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clearfix] == 개요 == || [[파일:papercup777.png|height=200]] || [[파일:external/cphoto.asiae.co.kr/2015052214543175122_3.jpg|height=200]] || [[파일:external/www.joseilbo.com/160222090211_kospi007.jpg|height=200]] || || 자판기용 || 컵라면용 || 아이스크림용 || [[단어]] 그대로 [[종이]]로 만든 [[컵]]. == 역사 == [[1908년]] 미국인 휴 무어(Hugh Moore, 1887-1972)가 발명했는데, 형인 로런스 루엘런(Lawrence Luellen)의 영향이 컸다. 로런스는 냉장이 되는 [[정수기]]를 발명했으나 정수기에 쓰이던 도자기/유리 컵이 자꾸 깨지는 바람에 사업이 어려웠다. 로런스의 동생인 휴가 1907년 이 사실을 알게된 후 대학까지 그만두며 연구를 거듭, 물에 안 젖는 태블릿 종이를 이용해 오늘날의 종이컵을 발명했다. 이후 W.T 그래험이 가능성을 알아보고 20만 달러를 투자했으며, 이윽고 민간보건연구소 사뮤엘 크럼빈 박사가 "전염병으로부터 구원될 방법은 종이컵과 같은 [[일회용품]]의 사용"이라고 한데다, 1910년대 [[스페인 독감]]이 정말 닥치자 종이컵은 대박이 나서 오늘날의 입지를 갖게 된다. 이에 휴 무어는 1920년대 아이스크림용 종이컵도 만든다. 이후 종이컵으로 나오는 음료수 자판기는 [[일본]]에서 개발되어 이용되기 시작했다. 루엘런이 만든 정수 자판기는 그냥 종이컵을 자판기에 비치해 두고 사람들이 종이컵을 뽑고 나오는 음료수를 따라 마시는 방식이었다. == 종류 및 용도 == 일반적인 종이컵은 6.5[[온스|oz]](192ml)다. * 이 위아래로 2.4(70ml, [[소주]]컵), 4(120ml), 8(240ml), 10(300ml), 12(360ml, [[소주]] 1병), 13(380ml, 일반적인 카페 따뜻한 음료.) 14(414ml, 일반적인 카페 [[테이크 아웃]] 아이스 음료 컵. 다만 얼음을 빼고 음료는 200ml다.), 16(510ml), 20(600ml) 등이 있다. * 매우 어정쩡한데, 이는 미터법이 아닌 [[야드파운드법]]으로 정했기 때문이다. 미국식 1액량온스(US fluid ounce, US fl.oz)는 약 29.57밀리리터이므로 6.5 액량 온스는 [[리터]] 단위로 환산하면 6.5 fl.oz*29.57ml/fl.oz=192.205ml이다. * [[자판기]] - '''애초에 이 목적으로 발명되었다'''. [[커피믹스]] 1봉이 이 컵의 중간 용량만큼의 물이 적합한 배합이다. * [[계량스푼]] - 정수기들 중에는 버튼을 누르면 이 용량만큼 나오도록 설정된 모델들도 많다. 다만 설탕-소금 등은 192ml지만, 물-액체 등은 [[표면장력]]까지 채우진 않으므로 180ml 정도라고 생각하면 된다. 라면물 550ml(=550cc)를 넣는 경우 6.5온스 종이컵으로 3컵(182ml*3=546ml)을 가득 채워 넣으면 된다. 종이컵 1/3지점[* 종이컵의 바닥면은 컵이 놓이는 바닥에서 약간 떨어져 있으니 이를 감안한다.]까지 물을 부으면 약 50ml, 1/2지점까지 물을 부으면 약 100m, '물 한 컵 가득 마시고 싶다'라는 마음 정도로 부으면 약 150ml이다. * [[전화기]] - 종이컵과 실로 장난감을 만들 수 있다.[* 1664년부터 오늘날의 전화기가 발명된 1854년 이전까지 '실 전화기'는 의외로 진지하게 연구되었다.] [[https://www.chosun.com/culture-life/2020/09/17/IT5XYFNCWBDJDDIE6B3WXM7Y6M/| ]] * [[소변검사]] - 소변검사지에 소변을 묻힌 뒤 종이컵에 담아 제출한다. 이상이 있으면 다시 제출한다. 큰 종이컵 * [[테이크 아웃]] - 겉면에 [[광고]]나 예쁜 일러스트가 그려지기도 하는데, 단가가 올라간다. 카페에서 뜨거운 커피를 담아갈 경우 담긴다. * [[탄산음료]] - [[롯데리아]], [[맥도날드]], [[버거킹]] 등 [[햄버거]] 체인점에서 쓰는 음료수용 종이컵. 일반과 대형 두 종류가 있으며 대형은 컵라면과 용량이 거의 비슷하다. * [[컵라면]] - 2010년대 환경호르몬이 나오는 스티로폼을 대체해 등장했다. [[한솥]]에서 찌개류를 구매하면 담긴다. * [[컵밥]] * 아이스크림 컵 - [[투게더(아이스크림)|투게더]]나 [[배스킨라빈스]] 등에서 볼 수 있다. [[정수기]]용으로 다른 형태 * 접이식 종이컵 - 납작 종이컵이라고도 한다. 부피가 작다. 밑부분을 접거나 윗부분에 바람을 불어 편다. * 원뿔형 종이컵 - 끄트머리를 당겨 사용한다. == [[환경 문제]] == [[일회용품]]([[계획적 구식화]])의 대표주자다. * 2013년, 대한민국에서만 연 120억 개가 사용되었다. * 2017년, 한국인 1인당 연간 커피 소비량이 400잔을 넘으며 소비가 급증했다. [[http://www.newsis.com/view/?id=NISX20170515_0014895482| ]] * 2021년, 카페에서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이 금지되면서 사용량이 더 증가했다. [[미세 플라스틱]]과 [[환경 호르몬]]에 의한 우려도 있다. * 컵 안쪽에 매우 얇은 [[폴리에틸렌]](PE) 비닐이 코팅되어 있다. 액체를 담아도 젖지 않기 위한 용도다. * 녹는 온도가 105도 이상이어서 100도(물의 끓는점) 이하의 라면 끓는물이나 커피까진 괜찮다. 하지만 100도 이상이 될 수 있는 기름 및 음식을 담거나, [[전자레인지]]에 돌리는 경우에는 플라스틱이 녹아 나올 수 있다. [[https://www.sisa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170662|#]] 대체용품을 쓰려는 접근은 다음과 같다. * [[머그컵]], [[텀블러]], [[보온병]]을 사용하고, 식당과 카페에서 고객이 개인용 컵을 가져오면 음료를 할인해 주거나 쿠폰제를 통해 무료로 제공하기도 한다. * 2014년, 컵 사용 시 세척을 위해 물을 펌프질하고 화학 물질을 쓰면서 환경 오염이 더 클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3085769?sid=101| ]] 다만 이 의견을 낸 사람이 제지 협회 대표이므로 적당히 걸러 들어야 한다.[* 제지 협회 대표니, 당연히 '종이컵은 환경에 무해하고 많이 쓰여야 합니다.'고 접근할 수밖에 없다.] 그리고 귀찮아서라도 음료 한 잔 마셨다고 컵을 합성 세제로 정성들여 북북 닦는 사람은 별로 없다. 보통은 컵을 적당히 물로 헹구고 같은 음료를 따라 마시는 사람이 더 많다. 설령 컵을 많이 사용하게 되어도 세제 약간 푼 물에 담가두어 세척하면 세제의 소모가 훨씬 적다. 따라서 컵의 사용과 합성 세제 사용량이 정비례할 수는 없는 반면, 종이컵의 제작과 환경 오염 물질의 발생, 벌채는 무조건 정비례한다. * 2019년, 캐나다 환경단체 CIRAIG와 대한민국 환경단체 기후변화행동연구소는 스테인리스스틸 텀블러 기준 220회를 써야 종이컵보다 탄소 배출이 적다고 계산하였다. [[http://daenews.co.kr/news/view.php?no=15980| ]] [[http://daenews.co.kr/news/view.php?no=15980| ]] 종이컵을 재활용하려는 접근은 다음과 같다. * 종이컵은 모으면 재활용이 가능하다. 다만 종이컵의 재활용이 그리 잘 되지 않는다는 지적이 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6/0010414769?sid=001| ]] 버릴 때엔 곱게 버려지지 않는 편이다. 구겨서 버리거나, 입이 닿는 둥근 부분을 이로 계속 무는 행동을 한 뒤 버리는 경우도 있다. 종이컵을 깨끗이 재활용하기 위해 버릴 때 종이컵 전용 휴지통도 있고, 사용 시 종이컵 받침대 등 관련 도구들이 많다. * [[대한민국]] 내의 일회용컵 보증금 제도에 대한 논란이 있다. * 2002~2008년 시행되었다가 폐지되었다. * 2019년 11월 22일, [[문재인 정부]]는 보증금 제도를 부활시킬 예정을 밝혔다. [[https://view.asiae.co.kr/article/2019112209033878188| ]] * 2020년 6월 2일, 국무회의가 의결해서 2022년 6월 본격적으로 제도를 재도입하기로 하였다. 적용 대상은 점포 수가 100개 이상인 전국 [[카페]]·[[제과점]] 3만8000여 곳이 된다. [[http://www.me.go.kr/home/web/board/read.do?boardMasterId=1&boardId=1375060&menuId=286| ]] * 2022년 5월 19일, 점주들의 반발이 거세 환경부 산하 자원순환보증금관리센터 홈페이지에 900개의 항의글이 올라왔다. 가장 종이컵을 많이 만드는 [[편의점]]이 제외된 것에 대한 항의가 나왔다. 자원순환보증금관리센터의 투명성을 믿을 수 없다는 반응도 나왔다. [[http://www.n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92097| ]] * 2022년 6월 22일, 앞서 항의에 따라 편의점을 수거업체에 추가하려 하자, 이번엔 편의점주들과 알바생들이 항의했다. [[https://www.yna.co.kr/view/MYH20220622022100641| ]] == 기타 == [[소변검사]]용 종이컵이 노점 등에서 사용되어 논란이 된 적이 있다. 당연히 재활용한 걸 쓰지는 않았겠지만 그래도 찝찝하다는 평.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2&oid=082&aid=0000027535|어묵 국물]]([[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0858352|다른 사진]]), [[https://sports.donga.com/3/all/20120830/48994045/2|커피]]([[https://www.wolchuck.co.kr/bbs/bbs/board.php?bo_table=freebd&wr_id=1584473|댓글]]), [[https://www.bobaedream.co.kr/view?code=strange&No=2497721|호떡]]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로 시끄러운 2020년 3월, 초등 돌봄교실에서 [[https://www.wikitree.co.kr/articles/515451|밥과 국물을 종이컵에 담아]]주어 [[맘충|논란을 일으킨 적]]이 있었다. 학교 측은 학부모들더러 식기를 가져올 것을 요청했지만, 학부모들이 이를 들어주지 않아 종이컵을 이용한 걸로 보인다.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issuezoom&no=7327|원본 글]]은 제이드웰이란 이름의 카페에 있다고 한다. [[분류:일회용품]][[분류:종이]][[분류:1920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