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존 호튼 콘웨이}}}[br]John Horton Conway[br]FRS'''[* Fellow of the Royal Society] || ||<-2>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20090310_ConwayKochen_DJA_066-copy.jpg|width=100%]]}}} || ||<|2> '''출생''' ||[[1937년]] [[12월 26일]]|| ||[[잉글랜드]] [[머지사이드]] [[리버풀]]|| ||<|2> '''사망''' ||[[2020년]] [[4월 11일]] (향년 82세)|| ||[[미국]] [[뉴저지주]] 뉴브런즈윅||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영국)]|| || '''학력''' ||[[파일:케임브리지 대학교 원형 아이콘.png|width=17]] [[케임브리지 대학교]] [[케임브리지 대학교/컬리지#s-5.1.4|곤빌 앤 키즈 컬리지]] {{{-2 ([[수학]] / [[학사|B.A.]] · [[Ph.D.]]) (1959년, 1964년)}}}|| || '''지도 교수''' ||해럴드 데이븐포트 Harold Davenport || || '''소속''' ||[[프린스턴 대학교]] 수학과 교수[* [[존 폰 노이만]] 석좌 교수][br][[케임브리지 대학교]] [[케임브리지 대학교/컬리지#d-5.1.16|시드니 서식스 컬리지]] 교수|| || '''수상''' ||베릭상 (1971)[br]폴야상 (1987)[br]네머상 수학 부문 (1998)[br]리로이 스틸상 수학 부문 (2000)|| [목차] [clearfix] == 개요 == [[영국]] [[리버풀]] 출신의 [[수학자]]. [[콘웨이의 생명 게임]]으로 익히 알려져 있는 수학자다. == 주요 업적 == === [[콘웨이의 생명 게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콘웨이의 생명 게임)] === [[콜라츠 추측]]의 일반화 불가능성을 증명 === [[정지 문제]]와 비슷하게 접근해서 콜라츠 추측의 일반화가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증명했다. === [[읽고 말하기 수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읽고 말하기 수열)] === 콘웨이 표기법 === 총 2개가 있는데, 하나는 [[매듭이론]]에서 사용되는 매듭 표기법이고 또 하나는 [[큰 수]]를 표기하는 [[콘웨이 연쇄 화살표 표기법|화살표 표기법]]이다. === [[괴물군(수학)|괴물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괴물군(수학))] 그 크기가 80.8 [[항하사]]나 되는 거대 [[군(대수학)#s-4.2|단순군]]의 존재를 예측했다. == 사망 == 2020년 4월 11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자택에서 향년 82세의 나이로 숨졌다. [[파일:RIP John Conway.gif|width=200px]] 존 콘웨이를 추모하는 [[xkcd]] 에피소드. [[콘웨이의 생명 게임]]으로 되어 있다. == 여담 == 함수해석 전공인 동명이인 존 블라이 콘웨이(John Bligh Conway)도 전공자들 사이에는 유명하기 때문에 두 사람에 대해서는 미들네임 또는 그 이니셜을 붙여서 부르는 경우가 많다. 이 사람은 뉴올리언스 출신의 미국인으로, Springer 출판사에서 출간한 교과서들이 널리 쓰이는 편이다. [[분류:리버풀 출신 인물]][[분류:1937년 출생]][[분류:2020년 사망]][[분류:영국의 수학자]][[분류: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죽은 인물]][[분류:케임브리지 대학교 출신/곤빌 앤 키즈 컬리지]][[분류:케임브리지 대학교 재직]][[분류:프린스턴 대학교 재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