성이 소멸'''되었다. ---- 이날 요코하마의 선발은 [[하마구치 하루히로]]였는데, 그 시즌 5패에 방어율 6점 후반대의 제구 안 좋은 선발을 상대로도 주니치 타선은 힘을 못 쓰고 빌빌거렸다. 주니치 선발 나카치 또한 저번 요코하마전의 모습은 온데간데 없이 부진한 피칭. 작전지시 수행능력에도 양팀의 차이가 역력했는데, 2회초 무사 1,2루 상황에서 이시바시에게 보내기 번트를 지시했지만 2루 주자가 아웃당해 보내기에 실패, 류쿠와 나카치가 범타로 물러나 득점에 실패했다. 그러나 바로 2회말에 똑같은 무사 1,2루 상황에서 요코하마는 야마모토가 보내기 번트를 성공시켰고, 직후에 그 미우라의 양아들이라 욕을 먹었던 하야시 타쿠마에게 2타점 적시타를 맞으면서 너무나도 대조되는 결과물을 보여줬다. 결국 이날도 5회에 오카바야시의 적시타로 영봉패만 겨우 면한 채 설마했던 그 '''하마구치에게 시즌 첫 승으로 완투승을 헌납'''하고 스윕당했다. * '''8/11 ~ 8/13 VS [[히로시마 도요 카프]](2승 1무)''' 1회부터 [[노무라 유스케]]를 상대로 오카바야시-오오시마의 테이블 세터의 열일과 우사미의 적시타와 이시카와의 희생플라이로 2득점을 뽑고 시작했다. 3회초에 투수인 노무라에게도 스트레이트 볼넷을 내주며 무사만루 위기를 맞이한 [[마츠바타 타키히로]]였지만, 최악의 타격감을 보여주던 [[키쿠치 료스케]]가 2구만에 병살을 까주면서 운좋게 1실점에 그쳤다. 4회말에는 호소카와의 시즌 17호 솔로 홈런까지 터지면서 다시 2점차로 벌렸고 마츠바는 5이닝 64구 1실점으로 호투에도 불구하고 일찍 마운드를 내려갔다. 7회초, 카츠노가 선두타자 [[우에모토 타카시]]를 8구 볼넷, [[맷 데이비슨]]에게 초구 피안타로 무사 1·3루 위기를 맞이했다. 다행히도 [[사카쿠라 쇼고]]는 처리하였고, 데이비슨의 대주자 오모리를 우사미의 어깨로 도루사로 잡아내면서 2사 3루가 되었다. 하지만, [[도바야시 쇼타]]에게 동점 투런포를 맞으면서 마츠바의 승리 요건은 멀리 날아갔다. 원래라면 역전 쓰리런이었겠지만 [[아라이 타카히로]] 감독의 삽질이 살려준 셈. 이후에는 양 팀이 물빠따를 보여주면서 좀처럼 점수를 내지 못하다가, 12회초 [[타지마 신지]]가 투아웃을 잡고도 연속 3볼넷으로 위기를 맞이하자 [[오카노 유이치로]]로 교체되었다. 더군다나 상대는 우완 킬러 [[노마 타카요시]]. 노마가 오카노를 상대로 3-1의 유리한 카운트를 따내다 5구 째의 빠진 볼을 골라나가면서 밀어내기 볼넷으로 출루하려던 그 때.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30811 키우치 오심.gif|width=500]]}}} || '''키우치 쿠니오 구심은 바깥쪽 높은 빠진 코스를 프레이밍에 속아 스트라이크 판정을 내렸다'''. 말도 안되는 억까를 당한 노마는 결국 6구 째 오카노의 포크볼에 헛스윙 삼진으로 물러나면서 역전승 찬스를 억울하게 날렸고, 주니치는 구사일생하였다. 주니치는 초반의 맹타로 리드를 만들고도 아라이 감독의 삽질과 키우치 구심의 말도안되는 판정으로 겨우 패배를 면하고 무승부로 마쳤다. ---- 2차전은 [[타카하시 히로토]]와 [[모리시타 마사토]]의 리매치가 되었다. 지난번에는 모리시타의 판정승으로 끝났지만, 오늘은 로테이션을 한번 거르고 복귀한 모리시타를 1회부터 5연속 안타로 3득점에 성공하였다. 타카하시는 7이닝 무실점으로 시즌 5승을 거두었고, 모리시타는 1회 5피안타 3실점에도 불구하고, 에이스답게 6이닝을 더 실점없이 끌고가며 7이닝 3실점을 기록했지만, 8회초 [[코조노 카이토]]의 투런포를 제외하면 주니치 타선보다 암울한 득점력 덕분에 희비가 갈렸다. ---- 3차전은 [[야나기 유야]]가 9회까지 카프 타선을 '''노히트 노런'''으로 틀어막았지만, 참 야속하게도 주니치 타선 또한 카프 투수진에게서 1점도 뽑지 못한채 정규이닝을 끝마쳤다. 결국 10회에 마르티네스가 올라왔는데, 2아웃 상황에서 '''[[도바야시 쇼타]]에게 선제포를 맞으면서 경기 첫 안타 및 시즌 첫 실점'''을 기록하며 패전 위기에 처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30813 도바야시 홈런.gif|width=500]]}}} || || '''라이마르의 시즌 첫 실점''' || 그러나 바로 그 다음 10회말에 이시카와 타카야와 우사미 신고가 연타석 홈런을 날리면서 카프의 마무리 [[야사키 타카야]]에게 시즌 첫 블론과 패전을 안김과 동시에 카프를 6연패의 수렁에 빠트렸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30813 이시카와 홈런.gif|width=500]]}}} || || '''이시카와의 동점 홈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30813 우사미 백투백 사요나라.gif|width=500]]}}} || || '''우사미의 백투백 사요나라 홈런''' || * '''8/15 ~ 8/17 VS [[요미우리 자이언츠]]({{{#green 1승 1패}}})''' 1차전은 2023년 제7호 태풍 [[란(태풍) #s-3|란]]이 [[와카야마현]]에 상륙하여 [[칸사이]] 지방을 관통하며 돔구장임에도 불구하고 경기가 취소되었다. 나고야가 태풍의 위험반원에 있었기 때문. 16일 경기는 [[포스터 그리핀]]과 [[오가사와라 신노스케]]의 좌완 매치업이 되었다. 주니치는 안방마님 [[키노시타 타쿠야]]가 복귀전을 치렀다. 주니치가 먼저 류쿠가 야수선택으로 선취점을 뽑았지만 추가 득점 없이 1:0의 리드가 이어지다가, 6회까지 무실점 호투하던 오가사와라가 7회에 [[나카타 쇼]]에게 동점을 허용하는 바람에 7이닝 소화까지 아웃 카운트 하나를 남겨놓고 7이닝 1실점 ND이 되었다... 하지만 쿄진이 접전에서 불펜 싸움을 이길 리가 만무했고, 9회말 선두타자 호소카와와 오오시마의 연속 안타로 끝내기 찬스를 잡았다. 키노시타의 보내기 번트로 1사 2·3루가 되자 [[하라 타츠노리|하라]] 쿄진 감독은 병살 유도를 위한 만루책으로 류쿠를 [[김거김|거르고]] 내야 전진 수비를 시켰다. 만루책이 무색하게도 대타 우사미는 단 4구만에 끝내기 안타를 기록하면서 '''두 경기 연속 끝내기의 주인공이 되었다'''. ---- 17일 2차전은 [[스가노 토모유키]]의 호투에 막히면서 2:0으로 셧아웃당했다. 럭키세븐 7회말에 스가노가 무라마츠에게 안타, 대타 미요시 히로노리에게 사구를 맞히면서 교체되었고,~~나이삐~~타카나시 유헤이를 상대로 2사 만루 찬스를 만들었지만 대타 우사미의 타구는 야속하게도 우익수 정면으로 향하며 득점에 실패하였다. 선발 [[마츠바 타카히로]]는 4회초에만 [[사카모토 하야토]]의 2루타로 시작되는 [[오카모토 카즈마]]의 안타, [[아키히로 유토]]의 적시타, [[나카타 쇼]]의 적시타로 이어지는 4연속 피안타로 5이닝 2실점을 기록하였다. * '''8/18 ~ 8/20 @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red 시리즈 피스윕}}})''' 1차전 선발로 나선 신인 [[나카치 레이아]]에게 진구구장의 환경은 가혹하기 그지없었다. 5이닝 5실점으로 마무리한 이후 [[오카노 유이치로]]가 2이닝 3실점, 후지시마 쇼타 역시 1이닝 2실점으로 10:2 패배로 대차게 깨지고, 타츠나미 감독은 '''54년만의 2년 연속 원정 10연패'''라는 불미스러운 기록만 경신하였다. ---- 2차전은 '''[[타츠나미 카즈요시|타츠나미]] 감독의 생일'''인데다 에이스 [[타카하시 히로토]]가 출전했음에도 결과가 달라지는 것은 없었다. 그래도 1회부터 호소카와의 안타 이후 이시카와의 시즌 12호 투런포로 선취점은 뽑았지만, 타카하시가 6회에 폭투로 동점을 허용한 이후 7회에 희생플라이로 역전을 당하면서 3:2로 패배하였다. 생일날에 승리는 고사하고, [[오카바야시 유키]]의 29경기 연속 안타 종료, [[키노시타 타쿠야]]는 [[도밍고 산타나]]의 팔로스루에 맞아 출혈, [[이시카와 타카야]]는 [[키자와 나오후미]]에게 헤드샷을 맞는 등 악재만 쌓였다. 이것과는 별개로 야쿠르트가 2023 시즌에 들어서서 빈볼을 자주 던지는 이미지가 강해져서, 이시카와가 맞고난 뒤 [[도쿄온도]]가 흐를 때에 [[https://www.youtube.com/watch?v=RJRXqYfTln8|주니치 팬이 '''쿠타바레 야쿠르트'''를 외치기도 했다.]] ---- 3차전은 [[야나기 유야]]. 이날도 야나기 유야는 8회말까지 1피홈런 1실점으로 역투를 보여줬으나, 이 놈의 물빠따는 그 역투를 철저하게 배신하며 [[사이 스니드]]에게 꽁꽁 묶였다. 그나마 9회초에 어찌저찌 1사 1,3루를 만들었지만 연속 플라이로 물러나며 사이 스니드에게 완봉을 헌납. 원정 연패는 12까지 늘어났다. [[야나기 유야]]가 [[윤석민상|방어율 2.78이라는 상당히 준수한 성적을 뽑아주고 있음에도 3승 9패를 찍는 이유]]를 여실하게 보여준 경기였다. 똑같이 방어율 2.78이지만 각각 10승 4패와 9승 4패를 기록하고 있는 롯데의 [[타네이치 아츠키]], 요코하마의 [[트레버 바우어]]와는 너무나도 대조되는 상황. * '''8/22 ~ 8/23 @ [[한신 타이거스]]({{{#red 시리즈 피스윕}}})''' 하필 또 원정 시리즈가 이어지는데... [[죽음의 원정]] 기간이라 경기는 [[교세라 돔 오사카]]에서 진행되었다. 1차전부터 양 팀이 물빠따와 에러들을 선보이면서 3:3에서 연장전에 들어갔지만 10회말 [[타지마 신지]]가 2아웃 잘 잡아놓고는 안타-볼넷-볼넷으로 위기를 만들더니 [[오오야마 유스케]]에게 한복판에 꽂아넣고 끝내기 안타를 맞는 타지마다운 행동으로 패배했다. 호소카와도 멀티 히트를 기록했지만 정작 1사 2·3루 득점권 찬스였던 두 번째 타석에는 삼진으로 물러나는 등 영양가 있었다고 하긴 어렵다. 2회초 무사만루 찬스도 고작 희생플라이로 1득점에 그치는 등 잔루만 12개를 남겼으니 이기는 것을 바라는 것 자체가 무리일 수도. 그나마 [[오오시마 요헤이]]가 안타 하나를 기록하며 [[명구회]] 입성 조건인 통산 2000안타까지 단 2개만을 남겨놓고 있어 기록 달성으로 위안 삼는 것이 전부. 물론, '''1959년 이후 64년만의 원정 13연패'''와 '''1995년 이후 28년만의 승패마진 -26'''이라는 불명예스러운 기록도 따라붙었지만. ---- 23일 오후에는 [[타츠나미 카즈요시|타츠나미]] 감독이 "'''[[https://www.zakzak.co.jp/article/20230823-K2DHO77VIROPNMPME352UJEPLY/|쌀밥먹지 말라고 밥솥을 치워버렸다(...)]]'''"는 기사가 올라오며 일본야구팬들을 충격에 빠뜨렸다.[* 먹지 말라는 이유도 아주 가관인데, 팀내 거포 유망주 [[이시카와 타카야]]가 부진하자 감독이란 작자가 쌀밥을 먹으니 몸이 둔해져 부진한다라는 신박한 논리로 선수단 전원에게 금지시켰다.] 찌라시 황색언론으로 유명한 zakzak발이긴 하지만 무려 [[https://www.youtube.com/watch?v=cW7mZOSrLx8&t=838s&ab_channel=%E4%B8%AD%E6%97%A5%E3%83%89%E3%83%A9%E3%82%B4%E3%83%B3%E3%82%BA%E5%85%AC%E5%BC%8F%E3%83%81%E3%83%A3%E3%83%B3%E3%83%8D%E3%83%AB|'''구단 공식'''으로 올라온 경기 시작 전 원진 영상]][* 8월 16일 요미우리 자이언츠와의 홈경기.] 중에 "오늘 식당에 들어갈 때 쌀이 없었기 때문에, 오늘은 "쌀밥 클럽(米米CLUB)"[* 일본의 [[록밴드]] 이름인데 밥을 먹을 수 없는 현실을 자조하는 [[다쟈레]]이다.]이 아니라 "밥없는 클럽(米なしCLUB)"이니 (오늘의 구호는) "밥 없는 클럽"으로 갑시다."라고 말하는 것[* 설명하자면 [[쌀밥]]을 먹을 수 있는 원정 구장에서 홈구장으로 돌아와 쌀밥을 먹을 수 없다는 얘기이다(...)]이 있어 기사의 신빙성을 증폭시켰다(...) 이로써 주니치는 2ch에서 '''중[[일본제국]](中[[일본제국|日本帝国]])'''이라는 별명이 또 하나 붙었다.[* 일제 미화같은 것이 아니고 [[임팔 작전|병사들에게 밥도 제대로 안 먹이면서]] [[일본군/문제점|정신론]]만 내세우는 것을 비꼬는 것이다. '''[[무타구치 렌야|누가 생각난다면]]''' 그게 맞다(...)] 안그래도 최근에 츄니치 도라곤즈를 줄인 '츄니도라(チュニドラ)'가 어감이 멍청해보인다는 이유로 주니치의 멸칭으로 자리잡았는데 불명예스러운 기록과 별명을 만들어가는 대단한 선배(...) 2차전 2회초에는 무라마츠의 적시타로 선취점을 뽑긴 했지만...한 이닝에 4안타 치고 1득점은... 4회초에 [[키노시타 타쿠야]]의 솔로 홈런으로 2:0 리드를 잡았지만, [[오가사와라 신노스케]]가 4회말 선두타자 [[사토 테루아키]]에게 솔로 홈런을 맞은 이후 무너지기 시작하면서 5회말에 본인의 송구 실책까지 겹치며 역전을 허용했다. 이후 등판한 불펜들도 무기력한 모습만 보여주었고 결국 7:2 대패로 '''원정 14연패로 구단 신기록'''의 대기록을 달성하였다. 게다가 '''3실점 이상 경기 17연패 및 최근 1승 30패'''라는 참혹한 기록만 쌓여가고 있는 중. 오늘의 패배로 승률도 .380으로 떨이지면서, 구단 시즌 최저 승률 기록인 1980년의 .372가 눈앞에 다가왔다. 이런 끔찍한 기록을 달성하고도 경기 후 인터뷰에서 "[[https://www.nikkansports.com/baseball/news/202308230001832.html|프로의 집단인데 한심하다]]"라며 끝까지 선수탓만 하는 추한 모습으로 커리어의 중대한 오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같은 날에는 [[https://www.chunichi.co.jp/article/755718|주니치 前 구단주였던 오오시마 히로히코(大島宏彦)가 별세]]했음에도 경기력에는 변화가 없었다. * '''8/25 ~ 8/27 VS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red 1승 2패}}})''' 1차전, 한 경기만 더 지면 상대 전적 열세 확정이 되는 시합이다. 하지만...선발 [[마츠바 타카히로]]가 1회부터 시원하게 3실점으로 스타트하며 무너졌다. 2회말에는 [[트레버 바우어]]가 갑자기 하위 타순에서 3연속 볼넷을 기록하여 1사 만루를 만드는 이상한 모습을 보였지만 팬서비스(?)라도 되는 듯이 가뿐히 연속 삼진을 거두면서 주니치의 득점은 실패. 3회말 칼릭스테의 적시타와 6회말 [[츠치다 류쿠]]의 적시타로 어찌저찌 바우어에게 2득점을 기록했지만 요코하마 타선은 8회까지 2실점으로 호투한 바우어를 위해 이미 8점의 점수를 내준 후였다. 9회초, 이미 그로기 상태가 된 주니치 선수단과 홈팬들에게 상상도 못한 재앙이 닥칠 것이라고는 아무도 예상할 수 없었다. 그것은 '''이번 시즌 첫 등판이자 통산 세 번째 등판'''인 콘도 렌이 올라오면서 시작되었다. 1이닝을 던지는 동안 '''62구'''로 8피안타 4볼넷 '''10실점'''을 기록하는 동안[* '''일본프로야구 1이닝 최다 투구수 2위'''이다. 1위는 2004년 4월 7일 요코하마 VS 한신에서 한신의 요시노 마코토(吉野誠)가 기록한 64구. 당시 8회말에 올라가 64개의 공을 던지면서 8실점을 했고 한신도 17:0으로 완패했다.] [[타츠나미 카즈요시|타츠나미]] 감독은 [[카네모토 토모아키]]가 [[후지나미 신타로]]를 [[벌투]]시켰던 것과 같은 표정으로 '''마운드에 올라가지도 않고 그저 구경만 했다'''.[* 이틀 전 쌀밥 대란과 결부지어서 [[https://m.dcinside.com/board/npb/110590?page=2|콘도 렌 투수가 몰래 밥을 먹다 걸린 거 아니냐]]는 웃픈 소리가 돌기도 했다(...)] 결국 안방에서 '''2:18'''이라는 참혹한 결과[* 나고야 돔 역대 한 경기 최다 실점 2위. 1위는 2020년 7월 11일 히로시마와의 경기(19:5).]와 요코하마의 시즌 최다 득점 및 안타 기록에 한 이닝 10득점 기록까지 모조리 대주고, 안그래도 갖은 구설수와 최근 논란으로 일본프로야구판 이슈의 중심으로 떠오른 타츠나미 감독은 또 하나의 레전드를 쓰면서 실시간으로 가루가 되도록 까였다. 상대 선발이었던 [[트레버 바우어]] 역시 이를 보다 마지못해 "[[https://www.sanspo.com/article/20230825-DE4YYZTZEJMD3ME33YZNLQDQAY/?outputType=theme_baystars|아무리 뛰어난 투수라도 이런 날도 있다. 누구라도 경험할 수 있는 일이니 결과에 낙담하지 말고 앞으로 나아가라]]"라는 위로와 격려의 메시지를 보냈다. 그리고 다음 날 한국 언론에까지 [[https://n.news.naver.com/sports/wbaseball/article/076/0004048101|기사가 올라왔다]]. ---- 2차전은 에이스 [[타카하시 히로토]]가 연패를 끊으러 [[이시다 켄타]]와의 맞대결을 펼쳤다. 경기 전에 1차전에 등판한 투수가 전부 1군에서 말소되었다. 이날 '''[[오오시마 요헤이]]가 3회말 두 번째 타석에서 안타를 치면서 2000안타를 달성'''했으나, 양팀 타선은 전혀 점수를 내지 못한 채 12회까지 돌입. 하지만 결국 12회초에 올라온 시미즈 타츠야가 요코하마 타선에게 집중타를 맞고 2실점, 12회말에는 마무리 [[모리하라 코헤이]]에게 1사 1·3루의 찬스를 만들었지만 그걸 또 1점도 내지 못하고 막히면서 결국 패배. 타카하시의 역투가 무색하게도 승률은 .373으로 떨어지면서 '''구단 역대 최악의 시즌 승률 1980년의 .372가 목전에 왔다'''. 애초에 주니치가 양대리그제 시행 이후 4할에 못 미쳤던 때는 1980년의 .372와 1995년의 .385 두 번밖에 없었다. ---- 3차전은 2023 시즌 들어서 득점지원을 죽어라 못 받는 [[야나기 유야]]가 타이라 켄타로를 상대한다. 이날 지면 12구단 초고속으로 70패를 찍는 굴욕을 겪게 된다. 야나기가 1회 선두타자 [[쿠와하라 마사유키]]에게 2루타, [[사노 케이타]]에게 적시타를 맞고 1:0이 되었다. 야나기는 1회 3피안타의 불안함에도 불구하고 이후 호투로 7이닝 6피안타 무4사구 6탈삼진 1실점으로 호투했지만 주니치가 산발 안타 끝에 얻은 점수는 단 1점. 9회와 10회 연속 1사 2루 사요나라 찬스에도 불구하고 득점하지 못하면서 12회말로 왔다. 요코하마의 클로저 [[모리하라 코헤이]]를 상대로 오카바야시와 오오시마마저 범타로 물러나면서 무승부해서라도 연패는 못 끊어도 패배는 끊을 수 있으려나 싶었는데... 모리하라가 [[타카하시 슈헤이]]를 볼넷, 호소카와에게 안타를 맞으면서 사요나라 찬스를 잡았고 앞선 기회를 모두 놓친 [[우사미 신고]]가 이번에는 좌전 적시타로 '''8연패'''를 끊어내는데 성공했다. * '''8/29 ~ 8/31 VS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blue 2승 1패}}})''' 헤드샷으로 엔트리에서 말소되었던 [[이시카와 타카야]]가 복귀한다. 1차전 1회부터 [[호소카와 세이야]]의 시즌18호 투런포가 작렬, [[와쿠이 히데아키]]가 7이닝 89구 5피안타 1볼넷 6탈삼진 무실점으로 '''시즌 첫 무실점 경기'''에 이어 '''6월 25일 이후 두 달여만의 승리'''를 올리며 시즌 4승 11패가 되었다(...) 여담으로 6월 25일의 상대 역시 야쿠르트였다. 8회말에 [[타카하시 슈헤이]]의 쐐기 적시타로 3:0 셧아웃으로 탈꼴찌를 위한 연승의 기세를 이어나갔다. ---- [[오가사와라 신노스케]]가 출격, 1회에서 3회까지 오가사와라의 2루타 포함 무려 7안타로 3득점을 기록하였다. 6회까지 무실점으로 109구를 던진 오가사와라를 굳이 7회에도 마운드에 올렸고, 결국 아웃 카운트 하나 못잡고 주자 두 명만 쌓고 교체되었다. 개막전 때의 재탕이 될 것같은 스멜을 풍기기 시작했을 때, 대타로 나온 좌타 [[카와바타 신고]]를 상대하기 위해 좌완 [[사이토 코키]]를 냈지만 단 3구만에 안타를 맞고 무사만루가 되자, '''우타''' [[우치야마 소마]]를 상대하겠다고 '''우완''' 후지시마 켄토가 마운드에 올라왔다. 이것이 뭐가 문제되냐 싶겠지만, 우치야마는 '''우타임에도 우완 상대로 더 강한 역스플릿 타자'''라는 점이다. 즉, 기초적인 데이터조차 보지 않고 좌우놀이를 시전한 셈. 결국, 후지시마는 우치야마에게 2타점 적시타를 맞고 오가사와라의 책임 주자 두 명이 홈을 밟았다. 그나마 추가 실점은 하지 않은 것이 다행이라면 다행이지만... 같은 날, 다른 팀들의 마무리들이 수난을 겪는 와중에 '''4연투에도 불구하고''' [[라이델 마르티네스]]는 오늘도 9구로 가뿐히 정리해버리며 3연승을 달렸다. ---- [[우메츠 코다이]]가 2021년 6월 5일 이후 2년 하고도 2개월 반만에 등판하였다. 2회에 본인의 에러로 1실점하긴 했지만 5이닝 77구 2피안타 2볼넷 1사구 3탈삼진 1실점(무자책)으로 성공적인 복귀전을 치렀다. 하지만 타선의 득점 지원은 여전히 구려서 팀은 6:1로 패하고 우메츠도 패전을 기록하였다. === 9~10월 === * '''9/1 ~ 9/3 @ [[히로시마 도요 카프]]({{{#blue 2승 1패}}})''' 1회부터 [[이시카와 타카야]]의 파울 선상 아슬아슬한 타구로 적시타를 기록, 3회초에는 [[올란도 칼릭스테]]가 NPB 데뷔 첫 홈런에 이어 호소카와의 시즌 19호 백투백이 작렬하였다. 3회까지 호투한 나카치가 4회말에 [[코조노 카이토]]에게 일격을 맞았음에도 5회까지 1실점으로 호투하였다. 하지만, 타츠나미 감독이 오가사와라 건으로 매번 데이고도 불펜을 투입하지 않고 나카치를 6회에 올렸다가 무사 2·3루 위기를 만들고서야 교체하였다. 결국 분식회계로 동점이 되면서 나카치의 두 번째 승리로 증발. 타츠나미도 타츠나미지만, '''한신의 리그 우승을 위해 어떻게든 자신의 팀을 패배하려고 하는''' [[아라이 타카히로]]의 엄청난 삽질쇼에 타츠나미의 행적은 묻혔고(...) '''5연투하고 하루 휴식 이후 또 등판하여''' [[김성근]] 저리가라하는 [[살려조|혹사를 받는]] [[시마우치 소타로]]를 상대로 칼릭스테의 시즌 2호(...)에 이어 그러고도 교체 안하는 아라이의 고집 덕분에 한 점 더 뽑아내면서 '''원정 14연패도 끊어내는데 성공하였다'''. ---- 2차전은 [[타카하시 히로토]]와 [[모리시타 마사토]]의 시즌 세 번째 에이스 맞대결을 펼쳤지만, 컨디션이 불안정한 모리시타에게 9이닝 1실점 완투승을 허용하고 말았다. 그래도, 호소카와의 4회초 시즌 20호 솔로 홈런으로 '''2010년 [[모리노 마사히코]]의 22개, [[와다 카즈히로]]의 37개 이후 13년만의 일본인 20홈런 타자'''를 배출해낸 기염을 토했다. ---- 3차전은 [[야나기 유야]]의 호투로 시즌 4승(...)을 챙기며 위닝 시리즈를 가져왔다. 경기 자체는 3:0으로 승리하였는데 카프의 [[아라이 타카히로]] 감독의 안드로메다로 날라갈 법한 지휘와 선수 기용에 대한 비판이 매우 커서 약간은 묻힌 감이 있지만. 그래도 야쿠르트와의 격차를 1.5게임차까지 좁히면서 탈꼴찌의 희망은 다시 보이고 있다. * '''9/5 ~ 9/6 VS [[한신 타이거스]]({{{#red 시리즈 피스윕}}})''' 1차전은 1회부터 [[와쿠이 히데아키]]가 주자를 쌓더니 무라마츠의 에러로 게임이 바로 터져버렸다. 호소카와의 시즌 21호 홈런이 터지긴 했지만 한신 타선이 8안타 8득점인 것에 비하여 주니치는 9안타 2득점으로 [[니시 유키]]도 공략해내지 못하는 답답함은 덤. 2차전은 [[오가사와라 신노스케]]가 1회부터 가뿐히 1실점하였지만 7회까지 더 이상 실점하지 않고 7이닝 1실점 호투를 펼쳤음에도 침묵한 타선 덕분에 1:0으로 패배하고 오가사와라는 시즌 10패를 떠안아야만 했다. * '''9/8 ~ 9/10 @ [[요미우리 자이언츠]]({{{#red 1무 2패}}})''' 1차전, 도라이치(1라운더) 신인 [[나카치 레이아]]가 쿄진 타선을 상대로 7이닝 99구 3피안타 4볼넷 6K 무실점 호투를 펼쳤지만, 쿄진 타선도 못치는 마당에 주니치 타선이 쿄진의 에이스 [[토고 쇼세이]]를 공략할 리가 없었다(...) 토고 혹사 문제로 토고 등판 때마다 구설수에 오르는 하라 감독인데 이날, 토고가 '''10이닝 140구(!) 3피안타 2볼넷 11탈삼진 무실점'''으로 '''시즌 두 번째 140구 이상 투구'''를 펼쳤다. 토고의 역투(?)에도 불구하고 쿄진과 주니치 양 팀의 타선이 노답이라 0:0으로 결판내지 못하였다. 2차전 선발로 출격한 [[타카하시 히로토]]가 5이닝 4실점으로 쿄진 징크스를 벗어나지 못하고 기어이 '''시즌 10패'''를 떠안았다. [[스가노 토모유키]]에게 고전한 것은 둘째치고, 4이닝동안 쿄진 불펜 상대로 아무것도 하지 못한 채 5:0으로 셧아웃당하였다. 3차전은 [[야나기 유야]]가 6이닝 2실점을 기록하고도 '''시즌 10패'''(...)를 떠안았다. 7회초에 [[이시카와 타카야]]의 적시타로 '''40이닝만의 득점을 기록했지만 그마저도 주루사로 동점 기회를 놓쳤다.''' 결국 2:1로 패배하며 '''[[도쿄 돔]] 원정 9연패''' 및 '''구단 사상 50년만의 두 자릿수 패전 선발 4명'''[* [[와쿠이 히데아키]]는 전반기에 이미 10패를 달성하였고(...) [[오가사와라 신노스케]], [[타카하시 히로토]]에 이어 [[야나기 유야]]가 추가되었다. 와쿠이는 둘째치고 나머지 세 명은 다른 팀이었으면 10패가 아니라 10승에 1~2선발로 충분히 뛸 선수이다. 주니치 구단에서 50년만으로, 리그 전체로 보면 2015년 한신에서 10패 선발 4명이 나온 적이 있다.], '''3년 연속 B클래스 확정'''이라는 온갖 안 좋은 소식만 줄줄이 쏟아졌다. 지난 주에 겨우 면했던 역대 시즌 최저 승률도, 다음 주중에 천적 요코하마를 만나면서 경신할 확률이 높아졌다. 그리고 [[타츠나미 카즈요시|타츠나미]] 감독의 계약 기간이 3년이라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최악의 2년을 보낸 타츠나미의 유임 가능성에 츄니치 팬들은 불안에 휩싸였다. * '''9/12 ~ 9/14 @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blue 2승 1패}}})''' 1차전은 [[와쿠이 히데아키]]의 6이닝 무실점 호투와 6회초 [[이시카와 타카야]]의 선제 투런포에 힘입어 3:0으로 셧아웃 승리를 거두나 싶었는데...다름아닌 [[라이델 마르티네스]]가 1실점을 기록하면서 셧아웃 승리는 날아갔다. 2차전 역시 [[우메츠 코다이]]가 [[네프탈리 소토]]에게 시즌10호 솔로 홈런을 맞고 6이닝 1실점, [[이마나가 쇼타]]가 [[호소카와 세이야]]의 시즌22호 솔로 홈런 8이닝 1실점으로 양 선발이 호투를 펼쳤으나 정규경기에서 승부를 가리지 못했다. 연장 11회초 [[다얀 비시에도]]의 적시타로 2:1 리드를 만들고 [[라이델 마르티네스]]가 공8개로 가뿐히 삼자범퇴 처리하면서 시즌 32세이브를 달성하며 어렵사리 위닝 시리즈를 확정했다. 3차전은 세리그 최다 승리를 노리는 [[아즈마 카츠키]]에게 완투당할 뻔하다 5회초에 시즌4호 솔로 홈런을 기록했던 비시에도가 9회초에 시즌5호 투런포까지 날리며 겨우 8⅓이닝으로 저지하면서 면했다. [[오가사와라 신노스케]]가 [[마키 슈고]]와 [[네프탈리 소토]]에게 홈런을 맞았지만 6이닝 3실점으로 나쁘진 않았음에도 시즌 11패를 떠안았고, [[후쿠타니 코지]]는 8회말에만 홈런을 두 방맞고 5실점을 기록하는 등 무실점으로 넘겼다면 3:3 동점에서 충분히 이길 가능성도 없지 않았다. * '''9/15 ~ 9/16 VS [[요미우리 자이언츠]]({{{#green 타이 시리즈}}})''' 1차전 선발로 출전한 [[나카치 레이아]]가 지난주의 호투와는 달리 4회초에만 '''[[오카모토 카즈마]]의 시즌 40호에 [[사카모토 하야토]]의 시즌20호를 백투백'''으로 맞는가 하면 [[나카타 쇼]]에게 시즌14호까지 허용하면서 1이닝 3피홈런을 기록했다. 나카타에게는 6회말 투런포로 연타석 홈런까지 허용하면서, 나카타는 1회 선제타점 희생플라이에 멀티홈런까지 4타점 맹활약을 펼쳤다. 경기도 7:0으로 대차게 깨진 마당에 주니치 팬들에게 청천벽력과 같은 소식이 전해졌으니...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중일 팬들 네글자로 절망시키는 방법.jpg|width=500]]}}} || ||<#ffffff,#191919> '''네 글자로 절망시켜주세요'''에 대한 답 : '''[[그런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타츠나미 연임]]''' || 주니치 구단은 '''[[https://news.yahoo.co.jp/articles/cc36325d31931b5f8b13843b85984625828e592d|카토 히로유키(加藤宏幸) 구단대표가 타츠나미 연임을 결정했다고 기관지인 주니치 신문을 통해 발표하였다]].''' 참다 못한 주니치팬들의 분노에 야후뉴스 댓글이 수 천개가 올라오는가 하면, 트위터나 난J 등지에서도 구단에 대한 민심이 폭발하였다. 저 소식을 접한 [[오가사와라 신노스케]]가 새벽에 자신의 X계정에다가 대놓고 "으~음 (うーん。)"이라고 썼다가 지워버리는 해프닝까지 있었을 정도였다. 게다가, 이노우에 수석 코치가 2군 감독으로 좌천, [[일본프로야구/2군|2군]]에서도 [[https://www.dailyshincho.jp/article/2023/09171106/|웨스턴 리그 꼴찌를 찍으며 최악의 평판을 달리는]][* 2군 승률은 1군 타율 1위 [[미야자키 토시로]]의 타율보다 낮다.] [[PL학원고등학교|PL]] 출신 카타오카 아츠시 2군 감독이 1군 수석코치로 올라오면서 '''[[밑바닥에도 바닥이란 게 있다는 걸!|올해보다 더욱 암담해질 것]]'''이 분명해졌다. ---- 2차전은 주니치의 新에이스 [[타카하시 히로토]]와 쿄진의 舊에이스 [[스가노 토모유키]]의 맞대결. 1회말부터 '''[[오카바야시 유키]]의 리드오프 홈런(!)'''이 작렬하였는데 이것이 이날 경기의 유일한 득점이었다. [[루이스 브린슨]]의 타구에 맞은 이후 유독 쿄진 상대로 부진했던 타카하시가 이날은 6이닝 100구 2피안타 2볼넷 9탈삼진 무실점으로 쿄진 타선을 제압하면서 시즌 6승을 수확하였다. 다만 9회초에 세이브하러 올라왔던 [[라이델 마르티네스]]가 한 타자 남기고 갑자기 컨디션 문제로 자진 강판한 게 흠. * '''9/17 ~ 9/18 VS [[히로시마 도요 카프]]({{{#green 타이 시리즈}}})''' 1차전은 '''전통의 카프 담당일진 [[야나기 유야]] 対 전통의 주니치 담당일진 [[쿠리 아렌]]'''이 성사되었다. [[담당일진]]들의 맞대결답게(?) 5회까지 0:0의 균형을 이어나갔지만, 6회초에 야나기가 선두타자 [[아이자와 츠바사]]를 사구로 맞혔음에도 2사를 만들었지만... [[하츠키 류타로]]와 [[코조노 카이토]]에게 연속 적시타를 허용하며 균형이 무너졌다. 7이닝 무실점을 기록하고 가뿐하게 내려간 [[쿠리 아렌]]과는 달리, 야나기는 지고 있는 상황에서도 8회까지 호투를 펼쳤음에도 불구하고 [[윤석민상|득점지원은 커녕]], 9회초에 불펜진이 1점을 더 내주면서 시즌 11패를 기록하고 셧아웃 패배를 당했다. ---- 2차전은 일본의 공휴일인 '[[노인의 날|경로의 날(敬老の日)]]'이라 주간 경기로 치러지는데, 2군에서 조정만 하던 [[네오 아키라]]가 시즌 첫 1군 등판을 치른다. 네오가 2군에서도 3.43으로 그냥저냥이지만, 주니치가 2군 역시 막장인 상황이라 0승 7패(...)를 기록 중이다. 네오가 6회까지 호투하며 6:0으로 리드했으나, 7회초 볼넷과 에러 등으로 2사 만루 상황에서 교체되었는데.. 나온 투수들마다 줄줄이 실점하며 바로 6:6이 되어 네오의 승리는 날아가고 말았다. 경기는 연장 11회말에 [[아라이 타카히로|아라이]] 감독의 삽질로 만든 기회를 칼리스테의 끝내기 안타로 간신히 승리했다. 타츠나미 감독은 7회 네오를 교체한 이유에 대해 "'''올해 네오의 투구를 보는 게 처음'''이었기 때문에, 어디까지 맡길 수 있을 지 알 수 없어서 내렸다" 는 발언으로, ''''자기팀 선수 경기도 안보냐'''' 며 불난 팬심에 기름을 부었다. * '''9/20 ~ 9/21 @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green 1승 1패}}})''' 뜬금없이 [[기요하라 가즈히로]]를 차기 시즌 헤드코치로 영입한다는 데일리 스포츠발 기사가 나돌자 당일 주니치 구단대표가 사실이 아니라며 반박했다. 당연히 이 이슈에 대한 주니치 팬들의 반응은 매우 부정적이다. 마약 전적은 둘째치고 코치 전적이 전무한데다가, 타츠나미와 똑같은 '''[[PL학원고등학교|PL]] 출신'''인 점이 큰 반대 사유. 16일에 강판된 [[라이델 마르티네스]]가 18일 말소되었는데, 허리와 둔부 쪽에 통증이 있어서 사실상 시즌 아웃이라는 소식이 들려왔다. 결국 마르티네스의 2년 연속 세이브왕 달성은 실패했다. 당일 경기는 웬일로 초반에 5점을 뽑아내며 3점 리드를 가져왔으나, 8회에 불펜진이 불을 지르면서 리드는 다 날아갔고 9회말에 오수나에게 끝내기 안타를 맞고 패배했다. ---- 2차전에는 [[사이 스니드]]를 상대로 [[키노시타 타쿠야]]의 시즌5호 선제 투런포가 작렬했지만, [[오가사와라 신노스케]]가 사사구는 하나도 내주지 않았지만 4이닝 9피안타 7실점으로 부진하면서 게임이 힘들어질 것처럼 보였다. 6회초, 오오시마와 칼릭스테가 아웃되면서 2사 주자 없는 상황이라 평소대로의 주니치라면 삼자범퇴로 끝날 확률이 높았지만, 비시에도의 안타를 시자그로 이시카와의 볼넷, 키노시타의 2타점 적시타로 7:5 2점차 추격을 하였다. 야쿠르트 벤치는 어차피 2사인지라 한방 있는 호소카와를 거르고 무라마츠를 상대하려 했는데 무라마츠가 얕보지 말라는 듯 적시타를 기록하며 1점차 턱끝까지 추격하는 데 성공했다. 투수 타석의 대타 [[우사미 신고]]가 침착하게 볼넷을 골라나가면서 만루를 만들었고, '''[[오카바야시 유키]]가 싹쓸이 3타점 3루타'''를 기록하면서 '''6득점 빅이닝으로 단숨에 역전까지 성공'''하였다. 타순이 한바퀴 돌아 다시 오오시마 차례였는데 오오시마는 땅볼로 물러나면서 '''혼자 한 이닝 투아웃을 기록했다'''(...) 6회말에 역전 싹쓸이의 주인공 오카바야시가 그답지 않은 낙구 에러를 까면서 1점을 내주긴 했지만, 주니치의 불펜이 어렵게 되찾은 리드를 잘 지켜내면서 9:7로 승리하였다. * '''9/22 ~ 9/23 @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blue 승}}})''' 1차전은 1:0으로 앞서갔으나 3회말 진행 중에 게릴라 폭우가 들이닥쳤다. 잠시 비가 멎어서 재개 준비를 하던 찰나에 다시 비가 강해져서 결국 노게임 처리되었다. 이 경기는 10월 1일에 치러진다.~~[[호소카와 세이야]]의 32타석만의 안타도 증발해버렸다~~ 23일은 2회초 4득점 빅이닝에 4회까지 9안타를 기록한 타선과 [[타카하시 히로토]]의 6이닝 1실점 호투로 앞서나갔지만, 5회부터 9회까지 1안타에 그쳐 갑자기 물빠따화된 타선과 펠리스의 방화로 하마터면 역전을 허용할 뻔하다 4:3으로 신승을 거뒀다. 9월에는 꾸역꾸역 5할 승부는 하는 중이라, 5위 야쿠르트와 승차가 좁혀져 0.5게임차로 탈꼴찌의 희망이 생겼다. * '''9/24 ~ 9/25 VS [[한신 타이거스]]({{{#green 1승 1무}}})''' 1차전은 선발 야나기가 8이닝을 무실점으로 막고 불펜진들도 한점도 내주지 않았지만, 타선이 침묵하며 연장 12회끝에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이날 야쿠르트가 승리해 승차는 다시 1게임차가 되었다. 2차전은 [[우메츠 코다이]]가 2회초에 [[사토 테루아키]]에게 솔로 홈런을 허용하였지만, 8이닝 107구 5피안타 2볼넷 5K 1실점 호투와 2회말 [[츠치다 류쿠|류쿠]]의 2타점 적시타에 힘입어 2:1 승리를 거뒀다. 우메츠는 복귀 첫 승을 수확하면서 '''2020년 7월 5일 이후 3년 2개월만의 승리'''를 거뒀다. * '''9/26 @ [[히로시마 도요 카프]]({{{#red 패}}})''' [[와쿠이 히데아키]]가 1회부터 선두타자 [[코조노 카이토]]에게 3루타를 맞고 시작하다 [[우에모토 타카시]]의 3루 도루 관광까지 당하면서 2실점을 기록했다. 2회부터는 호투하면서 실점은 없었지만, 카프 야수들이 '''1루수''' [[도바야시 쇼타]]가 혼자 에러를 3개나 까는 등 내야수비들이 전체적으로 점수내라고 떠다밀었음에도 [[토코다 히로키]]의 침착한 피칭에 막히면서 2:0으로 셧아웃당했다. '''투수''' 토코다에게 3타수 3안타 맹타상에 심지어 2루타 2개를 허용하는 등 안습한 패배(...)를 당했다. * '''9/27 @ [[한신 타이거스]]({{{#blue 승}}})''' 주니치 타선이 토미다 렌을 일찌감치 두들기고 빨리도 승기를 잡았고, 이 후 계투진도 실점없이 막아내며 7:2로 이겼다. 이 날은 한신의 시즌 마지막 홈경기였는데 제대로 찬물을 끼얹었고 덕분에 고시엔 원정 10경기를 5승 5패 5할로 마감했다. 또한, 호소카와는 2점 홈런 2개를 날리면서 장타력을 과시했다. * '''9/29 @ [[히로시마 도요 카프]]({{{#blue 승}}})''' 경기 전날에 또 구단에 안 좋은 소식이 터졌다. 9월 24~25일에 열린 한신과의 2연전 사전 PR에 썼던 로고 디자인이 락밴드 [[back number]]의 2023년 투어에 쓰인 로고와 너무도 흡사하다는 지적이 터진 것. 구단은 이 사실을 인정하고 사과했다. [[https://www.chunichi.co.jp/article/778131|#]] 본 경기에서는 [[나카치 레이아]]가 카프타선을 5⅓이닝 무실점으로 제압하면서 데뷔 두 번째 승리를 챙기면서 야쿠르트와 게임차 없는 6위로 5위 자리를 넘보게 되었다. * '''9/30 @ [[요미우리 자이언츠]]({{{#blue 승}}})''' 쿄진의 에이스 [[토고 쇼세이]]를 만나는 바람에 5위 부상에 빨간 불이 켜졌다. [[네오 아키라]]가 2회말에 [[요시카와 나오키]]에게 적시타를 허용하면서도 6이닝 1실점으로 호투하였지만, 타선은 토고에게 7이닝 86구 2피안타 1볼넷 7K 무실점으로 꽁꽁 묶였다. 그런데...[[하라 타츠노리]] 감독이 웬일로(?) 7회만에 내리고 불펜을 투입하였다.~~그간 토고의 혹사가 어쩔 수 없다는 듯한 무브인가~~[* CS 탈락이 확정된 이후라 토고를 무리하게 계속 기용할 이유가 없었다.][[오타 타이세이|타이세이]]가 8회에 곧바로 블론세이브를 범하고, 9회에 올라온 [[나카가와 코타]]를 상대로 '''이시바시 코타'''가 '''통산 두 번째 홈런'''을 기록하면서 극적인 역전승을 기록했다.[* 이 결승 홈런이 더욱 극적이었던 이유는 직전 상황에서 앤드런 작전을 걸었으나 헛스윙이 나왔고 대주자 [[카토 쇼헤이]]가 2루에서 아웃되면서 1사 1루가 순식간에 2사에 주자도 사라지고 볼카운트도 2스트라이크로 몰리게 되는 극도로 불리한 상황으로 바뀌었었다. 허무하게 이닝이 끝날수도 있었던 흐름이었음에도 기적과도 같은 한 방이 나온 것.] 야쿠르트가 요코하마에게 역전패를 당하면서 '''잔여경기 2경기인 상황에 5위 부상에 성공하였다'''. 승률이 앞서는 상황이라 잔여경기 2경기를 모두 이기면 자력으로 5위를 확정할 수 있다. * '''10/1 @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red 패}}})''' 주니치와 야쿠르트 모두 2경기가 남은 상태. 주니치가 이 경기를 이기고 야쿠르트가 무승부 이하를 기록하면 바로 주니치가 5위 확정이다. 그러나 타카하시 히로토가 4실점하고, 주니치 타선은 [[오오누키 신이치]]에게 2안타로 꽁꽁 묶이며 25번째 영봉패를 당하였으며, 시즌 내내 4연승이 없는 유일한 팀으로도 남게 되었다. 요코하마와의 최종 전적은 6승 18패 1무. 그나마 당일 야쿠르트가 쿄진에게 1:0으로 패배해 5위 매직넘버가 1이 되어, 주니치는 아래의 최종전에서 무승부만 거둬도 5위가 확정된다. * '''10/3 VS [[요미우리 자이언츠]]({{{#red 패}}})''' 시즌 최종전이자 홈 최종전에서, 아카호시의 7.2이닝 1실점 호투에 막히며 1-3 패배로 결국 자력 5위 확정에 실패했다. 그리고 바로 다음날 야쿠르트와 한신과의 경기에서 한신의 마무리 이와자키가 불을 질러버리는 바람에 '''2년 연속 최하위가 확정되었다.''' == 총평 == 구단 사상 최초[* 타구단을 합쳐도 1955-1956의 산케이, 2002-2003의 오릭스 등 2번밖에 없는 기록이다. 여기에 '''1,2군 모두 승패마진 -20 이상으로 최하위는 NPB 최초.''']로 2년 연속 1, 2군 동시 최하위를 기록하면서 [[틀렸어 이제 꿈이고 희망이고 없어|구단 사상 최악의 시즌]]을 확정지었다. 그나마 9월 말에 승수를 좀 쌓아서 망정이었지, 승수를 쌓지 못한 상황이었다면 구단 역대 최악의 승률 .372 갱신이나 리그 내 유일한 3할대 승률 팀 등의 여러 부정적인 타이틀이 따라붙을 뻔 했다. 문제는 2군의 상황은 1군보다 더 막장이라[* 승률 .320(112경기 33승 70패 9무)로 압도적인 웨스턴리그 꼴찌.] [[카타오카 아츠시]] 2군 감독에 대해 부정적인 기사도 여러 개 나왔을 정도. 애초에 한신 타격코치 시절에 이미 무능함이 백일하에 드러난 사람을 단지 감독의 고등학교 동기라는 이유로 불러들인 것만으로도 막장이다. [* 가타오카도 다쓰나미처럼 사생활과 관련된 구설수가 없다 뿐이지 한신 코치시절부터 선수들을 억압하는 꼰대기질은 다쓰나미 못지 않은 인물이다.] '''더 끔찍한 건, 이게 최악이 아닐 가능성, 즉 이보다 더 심하게 망한 시즌이 올 가능성도 있다는 것이다.''' 이번 시증 유일한 긍정적인 뉴스는 WBC 대표팀이 출범부터 우승을 거두기까지 치렀던 경기 중에서 유일하게 승리를 거둔 팀이라는 것 정도이다. ||
<-5> [[파일:주니치 드래곤즈 엠블럼.svg|width=30]] '''주니치의 시즌 상대 전적''' || || 상대팀 || 승 || 무 || 패 || 비고 || || [[한신 타이거스|[[파일:한신 타이거스 엠블럼.svg|width=25]]]] || 9 || 1 || 15 || 열세 || || [[히로시마 도요 카프|[[파일:히로시마 도요 카프 엠블럼.svg|width=25]]]] || 12 || 1 || 12 || '''백중세''' || ||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파일: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엠블럼.svg|width=25]]]] || 8 || 1 || 16 || 열세 || || [[요미우리 자이언츠|[[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엠블럼.svg|width=25]]]] || 9 || 1 || 15 || 열세 || ||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파일: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엠블럼.svg|width=25]]]] || 11 || 0 || 14 || 열세 || || 교류전 || 7 || 1 || 10 || 열세[* 오릭스와 라쿠텐 각 1승 2패, 롯데 1승 1무 1패, 소프트뱅크와 세이부 2승 1패, 닛폰햄 3패] || 지난 시즌엔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요코하마]] 상대로 [[승점자판기]] 역할을 했음에도 리그 우승했던 야쿠르트 상대로 상대전적 우세를 가져가기도 하며 적자를 최소화시킬 순 있었지만[* 5할에서 -9였던 전년도의 경우 교류전(7승 11패)를 빼면 5할 -5, '''요코하마전까지 빼면 오히려 승률이 5할을 넘어간다.'''], 이번 시즌엔 요코하마 말고 한신 등 다른 팀들을 상대로도 호구를 잡혔다. 그나마 카프 상대로만 12승 1무 12패로 [[엄재경#s-3.1.2|엄대엄]]을 유지하는 데 성공했으며 이마저도 8월 11일 키우치 구심의 오심과 1년차 감독인 [[아라이 타카히로]]의 미숙한 운용능력이 아니였으면 진작에 열세였을 것이었다. 타선은 현역 드래프트에서 제대로 긁힌 [[호소카와 세이야]], 코어 유망주 [[이시카와 타카야]]의 장타력 과시로 그나마 미래 전망이 나아졌지만 '''나아진 게 이거다.''' 팀 홈런수는 작년보다는 나아졌지만 그래봐야 71개로 11위 한신과도 10개 넘게 차이나는 최하위를 기록했으며, 타선의 중책을 기대했던 터줏대감 [[다얀 비시에도]], 새 얼굴 [[아리스티데스 아퀴노]] 등 용병 타자들이 죄다 부진했으며 쿄다와 아베가 빠져나가고 경험이 일천한 꼬꼬마들만 남은 키스톤이 도저히 1군 레벨이라 볼 수 있는 타격을 보여주지 못해 득점은 390득점으로 '''오히려 작년보다도 더 줄었다'''. 49년만에 400득점 미만 시즌이라는 불명예 기록까지 세웠다. 그러면서 실점은 498점을 기록, [[피타고리안 승률|득실차가 -100 이상]] 났다.[* 그러고도 실점은 최소 3위이다. 한신-디엔에이-'''주니치'''-요미우리-히로시마-야쿠르트 순으로 실점이 적었다.] 실책도 79개로 닛폰햄, 한신, 히로시마보다 적기는 하지만 결코 적다고 볼 수 없는 숫자. 팀 방어율 자체는 3.08로 한신, 오릭스, 세이부에 이은 12개 구단 4위에 센트럴 리그 2위고, 리그 최고의 마무리 [[라이델 마르티네스]] 및 그 앞에 나오는 소부에 다이스케와 후쿠 히로토가 버티고 있는 불펜 역시 다른 팀들 대비 경쟁력이 확실했다. 그러나 상술했듯 타선이 잘 터지지 않다 보니 [[타카하시 히로토]], [[야나기 유야]], [[오가사와라 신노스케]], [[와쿠이 히데아키]] 등 '''선발투수진이 통짜로 10패 이상씩을 기록하며 전원 [[윤석민상]] 수준의 스탯을 찍는 지경'''이고, 강력한 불펜진(특히 마무리) 또한 제때 가동하지 못하는 등의 상황이 다발했다. 얼마나 심하냐면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npb&no=116625|1실점이라도 하는 순간 승률이 반토막나고 3실점 이상이면 단 한 번의 예외를 빼고 다 질 정도였다.]]''' 그나마 그 계투진도 뎁스 부족과 경기를 접전으로 끌고갈수밖에 없는 빈약한 득점력으로 인해 시미즈 타츠야, 소부에 다이스케 등 일부 필승조가 혹사당해 미래를 장담할 수 없는 상황. 이런 처참한 상황을 수습해도 모자랄 판국에 [[타츠나미 카즈요시]] 감독은 오히려 '''타순, 작전, 투수운용, 선수관리 및 육성방침 등 모든 부문에서 현대야구 트렌드에 역행하며''' 경기 내외를 가리지 않고 부정적인 이슈를 만들어내 팬들에게 욕을 안 먹는 날이 없다. 본인은 스승인 [[호시노 센이치]]의 카리스마를 흉내내고자 선수들에게 엄격함만 강조하고 있지만 그 스승은 실수를 한 선수에게 폭력까지 행사하면서도 [[기브 앤 테이크|무작정 폭력만 행사하는 게 아니라 그 후에 잘 다독여서]] [[나카무라 타케시|심복으로 만들거나]], 막강한 인맥을 활용하여 구단의 지원을 얻어내고 실력있는 타팀 선수들을 끌어오는 등 호시노 자신만의 장기가 있었다.[* 심지어 짠돌이 라쿠텐 구단마저도 어느정도 지갑을 열게 만들정도였다. 비록 단기전 운용능력은 형편없지만 감독의 비중이 높은 일본야구에서 구단의 지원을 끌어내고 실력있는 선수를 데려와서 전력을 구축하는 것도 감독의 중요한 능력이다.] 하지만 타츠나미 본인은 무려 100년 전의 [[쌀 소동]]을 상기시킨 쌀밥 금지령에 [[벌투]], 변명과 책임 돌리기를 남발하는 인터뷰 등 [[꼰대]] 기질만 두드러졌다. 그렇게 [[명선수는 명지도자가 될 수 없다]]는 사실만 보여주며 선수들에게조차 인심을 잃어가고 있다. 그런데도 이런 감독을 구단은 재신임해서 3년 임기를 꽉 채워주고 [[카타오카 아츠시|무능하기로 정평난 2군 감독]]을 1군 헤드코치에 올린 상황인지라 언제 끝날지 모르는 [[강점기/스포츠|강점기]]에 팬들은 점점 희망을 잃어가고 있다[* 문제는 이 팀의 마지막 일본시리즈 우승이 2007년이다. 다시 말해 '''여기도 우승을 적립해야 할 시기가 되었다는 뜻이다.''' 창단된지 거의 90년이 다되가는 구단의 우승기록이라는게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같은 센트럴 리그의 맹물 구단]]이 이룬 횟수와도 같다. 게다가 올시즌에는 [[히로시마 도요 카프|같은 리그에서 오지나게 우승을 못하고]] [[한신 타이거스|빌빌하는 두 팀들]]이 파이널 시리즈에 진출한 상황이다. 그나마 [[오치아이 히로미츠]] 감독이 구단의 두번째 우승을 이뤄놓지 않았다면 한신과 함께 단 한번의 일본시리즈 우승을, '''그것도 세계 프로야구 역사상 세번째로 오랫동안 우승을 하지 못하고 있는 팀'''으로 남았을것이다.]. ~~그럼에도 반테린 돔에 사람들은 많이 온다~~ == 시즌 후 == 시즌 종료 직후인 10월 4일, [[아리스티데스 아키노]]와 [[소일로 알몬테]]는 방출, [[올란도 칼릭스테]]와 [[마이클 펠리즈|마이클 펠리스]], [[움베르토 메히아]]와는 재계약을 체결하기로 했다. 또한, WBC 대회 후 팀에 복귀하지 않고 망명한 뒤 제한선수로 묶어뒀었던 불펜 투수 [[야리엘 로드리게스]] 같은 경우 시즌이 끝난 직후 자유계약선수로 내보냈다. 깔끔하게 미련을 버린 모양새. 상당수의 MLB 구단에서 관심이 많고 금액 추정치도 기존 규모를 아득히 초월하는 수준인 것도 있지만 사실, 망명하고 한달여 후에 SNS를 통해 사과 의사를 전달했던 점도 감안됐다.[* 애초에 제한선수는 실질적으로 엔트리 자리를 차지하기 때문에(제한선수에서 푸는 것과 동시에 지배등록을 해야 하기 때문에 그 자리를 비워 놓아야 한다고 한다. 이는 방출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제한선수 명단에서 해제하고 지배등록을 한 후 바로 전력외통고를 하는 식.) 괘씸하다고 특정 선수를 평생 묶는 것은 무리다.] 시즌 후에는 오랜만에 지갑을 열었다. 아무리 그래도 양대리그 꼴찌라는 성적표는 너무했기 때문에 돈을 쓰기로 했고, 타선 보강을 위해 선수 영입에 나섰다. 아무래도 형편이 넉넉치 않기 때문에 교진에서 방출된 [[나카지마 히로유키]]나 한신에서 방출된 이타야마, 출장 기회를 찾아 교진에서 자유계약으로 풀린 [[나카타 쇼]] 등 주로 중소형 매물을 위주로 협상을 진행중이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일본프로야구 구단별 2023시즌)] [[분류:주니치 드래곤즈/시즌]][[분류:일본프로야구/2023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