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송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e8b57 0%, #2e8b57 20%, #2e8b57 80%, #2e8b57)" {{{#ece5b6 '''조원엄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송태종의 아들들)] ---- [include(틀:송태종 황실)] ---- }}} || ---- ||<-2> {{{#ece5b6 '''{{{+1 대송의 황족[br]주공숙왕(周恭肅王)[br]{{{+1 趙元儼 | 조원엄}}}}}}'''}}} || || '''[[시호|{{{#fff 시호}}}]]''' ||공숙(恭肅) || || '''[[작위|{{{#fff 작위}}}]]''' ||주왕(周王)^^추봉^^ || || '''{{{#fff 성}}}''' ||조(趙) || || '''{{{#fff 이름}}}''' ||원엄(元儼) || || '''{{{#fff 생몰}}}''' ||985년 ~ 1044년 || ||<^|1><-2><:>{{{#!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fff 부황}}}''' ||[[태종(송)|태종(太宗) 조광의(趙光義)]] || || '''{{{#fff 모후}}}''' ||덕비(德妃) 왕씨(王氏) || || '''{{{#fff 형제}}}''' ||한공헌왕(漢恭憲王) [[조원좌]](趙元佐)[br]소성태자(昭成太子) [[조원희(송)|조원희]](趙元僖)[br][[진종(송)|진종]](眞宗) 조항(趙恒)[br]상공정왕(商恭靖王) [[조원분]](趙元份)[br]월문혜왕(越文惠王) [[조원걸]](趙元傑)[br]진공의왕(鎭恭懿王) [[조원악]](趙元偓)[br]초공혜왕(楚恭惠王) [[조원칭]](趙元偁)[br]숭왕(崇王) [[조원억]](趙元億)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 [[북송]]시대의 황족으로 제2대 황제인 [[태종(송)|태종]] 조광의의 8남이다. 흔히 [[팔현왕]]이라는 별칭으로 더 잘 알려져 있다. == 생애 == 조원엄은 985년에 태종과 덕비 왕씨 사이에서 8남으로 태어났다. 태종은 조원엄을 특별히 아껴서 조원엄이 20살이 될 때까지는 책봉시키지 않았다.[* 왕작에 책봉되면 황궁에서 나가서 따로 살아야했기 때문에, 태종은 조원엄을 책봉하지 않고 곁에서 길러던 것이다.] 이 때문에 궁중에서는 조원엄을 28태보(二十八太保)라고 불렀다. 조원엄은 모후인 덕비 왕씨를 지극한 효성으로 모셨고 덕비가 병에 걸릴 때마다 직접 약을 바치기도 했으며, 밤낮으로 세면을 하고 분향을 하여 기도를 올리기도 했다. 셋째 형인 [[진종(송)|진종]]이 즉위한 뒤, 조원엄은 검교태보, 좌위상장군으로 제수되었고, 조국공(曹國公)으로 책봉되었다. 다음 해에는 평해군 절도사, 동중서문하평장사, 검교태보, 광릉군왕(廣陵郡王)이 되었다가, 1008년 진종이 태산에서 봉선을 행하면서 소무군과 안덕군 절도사로 제수되었고, 영왕(榮王)으로 진봉되었다. 분음(汾陰)에서의 제사 이후 조원엄은 시중을 겸임하고 안정군과 무신군의 절도사로 제수된다. 1015년, 조원엄의 시종이 영왕궁에서 화재를 일으켰다. 이로 인해, 조원엄은 무신군 절도사에서 파직되었고 작위가 단왕(端王)으로 강등되었으며 거처를 석보길(石保吉)의 저택으로 옮겼다. 조원엄은 매번 진종을 회견할 때마다 영왕궁의 화재가 마음에 걸렸고, 진종은 조원엄을 불쌍히 여겨서 그를 진해군, 안화군 절도사로 삼고 팽왕(彭王)으로 책봉하였으며, 1017년에는 태보로 진위되었다. 조원엄은 진종 재위기에 작위가 팽왕에서 통왕(通王), 경왕(涇王)이 되었다. 1022년, 진종이 죽고 진종의 황태자인 조정이 제4대 황제인 [[인종(송)|인종]]으로 즉위한다. 조원엄은 인종이 즉위하자 태위, 상서령, 중서령이 되고 정왕(定王)으로 책봉되었으며 천자를 알현할 때 이름을 부르지 않아도 되는 찬배불명(贊拜不名)의 특권과 조서에 이름을 부르지 않는 조서불명(詔書不名)의 특권을 받았다. 뒤이어 조원엄은 작위가 진왕(鎭王)이 되었고, 검을 차고 대전에 입조할 수 있는 검리상전의 특권도 받았다. 이러한 특권들은 모두 조원엄에 대한 인종의 예우를 드러낸 것이었다. 명도 연간에는 태사, 하양삼성 절도사, 무성군 절도사가 되고 맹왕(孟王)으로 책봉되었다가, 형왕(荊王)으로 다시 책봉된다. 인종이 즉위할 당시 진종의 황후인 [[장헌명숙황후 유씨|유씨]]가 태후 자격으로 수렴청정을 하고 있었다. 당시 조원엄은 조정으로부터 예우를 받고 있었지만 수렴청정을 하고 있는 유 태후를 피해다녔다. 그러다가 1033년에 유 태후가 사망하고 인종이 본격적으로 친정을 시작하자, 조원엄은 인종을 찾아와서는 그의 출생의 비밀에 대해 이야기한다. 조원엄은 인종의 생모가 신비 이씨라는 사실을 인종에게 이야기하여, 자신의 생모를 유 태후로 믿고 있었던 인종은 한동안 충격을 받아 정사를 돌보지 못하였다. 하지만 유태후가 생전에 인종도 모르게 생모인 신비 이씨를 황후의 예법에 따라 장례를 지낸 사실이 드러나면서 인종은 유 태후의 일족을 예우하기로 한다. 조원엄은 이후 인종의 치세에서 천수를 누리다가 1044년에 사망하였다. 조원엄은 천책상장군, 서연(徐兗)2주목, 연왕(燕王)으로 추증되었고, 공숙(恭肅)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사후에는 작위가 오왕(吳王)을 거쳐 주왕(周王)이 되었다. 조원엄은 13명의 아들이 있었는데, 조윤희(趙允熙), 조윤량(趙允良), 조윤적(趙允迪), 조윤초(趙允初)를 제외하고, 나머지는 모두 요절하였다. == 미디어에서 == [[판관 포청천]] 시리즈에서 [[팔현왕(판관 포청천)|팔현왕]]으로 나오는 사람이 바로 이사람이다. 황제의 숙부로 별칭처럼 뛰어난 식견을 보여주어 황제나 [[포증]]도 그에게 가끔 의견을 묻고 경청하는 모습이 나온다. [[분류:송나라/황족]][[분류:985년 출생]][[분류:1044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