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000 '''역대 [[휴고상|{{{#000 레트로 휴고상}}}]] 시상식''' }}} || ||<:> [[파일:휴고상 로고.svg|width=100]] || ||<:> [[휴고상/최우수 편집자|{{{#000 '''최우수 편집자'''}}}]] || || {{{#fff '''1939, 1941, 1943-1946, 1951, 1954년[br](2014, 2016, 2018-2020, 1996, 2001, 2004년 수상)''' }}} || ||<:> '''존 W. 캠벨''' || || || ||<-2> '''{{{+2 존 W. 캠벨}}}[br]John W. Campbell''' || ||<-2>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존 W. 캠벨.jpg|width=100%]]}}}[* 들고 있는 책은 잡지 아날로그 1965년 10월호이다.] || || '''본명''' ||존 우드 캠벨 주니어[br]John Wood Campbell Jr.|| || '''필명''' ||돈 A. 스튜어트[br]Don A. Stuart|| ||<|2> '''출생''' ||[[1910년]] [[6월 8일]] || ||[[미국]] [[뉴저지]] 뉴아크|| ||<|2> '''사망''' ||[[1971년]] [[7월 11일]] (향년 61세) || ||미국 뉴저지 마운틴사이드||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직업''' ||작가, 편집자|| || '''종교''' ||[[무종교]] ,,,([[무신론]]),,,|| || '''서명'''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 border-radius: 4px;" [[파일:Signature of John W. Campbell, Jr..png|width=150]]}}}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사이언스 픽션]] 작가이자 편집자다. == 생애 ==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에 다니던[* 독일어 성적이 좋지 않아 졸업은 못했다. 이후 [[듀크 대학교]]에서 물리학 학사 학위를 받았다.] 18세부터 소설을 쓰기 시작했고, SF 잡지 어메이징 스토리즈(Amazing Stories) 1930년 1월호에 단편 "원자가 실패할 때(When the Atoms Failed)"가 실리면서 작가로 데뷔했다.[* 사실 이전에 단편 "무한의 침략자(Invaders of the Infinite)"가 먼저 실릴 예정이었지만, 편집자 T. 오코너 슬론(T. O'Conor Sloane)이 원고를 잃어버려서 실리지 못했다.] 어메이징 스토리즈에 실린 [[스페이스 오페라]] 작품들로 명성을 얻게 되었고, 필명인 돈 A. 스튜어트(Don A. Stuart)로 다른 장르의 작품들을 써서 성공을 거둔다. 돈 A. 스튜어트 명의로 쓴 작품들 중에는 훗날 [[더 씽|수 차례 영화로 만들어지는]] 단편 "[[거기 누구냐?]]" 등이 있었다. 1937년 SF 잡지 [[아날로그 사이언스 픽션 앤드 팩트|어스타운딩]]의 편집장이었던 F. 오를린 트레마인(F. Orlin Tremaine)이 존 W. 캠벨을 새로운 편집자로 고용했다. 캠벨은 그해 10월호부터 잡지에 실릴 작품 매입 등을 맡았고, 1938년 5월호부터 쭉 편집장으로 취임했다. 편집장이 된 캠벨은 [[레스터 델 레이]]를 시작으로 훗날 대작가가 되는 [[A. E. 밴보트]], [[아이작 아시모프]], [[로버트 A. 하인라인]] 등의 신인작가들을 발굴하고 키워나갔다. SF를 [[펄프 픽션|단순한 액션 모험 이야기]]에서 성숙한 독자들도 만족시킬 수 있는 [[하드 SF|과학적 정확성을 가진 이야기]]로 만들려 했던 캠벨의 노력은 현대 SF에 아주 큰 영향을 주었으며, 이 시기를 SF의 황금기라고도 부른다. 1939년에는 판타지 잡지 언노운(Unknown)을 창간했다.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종이 물자가 부족해져 4년만에 폐간했지만, [[위어드 테일즈]]류의 단순한 호러 이야기가 아닌, 판타지 요소를 논리적으로 전개하는 방식을 추구했던 언노운의 편집 방식은 현대 판타지에 큰 영향을 주었다. 이처럼 존 W. 캠벨은 현대 [[사변소설]]계의 발전에 크나큰 기여를 한 인물이지만, 부정적인 영향도 많이 있었다. 인종분리 정책을 지지하는 에세이를 쓰는 등 인종차별적인 성향이 있었으며, [[새뮤얼 딜레이니]]의 장편 '노바(Nova)'도 주인공이 흑인이라는 이유로 잡지 연재를 거부했었다. [[조 홀드먼]]이 쓴 '영원한 평화(Forever Peace)'의 헌사에 의하면 미국인 여군이 전쟁에 나가 싸우다가 전사한다는 이유로 [[영원한 전쟁]]의 연재를 거부하는 등 성차별적인 성향도 강했다. 그리고 말년에는 초능력이나 반중력 추진기 같은 [[유사과학]]에 빠져들었다. 훗날 [[사이언톨로지교]]를 세우는 L. 론 허버드(L. Ron Hubbard)의 사이비 정신의학 '다이어네틱스(Dianetics)'를 어스타운딩에서 연재하기까지 했다. 1971년 자택에서 [[심부전]]으로 사망했다. 캠벨 사후 잡지 아날로그(전 어스타운딩)의 편집장은 벤 보바(Ben Bova)가 맡았다. == 국내 번역작 == * [[SF 명예의 전당]] 1 - "어스름(Twilight)" - 1934년 * [[SF 명예의 전당]] 4 - "[[거기 누구냐?]](Who Goes There?)" - 1938년 == 미번역 == * [[달은 지옥이다]](The Moon Is Hell!) - 1951년 == 기타 == 엄청난 [[골초]]였으며, 담배 파이프를 물지 않은 때가 거의 없었다고 한다. 정부에서 담배가 몸에 좋지 않다고 하자 거기에 반대하는 사설을 잡지에 게재하기도 했다. 캠벨 사후인 1973년부터 캠벨을 기리기 위해 SF 장편 소설을 대상으로 하는 [[존 W. 캠벨 기념상]]과 신인 작가들을 대상으로 하는 [[존 W. 캠벨상]]이 만들어졌다. 하지만 존 W. 캠벨상은 위의 차별 논란 때문에 [[어스타운딩상]]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겁스 무한세계]]의 평행우주 중에는 캠벨이 사고로 일찍 사망한 '캠벨'이라는 세계가 있다. 이후 SF는 모험소설에서 더 발전하지 못했고 과학 발전 자체가 정체되었으며 핵개발이 늦어진 만큼 2차대전은 더욱 참혹해졌다. 미국은 더욱 종교화하고 인공위성도 녹색혁명도 없으며 공산권은 레닌주의적 나태와 기아에 시달리면서 세번째 대전쟁을 준비 중. 캠벨 한 사람의 죽음으로 일어난 일이라기에는 너무 광범위해서 누군가의 장기적인 음모가 아닌가 하는 시선도 있다. [[분류:SF 작가]][[분류:미국의 소설가]][[분류:미국의 편집자]][[분류:1910년 출생]][[분류:1971년 사망]][[분류:뉴어크(뉴저지 주) 출신 인물]][[분류:듀크 대학교 출신]][[분류:심부전으로 죽은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