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조표(삼국지))] [목차] == 개요 == [[삼국지(정사)|정사]]와 [[삼국지연의|연의]]를 제외한 다른 창작물에 등장하는 [[조표(삼국지)|조표]]를 정리한 문서. == 게임 == === [[코에이]] [[삼국지 시리즈]] === || [[파일:Cao_Bao_2_%281MROTK%29.webp]] || [[파일:external/kongming.net/054-Cao-Bao.jpg]] || || 100만인의 삼국지 || 삼국지 11 || ||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483.jpg|width=400]] || || 삼국지 12, 13, 14 || 배신의 행위에 괘씸죄가 적용된 듯 대대로 처참한 능력치를 달고 나와 [[삼국지 1]]부터 [[삼국지 6]]까지 '''능력치 총합 최하위권'''을 달린다. [[삼국지 2]]에서는 문관형 포트레이트에 특이하게도 '''지력 13/무력 19/매력 15'''로 유일하게 '''모든 능력치가 10대'''를 기록하고 있어 일부 계층에서 '''컬트한 인기'''가 있었다. 그런 면에서는 '''[[백하팔인]] 기믹의 시초급.''' 어느 정도냐면, 조표를 등용하러 가는데 [[동탁(삼국지 시리즈)|동탁]]조차 조표 등용하러 간다는 것에는 '''무조건 통과'''시켜준다. 동맹국 이외의 야망이 높은 [[제후]]인 동탁, [[원술(삼국지 시리즈)|원술]], [[원소(삼국지 시리즈)|원소]] 같은 [[군웅]]들은 사신 체포에만 혈안이 되어 있어 거의 목숨 걸고 달려야 하는데, '''조표 등용한다고 하면 아무도 안 막는다.''' 그리고 조표를 [[군주]]로 삼으면 휘하 장수들의 충성 관리가 전혀 안 돼 그 해 안에 모든 장수들이 떠나서 조표 홀로 남는 처참한 진풍경까지 연출된다. 당연하지만 조표를 군주로 삼았다가 전투에서 패하고 적에게 잡혀버리면 [[참수|당연히...]] 사실 연의 내에서는 다른 사람도 아니고 [[삼국지]] 작중 용장으로 설정된 '''[[하후돈(삼국지 시리즈)|하후돈]]'''과도 [[일기토]]를 뜬 전력도 있는 인물이고[* 중간에 싸움을 멈추고 물러났다. 끝까지 싸웠으면 끔살당했을 확률이 높지만 어찌되었든 하후돈과 맞장을 떠 살아남은 것만으로 어느 정도의 수준급 무력은 입증한 셈이다.] 『[[정사 삼국지|정사]]』에는 도겸군의 상장으로 기록된 인물인데 10대의 무력은 너무나 저평가된 느낌이 있었다. 그 때문인지 3부터는 '''무력만은''' 대폭 상향되기 시작해서 2000년대 이후의 시리즈에서는 무력 6~70대까지 찍고 있다. 다른 능력치도 상당히 상향되어(그래봤자 낮지만) '''오히려 눈에 띄지 않는 장수가 되어버렸다'''. [[https://youtu.be/a_m3DrlNGgQ|삼국지2 에서 일기토를 계속 시켜서 조표의 무력치를 여포급으로 상승시키는 도전 플레이 영상]] [[삼국지 3]]에서 무력이 52로 대폭 상승했지만 나머지 능력치는 전작과 비슷하다. [[장개]]와 더불어 작적이 잘 걸리는 배신쟁이로 나온다. 구호탄랑을 발동시키면 열에 아홉은 통한다. 한바탕 깽판 지기고 튀는데 태수가 병력이 많은 상급에서는 큰 위력은 없고, 초급에 태수와 병력이 엇 비슷하면 가끔 구호탄랑이 걸려서 독립에 성공하는 경우도 있다. 도겸군에 무관이래봐야 [[차주(삼국지)|차주]], 장개, 조표 등 배신 잘 땡기는 [[무관]]들이다. [[삼국지 8]]에서의 능력치는 무력 69/지력 36/정치력 28/매력 28. 특기는 꼴랑 도발만 있고, 전법은 LV 1 난격, LV 2 기습을 보유하고 있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1/무력 73/지력 35/정치력 28. 병법도 돌파 하나 있는 쓰레기지만, 이래 봬도 도겸군에서는 무력 원탑이고 통솔력, 지력까지 고려해도 도겸군 무관 중에서 [[장패]]에 이은 2인자다. [[삼국지 10]]에서는 주량이 '소량'으로 설정되어 있다. 웬만한 찌질이 무장들은 일도 못하는 주제에 술만 많이 먹는다는 의미인지 거의 주량이 대량인데, 조표는 장비와의 일 때문에 주량이 소량으로 설정된 것. 능력치는 통솔력 55/무력 70/지력 34/정치력 23/매력 26에 특기가 4개나 돼서(치안, 훈련, 반목, 반격) 초반의 삼국지 시리즈에서의 홀대에 비하면 괄목할 만한 발전을 했지만, 무력 의존 특기는 일기토 특기 1개고 나머지 능력치가 워낙 구린지라 특기는 있으나 마나.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54/무력 69/지력 32/정치력 21/매력 26으로, 무력이 다시 70 미만으로 떨어졌다. 특기는 당연히 없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장비가 술을 권유하자 못 마신다고 왼손을 가로저으며 거절하는 모습으로 나온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전작과 똑같으며 특기는 연전 1 단 하나. 전수특기도 당연히 연전이며 전법은 기동약화.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55, 무력 69, 지력 32, 정치 21, 매력 26으로 통솔력이 전작에 비해 1 상승했다. 개성은 절감, 소심, 동요, PK에서는 경망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명리, 정책은 정령철저 Lv 2, 진형은 어린, 방원, 전법은 제사, 매성, 친애무장은 없으며 혐오무장은 [[장비(삼국지 시리즈)|장비]]다. === [[진삼국무쌍]] === [[PSP]]판 2nd Evolution에서 부장으로 출현하였는데, 통솔 요구치가 가장 낮은 1 무장으로 출현하지만 '''절륜한 성능비'''로 쓸만한, 아니 거의 [[필수요소]]급 부장으로 자리매김하였다. 그만큼 다른 1 무장들과 달리 키우는데 꽤 공을 들여야하며, 레벨 9까지는 아무런 능력치도 없어 뻥카드가 아닌가 의심스럽지만 레벨 10 만렙을 찍는 순간 대갈+[* 한 에이리어의 사기치를 2나 깎는다. 빠르고 효율적인 플레이를 위해 필수적이다.]와 난무강화[* 무쌍난무를 쓸 때 무조건 진 무쌍난무가 나가도록 한다.원래 진 무쌍난무는 적한테 얻어맞고 체력바가 빨간색이 되었을때 무쌍난무를 발동시킬때만 볼 수 있다.]가 붙어 나온다. 여기서만큼은 조표의 존재감은 꽤나 크다. == 만화 == === [[요코야마 미츠테루 삼국지]] === [[파일:전략조표.jpg]] 기타 매체의 이미지와는 달리 [[문관]]으로 나온다. 사망 당시의 관직은 상(相)이었으므로 사실 이쪽도 별로 틀리진 않다. 행적은 연의랑 동일하지만 여포가 '''조표라는 놈'''이라며 전혀 모르는 사람 취급해서 [[인척]] 관계는 반영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아니면 여포가 자기 장인한테도 함부로 대하는 막장 인성이라던가. === [[삼국전투기]] === 단행본에서는 베르세르크의 [[감비노]]를 패러디한 캐릭터라고 밝혔지만 어째 생긴 것은 [[코르커스]]와 더 유사하다. 우이 전투 편에서 처음 등장하며 우이 전투 (5)편의 타이틀 컷을 차지했다. 우이 전투 (7)편부터 본격적으로 등장한다. 서주의 [[하이에나]]라고 자칭하며 호기롭게 장비에게 덤비며 반란을 일으켰지만 일합에 그대로 사망한 것으로 묘사된다. [[고인드립|안줏거리도 안 됐고 반란도 제대로 된 녀석이 해야 반란 같다는 장비의 악평은 덤.]] === [[삼국지톡]] === [[파일:조표(삼국지톡).png|width=400]] 도겸이 서주를 유비에게 넘기려고 하자 찬물을 끼얹으며 등장. [[퍼거스(마비노기)|손이 미끄러졌다며]] 유비에게 술을 부어버리고 유비를 두고 은혜도 모르고 서주를 탐한다, 병사도 돈도 없는 주제에 서주를 어떻게 지킬 거냐고 따진다. 그러나 속으로 '서주를 넘기려면 나한테나 주지' 따위의 생각을 한 것으로 보아, 저건 다 핑계고 실상은 그냥 자기가 서주를 탐냈는데 유비 손에 넘어가게 생겨서 열폭한 것. 칼을 들고 유비를 죽이려 하지만 미축의 경호원들에게 저지된다. 이후 유비가 정식으로 서주목 인계를 받으면서 할 수 없이 유비 밑으로 들어가 하비상으로 일하게 되나, 일전 유비를 죽이려 한 사건 이후에도 뒤에서 여포가 지도자가 되었어야 했다고 뒷담화를 깐 것이 들통나면서 [[관도대전]] 5화에서 술취한 장비에게 목졸려 죽고 만다. === [[화봉요원]] === [[진궁]]의 설득으로 [[도겸(삼국지)|도겸]]이 죽고 난 뒤에 서주를 여포에게 넘기려고 했으나 [[미축]]이 선수쳐서 도겸이 [[유비]]에게 서주를 넘기기로 했다고 발표하면서 실패했다. 서주가 유비에게 넘어간 이후로도 여포와 커넥션을 이어가며 첩자 역할을 한다. 결국 서주가 여포에게 넘어가지만 정작 조표는 난리통에 쥐도 새도 모르게 잔병에게 살해당한다. [[파일:The Ravages of Time_ game_Hero in War Cao Yuan.png|width=200]] 그의 딸인 조원(조씨 여자, 曺媛)은 여포와의 정치적인 동맹을 맺기 위해 여포에게 시집보냈고, 의붓딸인 소동서를 원술의 세력에 결혼보내려고 할 때 괴로워했으며, 여포의 딸이라면 겁먹으면 안된다는 말을 하면서 슬퍼한다. 여포는 소동서를 통해 조원이 임신했다는 사실을 들었고, 여포가 망한 후에는 어떻게 되었는지 알 수 없다. === [[창천항로]] === '''조연 오브 조연'''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잠깐 등장했다가 바로 장비에게 죽는데, '''장비가 멱살을 잡았는데 너무 세게 잡아서 죽었다.'''(...) 그리고 [[진궁]]이 이걸 구실로 장비를 죄인으로 몰아붙여 장비는 도망치고 여포측에게 서주를 빼았긴다. 한마디로 배신이고 여포와 내통이고 뭐고 없이 그냥 장비가 너무 힘이 세서 재수없이 죽었을 뿐이다. [[서영(삼국지)|서영]]도 허무하게 죽기는 했지만 그래도 눈부신 활약은 하고 죽었는데 조표는 그런 것도 없다. 그의 딸도 나오는데 이름은 [[조원]]. 연의대로 여포에게 시집가 있다. === [[카츠마타 토모하루 삼국지]] === 연의의 여포의 인척 설정은 없고 정사에 충실하게 도겸의 구장 출신으로 나온다. 술먹고 난동부리는 장비에게 채찍질을 당하게 되자 소패성의 여포를 선동하여 장비를 치게 한다. 원작에서는 여포가 단순히 장비를 혼내주려 한 것이었는데 여기에 진궁이 아예 서주성을 먹으라고 부추겨 여포가 서주 전체를 장악하게 된다. 여기에 조표는 복수를 하겠다고 장비를 쫓아가지만 술에 취한 장비에게도 상대가 되지 않아 목숨을 잃는다. [[검열삭제|더빙판에서는 조표의 죽음이 편집되었다.]] == 영상 매체 == === [[삼국(드라마)|삼국]] === [[파일:조표(삼국).jpg]] 배우는 조흠. 한국 더빙판 성우는 백승철. 15회에 등장하는데, 연의와 거의 같지만 배우 생김새대로 여포의 장인이 아닌 [[사촌]] 동생으로 나온다. 여포의 부인은 [[초선]]밖에 등장하지 않기 때문에 설정을 바꾼 것으로 보인다. == 기타 == === [[같은 꿈을 꾸다]] in 삼국지 === [[조조]], 유비, [[원소(삼국지)|원소]]가 연합해 [[원술]]을 공격한다. 이때 조가의 힘을 줄이고 하비를 온전히 손에 넣기 위해 유비가 조표의 사병에 해당하는 단양병을 병사로 소집하는데, 진궁이 이를 이용해 전투 도중에 조표와 단양병과 내통하도록 만들고 조표는 [[허탐]]을 설득해 전투 도중에 유비를 사로잡도록 만든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조표(삼국지), version=213, paragraph=4)] [[분류:인물별 창작물/삼국시대(중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