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조순형)]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 {{{#ffffff '''{{{+1 조인원}}}[br]趙仁元'''}}}}}} || || '''자''' ||성탁(聖鐸) || || '''본관''' ||[[한양 조씨]][* 절효공파-파서공파 23세 '''원(元)''' 항렬. 족보명은 조택원(趙宅元).] || ||<|2> '''출생''' ||[[1864년]] [[5월 2일]] || ||[[충청도]] [[천안시|목천현]] 이동면 용두리[br](現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병천면]] 용두리[* 독립유공자 [[유관순]]도 이 마을 출신이다.] 327번지) || || '''사망''' ||[[1931년]] [[7월 25일]][* 한양조씨대보 15권 절효공 파서공파 663쪽에는 2월 11일에 별세한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향년 67세) || || '''부모''' ||[[아버지]] 조재형, [[어머니]] 선산 곽씨 || || '''형제자매''' ||형 조종원(趙宗元), 조재원(趙宰元)[br]동생 조대원(趙大元) || || '''배우자''' ||[[남양 홍씨]][* 홍원섭(洪源燮)의 딸이다.] || || '''자녀''' ||아들 [[조병옥]], 조병호(趙炳鎬)[* 둘째 형 조재원(趙宰元)에 입양보냈다.] || || '''상훈''' ||건국훈장 애족장 추서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받았다. 독립유공자로서 내무부 장관을 지낸 [[조병옥]]은 그의 장남이며, 조병호는 차남이다. == 생애 == 1864년 5월 2일 충청도 목천현 이원동면 용두리(現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병천면 용두리 지령마을)에서 아버지 조재형(趙載衡)과 어머니 [[곽(성씨)|선산 곽씨]](善山 郭氏) 사이의 네 아들 중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1919년 4월 1일(음력 3월 1일)''' 홍일선(洪鎰善)·[[김교선]]·한동규(韓東奎)·[[http://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mngNo=192|이백하]](李柏夏)·[[이순구#s-2|이순구]]·'''[[유관순]]''' 등과 함께 갈전면(현 [[병천면]]) 아우내 장날을 이용하여 독립만세시위운동을 사전에 계획, 실행에 옮겼다. 사실상 '''3.1 천안 아우내 독립만세운동의 선봉장이자 지휘자'''. 그는 4월 1일 오후 1시경 아우내 장터로 모여든 3천여명의 시위군중 앞에 나아가 태극기와 '대한독립'이라고 쓴 큰 깃발을 세워놓고, 독립선언서를 낭독한 후 대한독립만세를 힘차게 선창함으로써 아우내 장터의 독립만세시위를 점화시켰으며, 3천여명의 군중들은 대한독립만세를 절규하며 장터안을 행진하다가 여세를 몰아 헌병주재소까지 접근하게 되었다. 이 기세에 놀란 일본 군경들이 야만적으로 기총을 난사하고, 또 천안에서 불러들인 일본 헌병과 수비대까지도 포악무도하게 총검을 휘둘러, 유관순의 아버지 [[유중권]] 등 19명이 현장에서 순국하고 30여명이 부상당했다. 이날 오후 4시경 사망자의 가족과 시위군중이 일본 군경의 흉탄에 맞아 순국한 시체를 헌병주재소로 옮겨놓고 강력하게 항의할 무렵 그는 차남 [[http://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mngNo=8614|조병호]](趙炳鎬), 유중권의 동생 [[유중무]]·유관순 등과 헌병주재소로 달려가 웃옷을 벗어 제치고, 주재소장과 헌병들에게 강력히 항의하다가 체포되었다. 결국 그해 5월 9일 공주지방법원에서 이른 바 보안법 위반 및 소요 혐의로 징역 5년형을 [[http://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165118&evntId=&evntdowngbn=N&indpnId=0000134442&actionType=det&flag=4&search_region=|선고받아]] 이에 공소하였으며, 6월 30일 경성복심법원에서 이른 바 보안법 위반 및 소요 혐의에 대해 원심 판결이 취소되고 다소 감형된 징역 3년형을 [[http://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352062&evntId=0034971418&evntdowngbn=Y&indpnId=0000003831&actionType=det&flag=1&search_region=|선고받았다]]. 이에 그는 상고하였으나 9월 11일 고등법원 형사부에서 [[http://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351861&evntId=0034981290&evntdowngbn=Y&indpnId=0000012988&actionType=det&flag=1&search_region=|상고가 기각되고]] 징역 3년형이 확정되어 옥고를 치렀다. 출옥 후 옥고의 여독으로 고통받다가 1931년 7월 25일 별세하였다. 1968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독립운동 공적을 인정받아 대통령표창이 추서되었으며,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되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조인원, version=7, paragraph=1)]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동남구 출신 인물]][[분류:한양 조씨]][[분류:1864년 출생]][[분류:1931년 사망]][[분류:조병옥 가문]][[분류:건국훈장 애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