曹操三笑 [[삼국지]] 관련 고사. [[조조]]가 세 번 웃는다는 것으로 자신만만하여 남을 비웃거나 곧 닥쳐올 재앙을 모르고 까분다는 뜻이다. 조조가 수많은 군사들을 이끌고 손권•유비 연합군을 공격했지만 적벽에서 대패하여 약간의 군사만 살아남아 도주할 때의 일을 말한다. 연의나 정사 모두 나온 그 [[화용도]] 도주에서 나왔다고 하면 알 것이다. 조조가 처음에 병사들에게 지역을 물어보면서 지형을 살펴보면서 이 곳에 매복을 하지 않아서 [[주유]]는 꾀, [[제갈량]]은 슬기가 부족하다면서 그들을 비웃다가 갑자기 [[조운]]이 이끄는 군사들의 공격을 받아 약간의 군사들을 잃고 도망쳤다. 이어서 같은 이유로 비웃다가 [[장비]]가 이끄는 군사들의 공격을 받고 도망치다가 또다시 같은 이유로 비웃다가 [[관우]]의 군사들의 공격을 받을 뻔 했지만 관우가 지난 날의 조조에게 입은 은혜를 생각해서 보내주었기 때문에 목숨만 부지하고 달아났다. 재능이 좋은 사람 중에 남을 깔보고 비웃기 때문에 자신을 과대평가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 때문에 남이 자신보다 더 하거나 자신만큼 할 수 있다는 것을 생각하면서 겸손해야 한다는 보여주는 이야기이며 역사적으로 볼 때 실제로 일어난 사건은 아니다. 실제 역사상에선 조조가 화용도를 빠져 나가며 "유비는 내 맞수이나 계책을 쓰는게 늦구나"하며 비웃었다고 한다. 물론 어느 기록을 보든 당시 조조는 패배해서 후퇴하던중임은 다르지 않지만. 전자는 조조를 대놓고 깠고 후자는 대패해놓고 'ㅎㅎ 계책 늦네 ㅋㅋㅋ'하고 비웃은거다. 콕 찝어서 유비를 언급하며 계책을 늦게 쓴다고 말한 것 자체가 따지고보면 유비가 제발 그러지 말기를 간절하게 빈 것이 통하자 안도한 것이다. 당연하지만 군주가 퇴각하는 상황이라면 후방 부대가 조조를 엄호했을거고, 아직 적벽에서의 전투도 제대로 마무리되지 않은 상황에 유비가 조조한테 달려와서 불 지르면서 막아세울 여유가 있었을까? 그냥 도주하면서 자존심 지키려고 한 말일 것이다. 이 무렵까지 조조는 유비를 자기와 겨룰만한 상대로 인정은 해주지만 한 수 아래로 깔보고 있었다. 이런 생각은 둘의 마지막 대결 [[한중 공방전]]에서 [[하후연]]이 전사하며 전세가 유비에게 기울자 "법정이 계책을 짜냈지 유비 그놈이 그런 계책을 짜냈을 리 없다."라고 외치던 말기까지도 변치 않았다.[* 이에 대해 [[배송지]]는 막상 유비에게 지고나니까 열받고해서 내뱉은 [[정신승리]]성 발언으로 해석했다.] 그니까 '''허세''' 중국 드라마 [[삼국연의(1994)|삼국연의]]에서도 충실하게 재현했다. 한바탕 호기롭게 웃다가 유비 진영의 장수들이 툭 튀어나오니 겁먹어서 도망치는 조조의 행동이 일품. [[분류:고사성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