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사회과학 교수]] [[분류:서울대학교 출신]][[분류:프린스턴 대학교 출신]][[분류:서울대학교 재직]][[분류:일리노이 대학교 재직]][[분류:한양대학교 재직]][[분류:에모리 대학교 재직]][[분류:한국의 경제학자]][[분류:상경계 교수]] ||<-2> [[파일:조인구.jpg|type=w240]] || || '''이름''' ||조인구|| || '''직업''' ||[[에모리 대학교]] 경제학부 교수[[https://economics.emory.edu/people/faculty/biography/cho-in-koo.html|#]]|| || '''출생''' || 1958년 || || '''학력'''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학사 및 석사[br]미국 [[프린스턴 대학교]] 박사 || || '''약력''' ||전) [[서울대학교]] 경제학부 교수[br]전) [[일리노이 대학교]] 교수[br]전 한양대학교 교수 || [목차] == 개요 == 대한민국의 [[게임이론]] 학자이다. == 상세 == 서울대학교 경제학부를 졸업하고 유학을 가서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박사를 땄다. 이후 서울대학교에 부임했으나[* 당시 [[장하준]] 교수도 서울대학교에 임용신청을 했으나 떨어졌다고 한다] 1년 만에 [[일리노이 대학교 어배너-섐페인]]로 옮겼다고 한다. 당시 연구환경이 열악해서였다는 이유였고 이는 경제학계에 큰 충격을 주었다. 그 뒤 [[한양대학교]] 석좌교수로 있다가 [[에모리 대학교]]로 직을 옮겼다. == 학문적 업적 == 게임이론에서 'Cho and Kreps criterion'으로 유명하며, 2002년에는 한국 경제학자 중 최초로 국제계량경제학회 펠로우로 선정되었다.[[https://wlib.yonsei.ac.kr/search/media/abs/CAT000000079241|#]] 경제학의 논문 실적은 탑저널인 'Econometrica'와 'American Economic Review'에 등재된 논문이 있는지 여부로 판단하여야 하는데 해당 탑저널 논문실적은 물론이고 게임이론 교과서에도 등재될만한 이론을 창시한 업적이 있다. 이 때문에 [[노벨경제학상]]을 받을 최초의 한국인 학자로 거론되고 있다.[[https://www.yna.co.kr/view/AKR20130809186400004|#]] == 저서 == * 게임이론([[왕규호]] 공저) : 직관적인 설명도 있지만 철저하게 수리적인 접근을 취하고 있어 난이도가 높다.수리적인 기초를 탄탄히 다지고 공부할 것. 연습문제의 퀄리티가 좋고 양도 많으나 어렵다. 박영사 홈페이지에 연습문제 해설이 일부 공개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