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조지 1세의 공자비이자 이 인물의 어머니, rd1=첼레의 조피 도로테아, other2=파벨 1세의 황후, rd2=뷔르템베르크의 조피 도로테아)] ||<-2> '''프로이센 왕국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의 왕비[br]{{{+1 조피 도로테아}}}[br]Sophie Dorothea von Hannover''' || ||<-3>{{{#!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하노버의 조피 도로테아.jpg|width=100%]]}}} || || '''이름''' ||조피 도로테아[br](Sophie Dorothea)|| || '''출생''' ||[[1687년]] [[3월 16일]][br]칼렌베르크 공국 [[하노버]]|| || '''사망''' ||[[1757년]] [[6월 28일]] (향년 70세)[br][[베를린]] 몽비주 궁전|| || '''배우자'''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 ,,(1706년 결혼 / 1740년 사망),,|| || '''자녀''' ||프리드리히 루트비히, 빌헬미네, 프리드리히 빌헬름, [[프리드리히 대왕|프리드리히 2세]], 샤를로테, 프리데리케 루이제, 필리피네 샤를로테, 루트비히, 조피 도로테아, [[루이제 울리케|울리케]], 아우구스트 빌헬름, 안나 아말리, [[프리드리히 하인리히 루트비히|하인리히]], 아우구스트 페르디난트|| || '''아버지''' ||[[조지 1세]]|| || '''어머니''' ||[[첼레의 조피 도로테아]]|| || '''형제''' ||[[조지 2세]]|| [목차] [clearfix] == 개요 == [[프로이센 왕국]]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의 왕비이자 [[프리드리히 대왕]]의 어머니. [[조지 1세]]와 [[첼레의 조피 도로테아]]의 딸이다. == 생애 == === 어린 시절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Sophie_Dorothea,_Kurprinzessin_von_Hannover_(1666-1726)_und_ihre_Kinder_Georg_August_und_Sophie_Dorothea.jpg|width=100%]]}}} || || 어머니 [[첼레의 조피 도로테아]]와 오빠 [[조지 2세]]와 함께 || [[1687년]] [[3월 16일]] [[조지 1세|하노버의 게오르크]]와 [[첼레의 조피 도로테아]]의 1남 1녀 중 장녀로 태어났다. 위로는 3살 터울의 오빠 [[조지 2세|게오르크]]가 있었으나 사이는 별로 좋지 않았다고 한다. 1694년 부모님이 이혼하여 할머니 [[팔츠의 조피]] 밑에서 자랐다. === 왕세자비 === [[1706년]] [[11월 28일]] 고종사촌 [[프로이센 왕국|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프리드리히 빌헬름 왕세자]]와 결혼했다.[* 조피 도로테아의 아버지 [[조지 1세]]와 프리드리히 빌헬름의 어머니 [[하노버의 조피 샤를로테]]가 남매지간이다.] 두 사람은 어린 시절 종종 만난 적이 있었는데 조피 도로테아는 프리드리히 빌헬름을 별로 좋아하지 않았으나 프리드리히 빌헬름은 그녀에게 호감이 있었다고 한다. 하지만 조피 도로테아와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프리드리히 빌헬름]]은 성격이 너무나 달랐고 결혼 생활도 어려움에 직면했다. 조피 도로테아는 예술, 과학, 문학, 패션 등에 관심이 있었던 반면 프리드리히 빌헬름은 폭력적이었고 군대에 관심이 많았다. 프리드리히 빌헬름이 불륜을 하거나 애첩을 들인 것은 아니었으나, 프리드리히 빌헬름은 아내에게 자주 [[가정폭력|폭력]]을 일삼았고 그녀를 구타했기에 조피가 결혼한 지 1년만에 이혼을 고려할 정도로 두 사람의 관계는 좋지 않았다. 그러던 중 1707년 첫 아이이자 후계자인 프리드리히 루트비히가 태어났다. [[프로이센 왕국]]은 왕세손의 탄생에 기뻐했지만 프리드리히 루트비히는 생후 6개월만에 사망하고 말았다. 조피 도로테아는 불임 판정을 받기도 했으나 이후 몇 명의 자녀들을 더 낳았고, 1712년에 후계자 [[프리드리히 대왕|프리드리히]]를 출산했다. 두 사람 사이에서는 7남 7녀의 자녀들이 태어났다. === 왕비 === [[1713년]] 시아버지 [[프리드리히 1세(프로이센)|프리드리히 1세]]가 사망하고 남편이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로 즉위하여 조피 도로테아도 [[프로이센 왕국]]의 왕비가 되었다.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의 즉위 당시 프로이센은 [[스웨덴]]과 전쟁 중이었는데 조피 도로테아는 임신중인 몸인데도 불구하고 남편과 동행했다고 한다. 전쟁이 일어나는 동안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는 신하들에게 조피 도로테아와 항상 상의하고 그녀의 승인 없이는 어떠한 조치도 취하지 말라는 명령을 내리기도 했다. 조피 도로테아는 학문에 조예가 깊고 야망있는 여성이었으나 남편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는 순종적이지 않은 아내를 항상 못마땅하게 여겼다. 또 연극과 무용, 음악 등에 관심이 있었던 조피 도로테아를 경박하고 사치스럽다고 생각했다. 반대로 조피 도로테아는 남편이 관심있어 하는 군대에 대해서는 전혀 관심이 없었다. 또한 성격이 거칠고 난폭한 남편으로 인해 결혼 생활 내내 마음고생을 많이 했다. 자식들을 매우 아꼈는데 남편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에게 학대를 받았던 장남 [[프리드리히 대왕|프리드리히 왕세자]]와는 각별한 사이였다고 한다. 부자간의 갈등이 생기면 무조건 프리드리히 왕세자의 편을 들었으며, 이에 대해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는 자식들과의 관계를 나빠지게 한다며 조피 도로테아를 비난했다. 또 자신이 없을 때 조피 도로테아와 아이들이 만나게 하는 것을 금지했다. 결국 조피 도로테아는 몰래 아이들을 만나야 했으며,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가 예상치 못하게 조피 도로테아의 방에 들어왔을 때에는 아이들이 몰래 숨기도 했다. 조피 도로테아는 [[프로이센 왕국]]과 [[영국]]간의 동맹을 강화하기 위해 장남 [[프리드리히 대왕|프리드리히]]가 아멜리아 공주[* [[조지 2세]]의 차녀이다.]와 결혼하고 장녀 빌헬미네가 [[프레더릭 루이|프레더릭 왕세자]][* [[조지 2세]]의 장남이다. 훗날 [[조지 3세]]의 아버지.]와 결혼하길 바랐다. 하지만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의 반대로 무산되었고[* 이 과정에서 조피 도로테아와 딸 빌헬미네가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에게 구타당했다.], 프리드리히는 브라운슈바이크의 엘리자베트 크리스티네와, 빌헬미네는 브란덴부르크바이로이트의 프리드리히와 각각 결혼했다. 빌헬미네가 결혼한 이후에도 조피 도로테아는 자녀들을 영국 왕실로 시집보내는것을 포기하지 못했는데, 4녀 필리피네 샤를로테 공주, 6녀 [[루이제 울리케]] 공주를 프레더릭 왕세자에게 시집 보내려다 결국 실패했다. 필리피네 샤를로테 공주는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 공작 카를 1세와, 루이제 울리케 공주는 [[아돌프 프레드리크]]와 결혼했다. === 왕대비 === [[1740년]] [[5월 31일]], 남편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가 --드디어-- 사망하여 왕대비가 되었다. 장남 [[프리드리히 2세(프로이센)|프리드리히 2세]]는 조피 도로테아와 사이가 매우 좋아서 항상 어머니에게 감사와 존경을 표했으며, 아무도 그녀를 비난하지 못하게 했다. 며느리 엘리자베트 크리스티네와는 초반에는 사이가 좋지 않았으나, 시간이 흐를수록 관계가 개선되었다고 한다. 조피 도로테아는 사망할 때까지 아들의 효도를 받다가 1757년 6월 28일에 눈을 감았다. == 가족관계 == === 조상 === || 본인 || 부모 || 조부모 || 증조부모 || ||<|13> [[하노버]]의 조피 도로테아[br]{{{-2 (Sophia Dorothea of Hanover)}}} ||<|6> [[조지 1세]][br]{{{-2 (George I)}}} ||<|3> [[하노버 선제후국|하노버]] 선제후 에른스트 아우구스트[br]{{{-2 (Ernest Augustus, Elector of Hanover)}}} || || 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 공작 게오르크[br]{{{-2 (George, Duke of Brunswick-Lüneburg)}}} || || 헤센다름슈타트의 안나 엘레오노레[br]{{{-2 (Anne Eleonore of Hesse-Darmstadt)}}} || ||<|3> [[팔츠의 조피]][br]{{{-2 (Sophia, Princess Palatine of the Rhine)}}} || || [[프리드리히 5세|팔츠 선제후 프리드리히 5세]][br]{{{-2 (Frederick V, Elector Palatine)}}} || || [[엘리자베스 스튜어트]][* [[제임스 1세]]의 장녀이자 [[프레데리크 2세]]의 외손녀이다.][br]{{{-2 (Elizabeth Stuart)}}} || ||<|7> [[첼레의 조피 도로테아|첼레의 조피 도로테아 여공작]][br]{{{-2 (Duchess Sophia Dorothea of Celle)}}} || ||<|3> 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 공작 게오르크 빌헬름[br]{{{-2 (George William, Duke of Brunswick-Lüneburg)}}} || || 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 공작 게오르크[br]{{{-2 (George, Duke of Brunswick-Lüneburg)}}} || || 헤센다름슈타트의 안나 엘레오노레[br]{{{-2 (Anne Eleonore of Hesse-Darmstadt)}}} || ||<|3> 엘레오노르 드미에 돌브뢰즈[br]{{{-2 (Éléonore Desmier d'Olbreuse)}}} || || 알렉상드르 2세 드미에[br]{{{-2 (Alexandre II Desmier, Seigneur d'Olbreuse)}}} || || 자케트 푸사르 드 벤드레[br]{{{-2 (Jacquette Poussard de Vendré)}}} || === 자녀 === || '''자녀''' || '''이름''' || '''출생''' || '''사망''' || '''배우자 / 자녀''' || || '''1남''' || 프리드리히 루트비히 왕자[br]{{{-2 (Prince Frederick Louis)}}} || [[1707년]] [[11월 23일]] || [[1708년]] [[5월 13일]] || || || '''1녀''' || 브란덴부르크바이로이트 변경백비 빌헬미네[br]{{{-2 (Wilhelmine, Margravine of Brandenburg-Bayreuth)}}} || [[1709년]] [[7월 3일]] || [[1758년]] [[10월 14일]] || 브란덴부르크바이로이트 변경백 프리드리히[br]슬하 1녀 || || '''2남''' || 프리드리히 빌헬름 왕자[br]{{{-2 (Prince Frederick William)}}} || [[1710년]] [[8월 16일]] || [[1711년]] [[7월 21일]] || || || '''3남''' || [[프리드리히 대왕|프리드리히 2세]][br]{{{-2 (Frederick II)}}} || [[1712년]] [[1월 24일]] || [[1786년]] [[8월 17일]] ||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베페른의 엘리자베트 크리스티네 || || '''2녀''' || 샤를로테 공주[br]{{{-2 (Princess Charlotte)}}} || [[1713년]] [[5월 5일]] || [[1714년]] [[6월 10일]] || || || '''3녀''' || 브란덴부르크안스바흐 변경백비 프리데리케 루이제[br]{{{-2 (Frederica Louise, Margravine of Brandenburg-Ansbach)}}} || [[1714년]] [[8월 29일]] || [[1784년]] [[2월 4일]] || 브란덴부르크안스바흐 변경백 카를 빌헬름 프리드리히[br]슬하 2남 || || '''4녀''' ||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 공작부인 필리피네 샤를로테[br]{{{-2 (Philippine Charlotte, Duchess of Brunswick-Wolfenbüttel)}}} || [[1716년]] [[3월 13일]] || [[1801년]] [[2월 17일]] ||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 공작 카를 1세[br]슬하 7남 6녀[* [[카를 빌헬름 페르디난트|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 공작 카를 2세]], [[엘리자베트 크리스티네|프로이센의 왕세자비 엘리자베트 크리스티네]] 등] || || '''4남''' || 루트비히 왕자[br]{{{-2 (Prince Louis)}}} || [[1717년]] [[5월 2일]] || [[1719년]] [[8월 31일]] || || || '''5녀''' || 브란덴부르크슈베트 변경백비 조피 도로테아[br]{{{-2 (Sophia Dorothea, Margravine of Brandenburg-Schwedt)}}} || [[1719년]] [[1월 25일]] || [[1765년]] [[11월 13일]] || 브란덴부르크슈베트 변경백 프리드리히 빌헬름[br]슬하 2남 3녀 || || '''6녀''' || [[루이제 울리케|스웨덴 왕비 로비사 울리카]][br]{{{-2 (Louisa Ulrika, Queen of Sweden)}}} || [[1720년]] [[7월 24일]] || [[1782년]] [[7월 16일]] || [[아돌프 프레드리크]][br]슬하 3남 1녀[* [[구스타브 3세]], [[칼 13세]] 등] || || '''5남''' || 아우구스트 빌헬름 왕자[br]{{{-2 (Prince Augustus William)}}} || [[1722년]] [[8월 9일]] || [[1758년]] [[6월 12일]] ||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의 루이제[br]슬하 3남 1녀[* [[프리드리히 빌헬름 2세]] 등] || || '''7녀''' || 안나 아말리 공주[br]{{{-2 (Princess Anna Amalia)}}} || [[1723년]] [[11월 9일]] || [[1787년]] [[3월 30일]] || || || '''6남''' || [[프리드리히 하인리히 루트비히|하인리히 왕자]][br]{{{-2 (Prince Henry)}}} || [[1726년]] [[1월 18일]] || [[1802년]] [[8월 3일]] || 헤센카셀의 빌헬미네 공녀 || || '''7남''' || 아우구스트 페르디난트 왕자[br]{{{-2 (Prince Augustus Ferdinand)}}} || [[1730년]] [[5월 23일]] || [[1813년]] [[5월 2일]] || 브란덴부르크슈베트의 엘리자베트 루이제[*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의 외손녀이다.][br]슬하 5남 2녀 || == 여담 == * [[조지 1세]]의 장녀로 [[프린세스 로열]] 작위를 받을 자격을 갖추었으나, 아버지가 [[영국]]의 국왕이 되기 전에 [[프로이센 왕국]]의 [[왕비]]가 되어 받지 않았다. [[분류:1687년 출생]][[분류:1757년 사망]][[분류:영국의 공주]][[분류:프로이센 왕비]][[분류:하노버 가문]][[분류:호엔촐레른 가문]][[분류:하노버 출신 인물]][[분류:베를린 대성당 안장자]][[분류:왕대비]][[분류:프로이센의 왕세자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