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존 러스킨}}}[br]John Ruski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John-Ruskin.jpg|width=100%]]}}}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영국)]|| ||<|2> '''출생''' ||[[1819년]] [[2월 8일]]|| ||[include(틀:국기, 국명=잉글랜드)] [[런던]] 브런스윅 스퀘어|| ||<|2> '''사망''' ||[[1900년]] [[1월 20일]] (향년 80세)|| ||[include(틀:국기, 국명=잉글랜드)] [[랭커셔|랭커서 주]] 코인스턴 브랜트우드|| || '''직업''' ||작가, 예술 비평가|| ||<|2> '''학력''' ||[[킹스 칼리지 런던]] ^^(영문학 / 수료) (1836년)^^[* [[https://blogs.kcl.ac.uk/kingscollections/2019/04/08/on-the-occasion-of-john-ruskins-bicentenary/|King's Collections - On the occasion of John Ruskin’s bicentenary]][br][[https://web.archive.org/web/20170814225900/http://www.pookpress.co.uk/project/john-ruskin-biography/|Pook Press - John Ruskin Biography]]] || ||[[옥스퍼드 대학교]], [[옥스퍼드 대학교/컬리지#s-5.6|크라이스트 처치]] ^^(1837년 – 1842년)^^[* [[https://www.jstor.org/stable/450969?origin=crossref|참고]]] || || '''배우자''' ||에피 그레이 ^^(1848년 – 1854년, 무효화)^^|| || '''종교''' ||[[개신교]]([[복음주의]]) → [[기독교]][* 점차 개신교 신앙심이 옅어졌었다가, 결국엔 기독교도로 돌아왔다. (Michael L Malleson, "[[http://etheses.dur.ac.uk/5767/|John Ruskin his theology and faith]]", etheses.dur.ac.uk, 1992. · "[[https://www.lancaster.ac.uk/fass/ruskin/empi/notes/m001.htm|Ruskin and religion]]", lancaster.ac.uk)]|| || '''서명''' ||[[파일:John_Ruskin_signature_1880.svg.png|width=111&bgcolor=#fff]]|| [목차] [clearfix] == 개요 == >"영국과 우리 세대뿐만 아니라 전 세계와 모든 시대의 가장 뛰어난 인물 중 하나" >- [[레프 톨스토이]] [[빅토리아 시대]] 영국의 저명한 예술 평론가이자 작가. 소묘 및 수채화가로도 활동했으며, 사회사상가로도 유명하다. 그의 평론은 예술분야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건축, 문학, 교육, 경제학, 지질학에 이르는 방대한 주제의 글을 남기기도 했다. 여담으로 러시아의 대문호 [[레프 톨스토이]]는 러스킨의 사상을 러시아어로 보여주며 그의 글을 인용하기를 좋아했다. == 사상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x40l1ov8hfA)]}}}|| == 어록 == >"When love and skill work together, expect a masterpiece." >애정과 기술이 함께 할 때, 걸작이 탄생한다. >"Every increased possesion loads us with new weariness." >소유가 늘 수록 근심 또한 늘어간다. >"Quality is never an accident. It's always the result of intelligent effort." >품질이란 절대 우연의 산물이 아니며, 언제나 지적 노력의 결과물이다. >"In order that people may be happy in thier work, these three things are needed: They must be fit for it. They must not do too much of it, and they must have a sense of success in it." >사람들이 일에서 행복감을 느끼기 위해선 다음과 같은 세 가지가 필요하다: 적성에 맞아야 하고, 너무 많이 해서는 안되며, 성취감을 얻을 수 있어야 한다. [[분류:영국 남성 작가]][[분류:런던 출신 인물]][[분류:킹스 칼리지 런던 출신]][[분류:옥스퍼드 대학교 출신]][[분류:1819년 출생]][[분류:1900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