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명이인의 소설가, rd1=조해진(소설가))] ||<-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svg|width=30]]]] {{{#cfa547 '''[[대한민국|{{{#cfa547 대한민국}}}]] [[대한민국 국회의원|{{{#cfa547 국회의원}}}]] ([[경상남도|{{{#cfa547 경남}}}]] [[밀양시·의령군·함안군·창녕군|{{{#cfa547 밀양시·의령군·함안군·창녕군}}}]])'''}}} || || 제20대[br][[엄용수]][* 선거법 위반으로 인한 의원직 상실. 잔여임기 1년 미만으로 인해 재보궐선거 미실시.] || → || '''제21대[br]조해진''' || → || 현직 || ||<#e61e2b> {{{#fff '''현직 및 역임한 지위'''}}}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svg|width=30px]]]] {{{#580009,#fe8f9a '''[[대한민국|{{{#cfa547 대한민국}}}]] [[대한민국 국회|{{{#cfa547 국회}}}]] [[교육위원회|{{{#cfa547 교육위원장}}}]]'''}}} || || 제21대 전반기[br][[유기홍]] || → || '''제21대 전반기[br]조해진''' || → || 제21대 후반기[br][[유기홍]] || ||<-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svg|width=30]]]] {{{#cfa547 '''[[대한민국 국회|{{{#cfa547 대한민국 국회}}}]] [[정보위원회|{{{#cfa547 정보위원장}}}]]'''}}} || || 제21대 전반기[br][[김경협]] || → || '''제21대 후반기[br]조해진''' || → || 제21대 후반기[br][[박덕흠]] || ---- ||<-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width=30]]]] {{{#cfa547 '''[[대한민국|{{{#cfa547 대한민국}}}]] [[대한민국 국회의원|{{{#cfa547 국회의원}}}]] ([[경상남도|{{{#cfa547 경남}}}]] [[밀양시·의령군·함안군·창녕군|{{{#cfa547 밀양시·창녕군}}}]])'''}}} || || 제16-17대[br][[김용갑]] || → || '''제18-19대[br]조해진''' || → || ''선거구 개편''[br]~~[[엄용수]]~~[* [[밀양시·의령군·함안군·창녕군]] 선거구의 [[제20대 국회의원]] 이다.][* 선거법 위반으로 인한 의원직 상실. 잔여 임기 1년 미만으로 인해 재보궐선거 미실시.] || ---- [include(틀:국민의힘 당협위원장/경상남도)] }}} || ||<-2> '''{{{#ffffff 대한민국 제18·19·21대 국회의원[br]{{{+1 조해진}}}[br]曺海珍 | Cho Hae-ji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조해진 의원.jpg|width=100%]]}}} || ||<|2> '''{{{#fff 출생}}}''' ||[[1963년]] [[8월 4일]] ([age(1963-08-04)]세) || ||[[경상남도]] [[밀양시]] 무안면 || || '''{{{#fff 거주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북아현동]] 우민아파트[br][[경상남도]] [[밀양시]] 무안면 무안리 || || '''{{{#fff 본관}}}''' ||[[창녕 조씨]][* 태복경공파 27세손.] || || '''{{{#fff 현직}}}''' ||[[제21대 국회의원]][br][[국민의힘]] [[밀양시·의령군·함안군·창녕군|밀양·의령·함안·창녕]] 당협위원장[br]국민의힘 혁신위원회 부위원장 || || '''{{{#fff 링크}}}''' ||[[https://www.facebook.com/chrisjo204|[[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https://youtube.com/channel/UCq7UY3Hgy4DikDli1WpqeU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공식 유튜브 채널] | [[https://youtube.com/channel/UCWZFYKdNBRkb0DlWCfGf2r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21대 총선]] 이전] | [[https://blog.naver.com/chrisjo631|[[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0]]]]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배우자''' ||송욱 || || '''자녀''' ||슬하 3녀 || || '''학력''' ||[[밀양고등학교]] {{{-2 ([[졸업]])}}}[br][[서울대학교 법과대학]] {{{-2 (공법학 / [[학사]])}}}[br][[서울대학교 대학원]] {{{-2 (법학 / [[석사]])}}} || || '''병역''' ||[[전시근로역]] {{{-2 ([[수핵탈출증]])}}} || || '''종교''' ||[[개신교]] {{{-2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예장합동]])}}}[* 일산 참된교회 장로이다.] || || '''소속 정당''' ||[include(틀:국민의힘)] || || '''지역구''' ||[[경남]] [[밀양시·의령군·함안군·창녕군]] || || '''의원 선수''' ||'''3''' || || '''의원 대수''' ||[[제18대 국회의원|'''18''']], [[제19대 국회의원|'''19''']], [[제21대 국회의원|'''21''']] || || '''소속 위원회''' ||[[기획재정위원회]][br][[정보위원회]] || || '''경력''' ||[[박찬종]] 국회의원 보좌관[br][[국민신당(대한민국)|국민신당]] 부대변인[br][[이명박]] [[서울특별시장]] 비서관[br][[한나라당]] [[이명박]] 대통령후보 공보특보[br][[제18대 국회의원]] {{{-2 ([[밀양시·창녕군|경남 밀양시·창녕군]] / [[한나라당]])}}}[br][[태국]], [[미얀마]] [[이명박]] 대통령 특사[br][[한나라당]] 대변인[br][[새누리당]] 비대위원[br][[제19대 국회의원]] {{{-2 (경남 밀양시·창녕군 / [[새누리당]])}}}[br]엘살바도르 [[박근혜]] 대통령 특사[br][[새누리당]] 경남도당 위원장[br][[새누리당]] 원내수석부대표[br][[제19대 국회]] 후반기 [[국회운영위원회]] 간사[br][[바른정당]] [[유승민]] 대통령후보 전략기획팀장[br][[제21대 국회의원]] {{{-2 ([[밀양시·의령군·함안군·창녕군|경남 밀양시·의령군·함안군·창녕군]] / [[미래통합당]])}}}[br][[제21대 국회]] 전반기 [[교육위원회]] 위원장[br]제21대 국회 후반기 [[정보위원회]] 위원장[br][[국민의힘]] 혁신위원회 부위원장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 생애 == 1963년 [[경상남도]] [[밀양시|밀양군]]에서 태어났다. [[밀양고등학교]](9회),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공법학과를 졸업하였다. == 정치 활동 == 동 대학에서 법학석사 학위를 마친 후 1992년 [[신정치개혁당]] 창당에 참여하여 [[박찬종]] 의원 보좌관으로 정계에 입문하였고, 이후 1995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무소속 박찬종 [[서울특별시장]] 후보 측 선거대책본부 부대변인을 맡았다. [[한나라당]]을 탈당한 박찬종 전 의원을 따라 [[국민신당(대한민국)|국민신당]]에 몸담은 적도 있었다. 박찬종의 정계은퇴 이후 2000년대 중반 [[이명박]] 서울특별시장 비서실 정무보좌관을 역임하였고 그 인연으로 [[친이]]계에 속하였다. 2008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경상남도 밀양시-창녕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누리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2015년 새누리당 [[유승민]] 원내대표 시절 원내수석부대표를 역임하였다. 이후 유승민의 최측근으로 활동하며 유승민에게서 '정치적 마누라' 라고 불릴 정도로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다. 당시 정치부 기자들 사이에서 유승민과 조해진을 일컬어 '새누리당 젠틀맨'이라 불리기도 했다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이른바 [[친유]]계로 분류되어 컷오프 당하자 [[무소속]]으로 경상남도 [[밀양시·의령군·함안군·창녕군]] 선거구[* 선거구 개편으로 기존의 의령군·함안군·합천군 선거구에서 의령군과 함안군을 가져오게 됐다.]에 출마했다. 그러나 새누리당 [[엄용수]] 후보에 밀려 낙선했다. 자세히 살펴보면 밀양시에서는 이겼지만 군 지역에서 져서 낙선했다.[* 출구조사에서도 조해진이 이기는 걸로 나왔다.] 이후 2017년 초에 [[바른정당]]에 입당했다. 이후 유승민 후보의 대선캠프 전략기획팀장으로 활동했다. 2017년 11월 8일 [[바른정당]] 탈당 후 [[자유한국당]]에 복당 신청하였으나 2016년 총선에서 당시 새누리당 탈당 후 무소속 출마 경력이 문제되어 자유한국당 복당이 불허됐다. [[이명박]] 전 대통령에 대한 적폐청산 수사가 진척되자, 이에 대해 이명박을 변호하고 현 정부와 검찰을 비판하는 인터뷰를 했다. [[http://m.cpbc.co.kr/news/view.php?cid=701675&path=201711|#]] 이명박 전 대통령의 검찰 소환 조사를 마친 날[* 전날 아침에 소환돼 새벽에 조사가 끝났다] [[JTBC 뉴스룸]]에 출연해 지금의 검찰 수사를 정치보복으로 보는냐는 질문에 노무현 전 대통령 때처럼 검찰이 정치보복을 한다며 그때나 지금이나 검찰이 바뀐 게 없다라고 말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gYzugEb5VAU&t=830s|해당 영상(13분 50초 경)]] 3월 22일 밤 이명박에게 구속영장이 청구되어 동부구치소로 호송되기 전에도 마지막 배웅을 한다. 갑작스런 바른정당 탈당과 자유한국당행에 대해 여러 추측이 나오고 있지만 MB관련 언행으로 인해 유승민과 바른정당계 사람들이 구설수에 오르는 것을 피하기 위해 한 결정이라고 보는 시각이 존재하기도 한다. 혹은 [[정종섭]]을 견제하기 위해 비슷한 시기에 탈당한 [[류성걸]]과 비슷하게 조해진 역시 [[엄용수]]를 견제하고 [[자유한국당]] 내 소장파들을 지원하기 위해 탈당했다는 이야기가 있다.[* [[친무]]의 [[바른정당]] 탈당과 비슷하게 [[김을동]], [[황보승희]], [[권성동]] 등이 먼저 탈당하고 그 이후 [[자유한국당]] 잔류파와 합류하기 위해 [[김무성]]이 탈당하는 모습과 비슷하게 [[류성걸]], 조해진 역시 비슷한 루트를 채택할 가능성이 높다.] 2019년 1월에 [[자유한국당]] 조직위원장 선정 공개 오디션 때 높은 점수를 받아 경남 [[밀양시·의령군·함안군·창녕군]] 지역위원장으로 임명됐지만, 정작 복당은 경남도당에서 불허하는 바람에 이뤄지지 못했다. 이에 조해진은 중앙당에 이의신청을 했는데, 당시 [[김병준(정치인)|김병준]] 비대위에서는 2월 27일 전당대회 이후 출범할 차기 지도부에 안건을 이관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119&aid=0002310333|#]] 하지만 [[황교안]] 체제가 출범한 이후에도 여전히 반년 가까이 계류된 상태에 머물러있고[[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214&aid=0000971622|#]] 10월 현재에도 여전히 무소속이다. 2020년 1월, [[류성걸]], [[김장주]], [[성윤환]] 등 [[자유한국당]]에 입당/복당신청을 한 무소속 정치인들의 신청이 일괄 허가되면서 한국당에 복당하게 되었다. [[파일:김병지 보수 유세.jpg]] 2020년 3월, [[제21대 국회의원 선거|21대 총선]]을 앞두고 경남 [[밀양시·의령군·함안군·창녕군]] 지역구에 [[미래통합당]] 후보로 공천을 받았다. 한편, 전 국가대표 골키퍼 [[김병지]]가 지원 유세를 해주었다.[* 김병지는 밀양 출신이다.] [[당선]]되면서 4년 전 컷오프의 아픔을 딛고 국회에 다시 입성하게 되었다. 68% 득표율로 완승했는데 4년간 쉬면서 [[자유한국당]]의 비호감 이미지가 없었고, 또 지역밀착형 행보를 보여 매우 압도적으로 이긴 것으로 보인다. 이후 미래통합당 정책위의장 경선에 출마하기도 했다. 러닝메이트는 [[권영세(1959)|권영세]] 의원이었다. 그러나 권영세 의원이 원내대표직에서 낙선하면서, 정책위의장에서 낙선했다. KBS 정치합시다와의 인터뷰에서 소속당을 향해 "좀비 같았다"고 비판하면서 "할 말 제대로 못하고 8년을 산 데 대해서 후회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념에 치우친 경제정책을 바로잡겠다"고 했다. [[http://news.kbs.co.kr/news/view.do?ncd=4454116|#]] 2021년엔 오세훈의 부동산 논란을 부정하기 위해 대법원까지 판결을 낸 다스가 이명박의 것임을 부정하기도 했다. [[https://news.v.daum.net/v/20210319082507199|#]] 2021년 5월부터는 차기 지방선거에서 [[윤영석]], [[윤한홍]] 의원과 함께 [[경상남도지사]]에 도전할 현역의원으로 꼽히기도 했다. 일단 [[국민의힘/제1차 전당대회|전당대회]]에 최고위원으로 출마하였으며, 대구경북 연설회에서는 [[새마을운동]] 노래를 부르기도 했다. 그러나 전당대회 최고위원 선거에서 5위로 낙선하였다. [youtube(eqMzhe87Yuo)] 2021년 7월 23일, [[국민의힘]] [[김기현]] [[원내대표]]와 [[더불어민주당]] [[윤호중]] [[원내대표]]의 합의에 따라 법사위를 비롯한 상임위 7개를 국민의힘에게 다시 넘기는 것으로 결정이 되면서 교육위원장을 맡을 의원을 입후보했는데, 유일하게 조해진 의원이 입후보하면서 사실상 2021년부터 2022년까지 1년간 교육위원장직을 맡을 것으로 보인다. == 기타 == * 스튜디오 허프의 <담배전쟁> EP.3에 출연하여 전자담배 세금인상에 관한 부정적 의견을 말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icvFrbnu7mw&list=PL6Bc9cj6JADkg-PjJMeJhAdw5Ep89EzBM&index=3|#]] * [[사이다]]를 좋아한다고 하고, [[2016년]] 기준 [[밀양시]] 내 자택에서 노모와 같이 거주한다고 한다.[[https://youtu.be/CVgDb_pD9EY|#]] * [[한강 의대생 실종 사건]]은 [[문재인 정부]]의 사회적 거리두기, 방역 실패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https://www.dogdrip.net/327687378|#]] 10시 영업 제한 때문에 결과론적으로 학생들이 한강까지 가서 술을 마셨다는 주장. * 시사프로그램에서 인사할때 고정멘트가 있다. "'''네~안녕하십니까~?, 조해진 입니다.'''" 이다. == 논란 == === 단통법 대표 발의 === 악법이라는 비판을 많이 받고 있는 단통법을 대표 발의하여 당시에 큰 논란이 되었고 비판을 받았다. 조해진은 단통법이 실시되면 요금을 내릴 것이라는 --개소리-- 주장을 시전했지만 누구나 예상했듯이 그런 일은 결코 일어나지 않았고 이통사들의 영업이익만 폭증했다. 과점시장에서 자발적인 가격 인하는 거의 불가능하다는 것은 쉽게 예상할 수 있는 일이다. 단통법은 전국민들이 더 비싼 가격으로 휴대폰과 요금을 지불하게 되었다는 비판을 받는다. 규제 철폐와 이로 인한 자유 경쟁을 통해 진정한 자유시장경제, 자유민주주의 그리고 이에 따른 경제성장을 추구하는 우파 정당인 새누리당에서 경쟁을 제한하는 이런 규제 법안을 내놓았다는 것 자체가 매우 충격적이며, 때문에 이 법안은 새누리당의 정체성을 부정하는 법안이라는 비판하는 이도 있다. 게다가 단통법은 민주당 지지자들이 새누리당은 기득권층, 가진자를 위한 정당이라고 주장할 때 실제 근거로 드는 사례가 되었다. 단통법은 통신 요금 제도에 민감한 젊은 세대들이 대거 새누리당과 박근혜 정부에게 등을 돌리고 급격히 민주당 지지로 쏠리게 되는 현상을 낳는 계기가 되었다는 비판을 받는다. 단통법을 발의한 조해진의 소속당인 새누리당은 물론이고 민주당 또한 단통법 당시 반대 목소리를 내 줄 것이라는 일각의 기대와 다르게 얼씨구나 하면서 단통법에 찬성했다. 서민을 대변한다고 자처해오던 민주당마저 이런 행보를 보인 것에 실망을 표한 사람들도 있었지만, 대부분의 비난의 화살은 당연히 이 법을 발의한 새누리당에게 집중되었다. 사실 가격 통제는 좌파 정당에서 선호하는 정책 수단이기 때문에 민주당이 단통법에 찬성한 것은 사실 놀라운 일이 아니다. 이후 꾸준히 단통법 폐지 목소리가 이어왔으나 여야할 것이 없이 국민들의 목소리를 외면하고 있는 상태. 이후 민주당으로 정권으로 바뀌었지만 역시나 단통법을 폐지할 생각이 없었고, 적폐 청산을 부르짖던 정권 5년 동안 단통법은 폐지되지 않았고 정치권에서 사실상 거론되지도 않았다. 이후 다시 정권이 바뀌었고, 윤석열 정부에서 단통법 폐지를 거론하기 시작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으나 윤석열 정부 또한 완전 폐지가 아닌 완화 쪽으로 방향이 기울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 소속 정당 == || '''{{{#fff 소속}}}''' || '''{{{#fff 기간}}}''' || '''{{{#fff 비고}}}''' || || [include(틀:신정치개혁당)] || 1992 - 1994 || 창당[br]정계 입문 || || [include(틀:신민당(1994년))] || 1994 - 1995 || 합당[* [[통일국민당]]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무소속)] || 1995 - 1996 || 탈당[* 1995년 4월 25일 탈당] || || [include(틀:신한국당)] || 1996 - 1997 || 입당 ||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1997 || 합당[* [[통합민주당(1995년)|통합민주당]]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무소속)] || 1997 || 탈당[*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 || || [include(틀:국민신당)] || 1997 - 1998 || 입당 || || [include(틀:무소속)] || 1998 || 탈당[* [[한나라당]] 복당을 위한 탈당] || || [include(틀:한나라당)] || 1998 - 2012 || 복당 ||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2012 - 2016 || 당명 변경 || || [include(틀:무소속)] || 2016 - 2017 || 탈당[* 총선 공천 컷오프 불복에 따른 탈당] || || [include(틀:바른정당)] || 2017 || 창당 || || [include(틀:무소속)] || 2017 - 2020 || 탈당[* 당내 노선 갈등으로 인한 탈당] || || [include(틀:자유한국당)] || 2020 || 복당 || || [include(틀:미래통합당)] || 2020 || 합당[* [[새로운보수당]], [[미래를향한전진4.0]]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국민의힘)] || 2020 - 현재 || 당명 변경 ||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 2008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2> 경남 [[밀양시·창녕군|밀양·창녕]] || '''[include(틀:한나라당)]''' || '''32,781 (46.33%)''' ||<|2> '''당선 (1위)''' || '''초선''' || || 2012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42,041 (52.81%)''' || '''재선'''[* 2016.3.18 탈당[br](20대 총선 공천 컷오프에 반발한 무소속 출마)] || || 2016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2> 경남 [[밀양시·의령군·함안군·창녕군|밀양·의령·함안·창녕]] || [include(틀:무소속)] || 51,976 (38.72%) || 낙선 (2위) || || || 2020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include(틀:미래통합당)]''' || '''102,210 (68.00%)''' || '''당선 (1위)''' || '''3선''' || || {{{#ffffff '''역대 선거 벽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whgowls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whgowls2.jpg|width=100%]]}}} ||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000000,#e5e5e5 18대 총선}}}]] [[밀양시·창녕군|{{{#000000,#e5e5e5 (경남 밀양시·창녕군)}}}]]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000000,#e5e5e5 19대 총선}}}]] [[밀양시·창녕군|{{{#000000,#e5e5e5 (경남 밀양시·창녕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whgowls3.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whgowls4.jpg|width=100%]]}}} ||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000000,#e5e5e5 20대 총선}}}]] [[밀양시·의령군·함안군·창녕군|{{{#000000,#e5e5e5 (경남 밀양시·의령군·함안군·창녕군)}}}]]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000000,#e5e5e5 21대 총선}}}]] [[밀양시·의령군·함안군·창녕군|{{{#000000,#e5e5e5 (경남 밀양시·의령군·함안군·창녕군)}}}]][* 포스터 배경만 제외하고 사진만 그대로 붙였다.] || }}}}}} || == 둘러보기 == [include(틀:제18대 국회의원/경상남도)] [include(틀:제19대 국회의원/경상남도)] [include(틀:제21대 국회의원/경상남도)] [include(틀:제19대 국회의원/무소속)] [include(틀:제21대 국회의원/국민의힘)] [include(틀:국민의힘의 계파 분류)]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한나라당 국회의원]][[분류:새누리당 국회의원]][[분류:무소속 국회의원]][[분류:미래통합당 국회의원]][[분류:국민의힘 국회의원]][[분류:제18대 국회의원]][[분류:제19대 국회의원]][[분류:제21대 국회의원]][[분류:박근혜 정부/인사]][[분류:이명박 정부/인사]][[분류:밀양시 출신 인물]][[분류:1963년 출생]][[분류:대한민국의 장로회 신자]][[분류:밀양고등학교 출신]][[분류:서울대학교 출신]][[분류:국회의원 보좌관 출신 정치인]][[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창녕 조씨]][[분류:국민의힘 소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