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미국 상원의원]][[분류:미국의 외교관]][[분류:법조인 출신 정치인]][[분류:1936년 출생]][[분류:미국 공화당 소속]][[분류:세인트루이스 출신 인물]][[분류:프린스턴 대학교 출신]][[분류:예일 대학교 출신]][[분류:예일 대학교 로스쿨 출신]] ||<-5> [[미국 상원|[[파일:미국 상원 문장.svg|height=30]]]] '''[[미국 상원|{{{#fff 미국 연방 상원의원}}}]] [[미주리|{{{#fff (미주리 주 클래스 1)}}}]]''' || || 제83~94대[br]스튜어트 시밍턴 || ← || '''제94~103대[br]존 댄포스''' || → || 제104~106대[br][[존 애쉬크로프트]] || ---- [include(틀:역대 주 유엔 미합중국 대사)] ----- ||<-2> [[미국 상원|{{{#ffffff '''미합중국 제94-103대 연방 상원의원'''}}}]]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0427%, #030427%, #030427%, #030427 '''{{{#ffc224 제24대 UN주재 미합중국 대사[br]{{{+1 존 클래깃 댄포스}}}[br] John Claggett Danforth}}}'''}}} || ||<-2> {{{#!wiki style="margin:-6px -10px" [[파일:존댄포스.jpg|width=100%]]}}} || ||<|2> {{{#ffc224 '''출생'''}}} ||[[1936년]] [[9월 5일]] ([age(1936-09-05)]세) || ||미국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 || ||<|7> {{{#ffc224 '''재임기간'''}}} || ||<#f5f5f5,#222>제24대 UN주재 미국 대사 || ||[[2004년]] [[7월 23일]] ~ [[2005년]] [[1월 20일]] || ||<#f5f5f5,#222>연방상원의원(미주리 클래스 1) || ||[[1976년]] [[12월 27일]] ~ [[1995년]] [[1월 3일]] || ||<#f5f5f5,#222>제37대 미주리 주 법무장관 || ||[[1969년]] [[1월 13일]] ~ [[1976년]] [[12월 27일]] || || {{{#ffc224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ffc224 '''정당'''}}} ||[include(틀:공화당(미국))]|| || {{{#ffc224 '''가족'''}}} ||^^'''배우자'''^^ 샐리 돕슨 ^^([[1957년]] 결혼)^^[br]슬하 5명 || || {{{#ffc224 '''종교'''}}} ||[[성공회]] || || {{{#ffc224 '''학력'''}}} ||[[프린스턴 대학교]] {{{-2 ([[학사|B.A.]])}}}[br][[예일 대학교]] {{{-2 (J.D./M.Div)}}}|| || '''{{{#ffcc24 서명}}}''' ||[[파일:존댄포스서명.jpg|width=150]]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정치인,외교관, [[미주리주]] 연방상원의원과 [[유엔]] 주재 미국 대사직을 역임했다. == 생애 == 미주리 [[세인트루이스]]의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났다.[[프린스턴 대학교]]와 [[예일 대학교]] 로스쿨, 신학대학원을 졸업한 뒤 1963년 [[뉴욕]]에서 변호사 자격증을 따고 변호사로 활동했다. 1968년에는 미주리로 돌아와 [[공화당(미국)|공화당]] 소속으로 주 법무장관에 출마해 당선되었다. 1970년에는 연방상원의원에 도전하지만 현직 민주당 상원의원인 스튜어트 시밍턴(Stuart Symington)에게 근소한 차이로 밀려 낙선한다. 2년 후인 1972년에는 법무장관 재선에 성공한다.[* 미국은 대부분의 공직에 출마할 때 현직을 사퇴할 필요가 없다.] 그의 법무장관 시절 수하에는 키트 본드(Kit Bond)[* 이후 미주리 주지사, 연방상원의원], [[존 애쉬크로프트]][* 이후 미주리 주지사, 연방상원의원, 미국 법무장관], [[클래런스 토머스]][* 이후 연방대법관]가 있었다. 1976년 스튜어트 시밍턴이 은퇴하자 상원의원에 재도전한다. 미주리가 당시 민주당 세력이 강했고 [[민주당(미국)|민주당]] 후보였던 [[https://mcimaps.com/the-most-tragic-election-victory-in-us-history/|제리 리튼(Jerry Litton)]]도 주민들에게 인기가 좋았기에 댄포스의 당선 확률은 높지 않았다.[* 동시에 실시된 대통령 선거에서 공화당 대통령 [[제럴드 포드]]는 미주리주에서 민주당 대선후보 [[지미 카터]]에게 3.5%p 차이로 패했고 주지사 선거에서 공화당 현직 주지사 키트 본드는 민주당 주지사 후보 조지프 티즈데일(Joseph Teasdale)에게 0.6%p 차이로 패했다. 리튼의 사망이 없었다면 댄포스도 승리하기 어려웠을 것이다.] 그러나 제리 리튼이 비행기 추락사고로 사망하고 미주리주 민주당이 어쩔 수 없이 인기가 덜하던 인물을 대체 후보로 올리자 상황이 바뀐다.[[https://www.nytimes.com/1976/08/05/archives/death-of-missouri-winner-roils-democratic-politics-death-of-winner.html|#]] 민주당이 내홍을 수습하지 못하는 동안 댄포스는 법무장관 경력을 이용한 포지티브 선거운동을 했고 14%p 차이를 내며 크게 승리한다. 1982년, 1988년 선거에서도 재선에 성공해 총 18년간 상원에서 임기를 보낸다. 상원에서 댄포스는 공화당 중도파, 타협파에 속했고 공화당,민주당 모두에게 좋은 평가를 받았다. 다만 [[낙태]] 제한과 클래런스 토머스의 대법관 인준에는 적극적인 모습을 보였다.[[https://www.washingtonpost.com/archive/lifestyle/1991/10/07/john-danforths-noble-callings/f87df2c5-0c84-46c9-b6d9-e70fdddbe6b8/|#]] 상원의원 임기를 마친 뒤에는 [[재닛 리노]]의 요청으로 [[웨이코 포위전]] 조사를 위한 특별검사에 임명되었다. 그의 타협적 성향과 [[스윙 스테이트]][* 1904년부터 2004년까지 [[1956년 미국 대통령 선거]]를 제외하고 미주리에서 이긴 후보가 대통령 선거에서 이겼다. 2008년 대선 이후로는 레드 스테이트로 여겨진다.] 미주리주에서의 광범위한 인맥 덕분에 [[1988년 미국 대통령 선거|1988년 미국 대선]]과 [[2000년 미국 대통령 선거|2000년 미국 대선]]에서 부통령 후보로 유력시되었다. 특히 2000년 대선에서는 [[조지 W. 부시]]가 [[딕 체니]]와 댄포스 중 누굴 부통령 후보로 고를지 마지막까지 고민했다고 한다.[[http://edition.cnn.com/TRANSCRIPTS/0007/24/mn.07.html|#]] 결국 부시의 러닝메이트는 체니가 되었지만 부시 행정부에서 수단 특사로 임명되어 수단 정부에 대한 제재와 [[수단 내전]] 평화 협정을 위해 노력했다. 2004년에는 주 UN 미국 대사로 임명되었다. 그의 기여로 2005년 1월 9일 수단군과 [[SPLA]]는 평화협정 체결에 성공하지만 반 년만에 대사직을 사임한다.[[https://www.hankyung.com/article/2004120302898|#]] 명목상의 사임 사유는 아내의 건강 때문이었으나 정권이 교체되지도 않았음에도 지나치게 빨리 사임했기에 UN,부시 행정부의 외교 정책에 불만이 있었다고 해석되기도 했다. [[조시 홀리]]의 정계 입문, 상원의원 출마를 후원했지만 그가 [[미국 국회의사당 점거 폭동]] 때 보인 행보 때문에 그를 강하게 비판했다.[[https://www.chicagotribune.com/election-2020/ct-josh-hawley-capitol-riot-20210107-paflva2gajfprlir4pyt7ny6mq-story.html|#]] [[2022년 미국 중간선거]]에서는 [[친트럼프]] 성향 공화당 후보 [[에릭 슈미트]] 지지를 거부하고 무소속 후보 존 우드[* 비트럼프 공화당원이었고 선거 중 저조한 지지율 때문에 후보에서 사퇴했다.]를 지지,지원했다.[[https://www.google.com/amp/s/amp.kansascity.com/news/politics-government/article267114856.html|#]] 공화당 원로 정치인답게 [[도널드 트럼프]]의 [[2020년 미국 대통령 선거/부정선거 음모론|부정선거 음모론]]에도 확고히 반대하고 있다. == 선거 이력 == || '''연도''' || '''선거''' || '''선거구''' || '''정당''' || '''득표수(득표율)''' || '''당락''' || '''비고''' || || 1968 || 미국 법무장관 선거 ||<|6> [[미주리]] ||<|6> [include(틀:공화당(미국))] || '''891,498 (52.11%)''' || '''당선 (1위)''' || '''초선''' || || 1970 || 미국 연방상원의원 선거 || 617,903 (48.15%) || 낙선 (2위) || || || 1972 || 미국 법무장관 선거 || '''1,146,926 (62.54%)''' ||<|4> '''당선 (1위)''' || '''재선''' || || 1976 || 미국 연방상원의원 선거 || '''1,090,067 (56.94%)''' || '''초선''' || || 1982 || 미국 연방상원의원 선거 || '''784,876 (50.85%)''' || '''재선''' || || 1988 || 미국 연방상원의원 선거 || '''1,407,416 (67.70%)''' || '''3선''' || == 여담 == *상원의원에 처음 당선될 때부터 은퇴할 때까지 [[사형제/존폐 논란|사형 반대론자]]였다. *[[레이건]]의 [[신보수주의]] 돌풍 이전 공화당식 [[보수주의]]를 상징하는 인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