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SG워너비)] [include(틀:유튜브 뮤직 선정 역대 국내 음악 베스트)] ||<-2> '''{{{#0F1515 SG워너비 2집 타이틀[br]{{{+1 01 죄와 벌(罪와 罰)}}}}}}'''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2cNM4FGn9yk)]}}} || || '''재생시간''' || 4분 1초 || || '''가수''' || [[SG워너비]] || ||<|4> '''수록 앨범''' || [[살다가]] || || 살다가 Special Edition || || [[The Precious History]] || || 뮤직2.0 스페셜 에디션 || || '''작사''' || 남민설 || || '''작곡''' ||<|2> [[김도훈(작곡가)|김도훈]] || || '''편곡''' || [목차] [clearfix] == 개요 == [[SG워너비]] 정규 2집 <[[살다가]]>의 타이틀곡. 2005년 '''[[멜론(음원 서비스)/1위 목록/연간차트|멜론 연간차트 1위]]'''와 [[싸이월드]] 뮤직 연간음원차트 7위에 랭크됐다. SG워너비 전성기 미디엄 템포 발라드의 진수를 보여 주는 곡이며 지금까지도 "이젠 보낼게 널 놓아줄게"의 클라이막스 부분은 많은 사람들이 기억하고 있을 정도로 대표곡으로 남아 있는 노래이다. 난이도 면에선 '''내 사람'''과 함께 SG워너비만의 곡들 중 '''1위'''. 2옥타브 라, 라# 음으로 끌면서 불러야 하고 하이라이트마다 2옥타브 중후반대 음과 기교가 난무하는 데다가 마찬가지로 쉬는 구간도 얼마 없어서 체력을 많이 깎아먹는다. 게다가 채동하가 잠깐 내는 거긴 해도 엄연히 '''3옥타브 초반'''대 음이 존재하는 곡이며 이 고음을 체력이 깎인 상황에서 부른다는 건 상당히 힘든 일이다. 굳이 가성 애드립까지 한다면 당연히 난이도는 더 올라간다. 직접 들어보면 알겠지만 김진호의 애드립과 기교가 난무하는 곡이다. 라이브는 훨씬 더 풍부한 기교를 보이는데 그래서인지 기교를 줄인 이후로는 라이브를 거의 하지 않는다. '''진성 : 3옥타브 도'''[* 마지막 채동하 파트인 이 말만 해'''줘'''어] '''가성 : 3옥타브 파'''[* 마지막 하이라이트 진입 때 가성 애드립] == 뮤직비디오 == || {{{#67E4C2 '''〈죄와 벌〉 M/V'''}}}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yMAzoEHbmzg)]}}} || 뮤직비디오에는 [[하석진]], [[서준영]], [[한다감|한은정]]이 주연으로 캐스팅되었다. 지금이야 모두 어느 정도 경력이 있는 연기자들이지만 이 당시에는 한은정을 제외하고 하석진과 서준영은 신인급이었다. '죄와 벌'과 더블 타이틀인 '[[살다가(노래)|살다가]]' 역시 1집과 같이 하나의 스토리라인으로 이어진다. == 가사 == === 음원 === || {{{#67E4C2 '''〈죄와 벌〉'''}}} || ||<#FFFFFF><:> ^^'''{{{#0100FF 채동하//Blue}}} {{{#1DDB16 김용준//Green}}} {{{#FF0000 김진호//Red}}} 함께//Black'''^^ {{{#FF0000 너무나 사랑한게 죄였나봐 떠날까봐 널 가뒀으니 내게만 보여줬던 니 모습을 혼자 숨겨두고 싶었어}}} {{{#1DDB16 달콤한 독이 되어 퍼져버린 너에 대한 내 미련들이 가녀린 내 사랑을 해쳐갔어 내게서 널 뺏어간거야}}} {{{#FF0000 이젠 보낼게 널 놓아줄게 내가 없는 게 더 행복한 너라면 못난 내 사랑도 못된 미련도 나 혼자 남아 지워갈게}}} {{{#0100FF 차츰 넌 향기 없는 꽃이 되어 원망하듯 시들어갔어}}} {{{#FF0000 미안해 내 사랑이 서툴러서 너를 다치게 했었나봐 이젠 보낼게 널 놓아줄게 내가 없는 게 더 행복한 너라면 못난 내 사랑도 못된 미련도 나 혼자 남아 지워갈게 행복해도 돼 꼭 그래야 해 그것만 믿고 널 보내는 나니까}}} {{{#0100FF 마지막 인사로 이 말만 해줘}}} {{{#FF0000 조금은 사랑했었다}}}고 ,,[{{{#FF0000 김진호}}}, {{{#0100FF 채동하}}}],, {{{#FF0000 아픈 가슴을 치며 그리워져도 널 찾지는 않을꺼야}}} {{{#0100FF 마지막 인사로 이 말만 해줘}}} 조금은 사랑했었다고 ,,[{{{#0100FF 채동하}}}, {{{#FF0000 김진호}}}],, {{{#FF0000 이젠 보낼게 널 놓아줄게 내가 없는 게 더 행복한 너라면 못난 내 사랑도 못된 미련도 난 혼자 남아 지워갈게 행복해도 돼 꼭 그래야 해 그것만 믿고 널 보내는 나니까}}} {{{#0100FF 마지막 인사로 이 말만 해줘}}} {{{#FF0000 조금은 사랑했었다고 나 혼자 남아 지워갈게}}}|| === 라이브 버전 === 음원에서는 [[김진호]]가 멜로디 넣고 김진호가 화음 넣으면서 김진호가 애드립까지 넣는 구조였으나 라이브에서 가능한 만큼으로 줄었고, 채동하와 김용준의 목소리가 많이 늘어났다. || {{{#67E4C2 '''〈죄와 벌〉 Live ver.'''}}} || ||<#FFFFFF><:> ^^'''{{{#0100FF 채동하//Blue}}} {{{#1DDB16 김용준//Green}}} {{{#FF0000 김진호//Red}}} 함께//Black'''^^ {{{#FF0000 너무나 사랑한게 죄였나봐 떠날까봐 널 가뒀으니 내게만 보여줬던 니 모습을 혼자 숨겨두고 싶었어}}} {{{#1DDB16 달콤한 독이 되어 퍼져버린 너에 대한 내 미련들이 가녀린 니 사랑을 해쳐갔어 내게서 널 뺏어간거야}}} {{{#FF0000 이젠 보낼게 널 놓아줄게 내가 없는 게 더 행복한 너라면 못난 내 사랑도 못된 미련도 나 혼자 남아 지워갈게}}} {{{#0100FF 차츰 넌 향기 없는 꽃이 되어 원망하듯 시들어갔어 미안해 내 사랑이 서툴러서 너를 다치게 했었나봐}}} {{{#FF0000 이젠 보낼게 널 놓아줄게 내가 없는 게 더 행복한 너라면 못난 내 사랑도 못된 미련도 나 혼자 남아 지워갈게}}} 행복해도 돼 꼭 그래야 해 그것만 믿고 널 보내는 나니까 ,,[{{{#1DDB16 김용준}}}, {{{#0100FF 채동하}}}&{{{#FF0000 김진호}}}],, {{{#0100FF 마지막 인사로 이 말만 해줘}}} {{{#FF0000 조금은 사랑했었다}}}고 ,,[{{{#FF0000 김진호}}}, {{{#0100FF 채동하}}}&{{{#1DDB16 김용준}}}],, {{{#FF0000 아픈 가슴을 치며 그리워져도 널 찾지는 않을거야}}} {{{#0100FF 마지막 인사로 이 말만 해줘}}} 조금은 사랑했었다고 ,,[{{{#0100FF 채동하}}}, {{{#FF0000 김진호}}}],, {{{#1DDB16 이젠 보낼게 널 놓아줄게 내가 없는}}} 게 더 행복한 너라면,,[{{{#1DDB16 김용준}}}, {{{#0100FF 채동하}}}],, {{{#FF0000 못난 내 사랑도 못된 미련도 나 혼자 남아 지워갈게}}} 행복해도 돼 꼭 그래야 해 그것만 믿고 널 보내는 나니까 ,,[{{{#1DDB16 김용준}}}, {{{#0100FF 채동하}}}&{{{#FF0000 김진호}}}],, {{{#0100FF 마지막 인사로 이 말만 해줘}}} {{{#FF0000 조금은 사랑했었다고 나 혼자 남아 지워갈게}}}|| || {{{#67E4C2 '''〈죄와 벌〉 Live ver.2'''}}} || ||<#FFFFFF><:> ^^'''{{{#00D8FF 이석훈//SkyBlue}}} {{{#1DDB16 김용준//Green}}} {{{#FF0000 김진호//Red}}} 함께//Black'''^^ {{{#FF0000 너무나 사랑한게 죄였나봐 떠날까봐 널 가뒀으니 내게만 보여줬던 니 모습을 혼자 숨겨두고 싶었어}}} {{{#1DDB16 달콤한 독이 되어 퍼져버린 너에 대한 내 미련들이 가녀린 니 사랑을 해쳐갔어 내게서 널 뺏어간거야}}} {{{#FF0000 이젠 보낼게 널 놓아줄게 내가 없는 게 더 행복한 너라면 못난 내 사랑도 못된 미련도 나 혼자 남아 지워갈게}}} {{{#00D8FF 차츰 넌 향기 없는 꽃이 되어 원망하듯 시들어갔어 미안해 내 사랑이 서툴러서 너를 다치게 했었나봐}}} {{{#FF0000 이젠 보낼게 널 놓아줄게 내가 없는 게 더 행복한 너라면 못난 내 사랑도 못된 미련도 나 혼자 남아 지워갈게}}} {{{#1DDB16 행복해도 돼 꼭 그래야 해 그것만 믿고 널 보내는 나니까}}} {{{#00D8FF 마지막 인사로 이 말만 해줘}}} {{{#FF0000 조금은 사랑했었다}}}고[{{{#FF0000 김진호}}}&{{{#1DDB16 김용준}}}] {{{#FF0000 아픈 가슴을 치며 그리워져도 널 찾지는 않을거야}}} {{{#00D8FF 마지막 인사로 이 말만 해줘}}} 조금은 사랑했었다고 ,,[{{{#FF0000 김진호}}}&{{{#00D8FF 이석훈}}}],, {{{#1DDB16 이젠 보낼게 널 놓아줄게 내가 없는 게 더 행복한 너라면 못난 내 사랑도 못된 미련도 나 혼자 남아}}} 지워갈게[{{{#FF0000 김진호}}}&{{{#1DDB16 김용준}}}] {{{#00D8FF 행복해도 돼 꼭 그래야 해 그것만 믿고 널 보내는 나니까 마지막 인사로 이 말만 해줘 조금은 사랑했었다고}}} {{{#FF0000 나 혼자 남아 지워갈게}}}|| 전체적으로 절정 부분에서의 김진호 파트를 줄이고 이석훈과 김용준의 파트로 재분배하여 골고루 분산되었다. == 성적 == ||<-3> [[멜론(음원 서비스)|[[파일:멜론 로고.svg|width=100]]]][br]'''{{{#FFFFFF 멜론 연간 차트 1위}}}''' || || '''2004년''' || '''2005년''' || '''2006년''' || || {{{#gray -}}} || [[파일:2집 살다가.jpg|height=70]][br]'''[[SG워너비|{{{#FFFFFF SG워너비}}}]]'''[br]'''[[죄와 벌(SG워너비)|{{{#FFFFFF 죄와 벌}}}]]''' || [[파일:3집 The 3rd Masterpiece.png|height=70]][br]'''[[SG워너비|{{{#808080 SG워너비}}}]]'''[br]'''[[내 사람 : Partner For Life|{{{#gray 내 사람 : Partner For Life}}}]]''' || ---- ||<-3> [[멜론(음원 서비스)|[[파일:멜론 로고.svg|width=100]]]][br]'''{{{#FFFFFF 멜론 월간 차트 1위}}}''' || || '''2005년 2월''' || '''2005년 3월~4월''' || '''2005년 5월''' || || [[파일:Ucupracacia(2005).jpg|height=70]][br]'''[[테이|{{{#808080 테이}}}]]'''[br]'''{{{#808080 사랑은...하나다}}}''' || [[파일:2집 살다가.jpg|height=70]][br]'''[[SG워너비|{{{#FFFFFF SG워너비}}}]]'''[br]'''[[죄와 벌(SG워너비)|{{{#FFFFFF 죄와 벌}}}]]''' || [[파일:Difference(2005)_정사각형.jpg|height=70]][br]'''[[윤도현|{{{#808080 윤도현}}}]]'''[br]'''[[사랑했나봐(윤도현)|{{{#808080 사랑했나봐}}}]]''' || ||<-5> [[골든디스크어워즈|[[파일:골든디스크 시상식_로고.png|width=50]]]][br]'''{{{#000000 음반 대상}}}''' || || [[이수영(가수)|이수영]][br]<휠릴리>[br](2004년) || {{{+1 →}}} || '''SG워너비[br]<[[죄와 벌(SG워너비)|죄와 벌]]>[br](2005년)''' || {{{+1 →}}} || [[동방신기]][br]<[["O"-正.反.合.]]>[br](2006년) || == 무대 영상 == || {{{#67E4C2 '''2005. 05. 14. 고려대학교 100주년 기념 캠퍼스음악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mP1WzF-I-8w, start=702)]}}} || || {{{#67E4C2 '''2005. 5. 22. 인기가요 (뮤티즌송)'''}}}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Ty1t6Ui2NdY,start=884)]}}} || || {{{#67E4C2 '''2005. 12. 7. 제20회 골든디스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navertv(689156)]}}} || == 커버 == || [[가비엔제이|{{{#67E4C2 '''가비엔제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uiiThYDd-eM)]}}} || [[씨야]]가 데뷔하기 이전 '여자 SG워너비'로 불리던 [[가비엔제이]]의 커버무대. == 여담 == * 김진호의 최전성기로 불리는 05년도의 곡답게, 라이브가 굉장히 압도적이었다. '''두성'''을 사용해서 2옥 라 음을 올리고 그 외에도 스크래치 등 수많은 애드립과 기교로 가득찬 곡이다. 그래서인지 3집 이후로 [[김진호]]의 목상태가 안 좋아지면서, 제대로 소화하지 못하는 곡 중 하나이기도 하다. 고음부분[* 못난 내 '''사'''랑도 못된 '''미'''련도 부분인데 05년도 후반부터는 각각 뒤의 "랑"과 "도" 부분의 음에 맞춰서 내려서 부른다.]을 애드리브로 얼버부리거나 음을 내려 부르는 식으로 넘어간다. 사실 05년도에서도 계속된 혹사로 05년도 후반만 봐도 차이가 느껴질정도로 라이브가 힘들어진다. * [[2005년]] 활동 당시엔 한 Key를 낮춰 활동했고, 이후 세월이 흘러 [[2015년]] 컴백 이후 콘서트에서는 아예 Key를 확 낮춰서 어쿠스틱으로 편곡해 부르기도 했다. 그리고 [[2023년]]엔 파트를 조금 수정하여 원래 부르던 한 Key 낮은 음으로 훌륭히 라이브를 소화했다. * SG워너비 곡들 중에서도 난이도가 손꼽히게 높다.[* SG워너비가 가볍게 부를 수 있는 해피발라드 위주의 곡이 많아서 당시에 함께 남성 그룹 대장 라인이었던 버즈, 엠씨더맥스, 먼데이키즈 등에 비해 난이도가 저평가되는 경향이 있긴 한데…SG워너비 노래 역시도 최고 음역대가 이들과 크게 다르지 않은 데다 파사지오 구간을 자주 사용하여 목을 괴롭힌다.] 원키로 부르면 진성 최고음 '''3옥타브 도(C5)'''로[* 마지막 인사로 이 말만 해'''줘'''][* 가성 최고음 '''3옥타브 파(F5)'''], 3옥도뿐만 아니라 '''2옥타브 라(A4)''' 이상의 음도 많아서 전반적인 난이도가 그 악랄하다는 [[M.C The Max]] 노래랑 비교해도 중간은 가는 수준이다. 엠맥 노래는 그래도 이수 1명에 맞추어서 만들어졌기라도 했지 이 노래는 3명에 맞게 만들어져 혼자 커버한다면 굉장히 힘들것이다 * 영화 [[비스티 보이즈(한국 영화)|비스티 보이즈]]의 노래방씬에서 ~~베드신과 함께~~ 등장한다. 앨범 발매 3년 후인 2008년도 영화에도 불구하고 등장한걸 생각하면 이 노래가 얼마나 영향력이 컸는지 알 수 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2.1, title=살다가, version=90)] [[분류:SG워너비/노래]][[분류:2005년 노래]][[분류:한국 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