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 학술원 회원)] ||<-2> '''{{{#fff {{{+1 조윤제}}}[br]趙潤濟 }}}'''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2021112501000806400031992.jpg|width=100%]]}}} || || '''호''' ||도남(陶南)|| || '''본관''' ||함안|| ||<|2> '''출생''' ||[[1904년]]|| ||[[경상북도]] [[예천군]] 지보면 지보리|| ||<|2> '''사망''' ||[[1976년]] 4월 10일|| ||[[서울특별시]]|| || '''학력''' ||[[대구고등보통학교]][br][[구제고등학교|경성제국대학 예과]] {{{-2 ([[문과]] / [[수료]])}}}[br][[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2 ([[국어국문학과|조선어문학전공]] / 학사)}}}|| [목차] [clearfix] == 개요 == 제1세대 한국인 국문학자(國文學者)로 호는 도남(陶南). [[경성제국대학]]에 입학하여 최초로 조선어문학을 전공한 학생이며, 조선어문학회·진단학회 결성을 주도한 바 있으며, 조선문학을 학문으로 인식한 최초의 학자이다. 해방 후 모교 [[경성대학]]의 법문학부장에 취임하여 [[국대안|국립서울대학교로 개편]]하는 기틀을 닦았으며 이후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학장 등을 역임했다. 저서에 《한국시가의 연구》 등이 있고, 편저에는 《한글 큰 사전》이 있다. == 생애 == 1904년 [[경상북도]] [[예천군]] 지보면 지보리의 [[함안 조씨]] 집안에서 부친 조용범(趙鏞範)과 모친 청주한씨(淸州韓氏) 사이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조윤제는 생육신 조려(趙旅)의 16세손으로서 어려서 한학을 수학했으며, 퇴계 이황을 지극히 존경해 도산서원의 남녘에서 태어났다는 뜻에서 호를 도남(陶南)으로 짓기까지 했다. 고향 예천에서 보통학교를 마치고 [[대구고등보통학교]]에 유학하였다. 1924년 [[구제고등학교|경성제국대학 예과]]가 세워지자 제1회(문과)로 입학했다. 1926년 [[대학예과|예과]]를 수료하고 법문학부로 진학하면서 최초로 문학과 [[국어국문학과|조선어문학전공]]을 택한 학생이 되어 [[오구라 신페이]], [[다카하시 토오루]] 교수에게 사사했고 학사논문 "朝鮮小說의 研究"를 제출하고 1929년 3월 졸업하며 문학사를 수여받았다. 학부 졸업 후 대학원에서 연구하며 법문학부 조선어문학연구실에서 1929년부터 1930년까지 촉탁으로, 1930년부터 1932년까지 [[다카하시 토오루]] 교수의 조수를 지냈다. 그러던 중 1931년에는 경성제대 법문학부 동창인 [[이희승]]·[[김태준(1905)|김태준]]·김재철 등과 함께 조선어문학회를 결성하고 최초의 국문학 전공학술지인 <조선어문학보>와 ‘총서’ 편찬을 주도했다. 1932년 조수생활을 마치고 1932년 3월 [[서울대학교 사범대학|경성사범학교]] 교유(敎諭)[* 일제강점기에 중등학교의 교원을 일컫는 명칭.]로 임명되어 4월부터 그의 첫 저서가 된 '조선시가사강(朝鮮詩歌史綱)'을 집필하기 시작했다. 1934년 5월 한국의 역사·언어·문학을 연구하는 진단학회 창립을 주도하고 기관지 <진단학보> 를 펴냈다. 1937년 '조선시가사강'을 저술해 국문학역사상 개척적인 업적을 세웠다. 1939년 3월 경성사범학교를 사임하고 자유의 몸으로 당시 보성전문학교(현 고려대학교) 도서관장이던 손진태(孫晉泰)와 대학 후배인 이인영(李仁榮)과 모여 학문 연구방법론을 토론하며 민족사관의 입장을 밝혔다. 이후 경신학교·양정중학교·동성상업학교·천주교신학교 등의 강사를 지냈다. 1945년 8월 광복 직후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동기인 [[유진오]](법과)와 함께 경성대학 법문학부 재건 책임을 지고 동 대학의 법문학부장을 맡았으며, [[국대안]]으로 개편된 국립[[서울대학교]]에서 대학원 부원장, 문리과대학 학장을 지냈다. 이후 [[성균관대학교]] 대학원장 및 부총장을 역임한 뒤 청구대학·[[영남대학교]] 교수를 역임하다가 71세가 된 1974년 2월 영남대학교에서 정년퇴임했다. 저서로는 일제하에서 자비로 출간한 '조선시가사강'(1937)을 필두로 '교주 춘향전 校註春香傳'(1939)·'조선시가(朝鮮詩歌)의 연구'(1948)·'국문학사 國文學史'(1949)·'국문학개설 國文學槪說'(1955)·'한국문학사 韓國文學史'(1963) 등 20여 권에 이른다. 논문으로는 1929년 2월 '동아일보'에 발표한 '조선문학과 한문학과의 관계'를 시작으로 50여 편, 수필·잡문 등은 거의 100편에 이른다. [[분류:1904년 출생]][[분류:예천군 출신 인물]][[분류:경성제국대학 출신]][[분류:서울대학교 출신/전신 학교/인문대학]][[분류:1976년 사망]][[분류:함안 조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