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Talon Esports/발로란트)]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1_ban_2023.png|width=100%]]}}} || ||<-2> {{{#fff '''Talon Esports[br]{{{+1 ban}}}'''}}} || ||<-2> {{{#ffffff '''조셉 승민 오 (Joseph Seungmin Oh)'''}}} || || {{{#fff '''한국명'''}}} ||오승민 || || {{{#fff '''생년월일'''}}} ||[[2000년]] [[1월 27일]] ([age(2000-01-27)]세) || || {{{#fff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fff '''ID'''}}} ||'''Ban''' || || {{{#fff '''포지션'''}}} ||'''[[발로란트/요원#s-3.1|타격대]]''' / '''[[발로란트/요원#s-3.4|전략가]]''' || || {{{#fff '''주 요원'''}}} ||[[제트(발로란트)|[[파일:제트 초상화.png|width=30]]]] [[바이퍼(발로란트)|[[파일:바이퍼 초상화.png|width=30]]]] [[오멘(발로란트)|[[파일:오멘 초상화.png|width=30]]]] || || {{{#fff '''경력 상금'''}}} ||'''$6,650 USD[br](₩8,648,657.50)'''[* [[https://www.esportsearnings.com/players/95218-ban-joseph-seungmin-oh|Ban]] 경력 상금.] || || {{{#fff '''데뷔'''}}} ||[[2021년]] [[7월 29일]]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0deg, #0DB397 50%, #0DB397 50%); font-size: .7em" {{{#fff '''VCT Challengers 2 S3 NA'''}}}}}}[br]{{{-2 (데뷔일로부터 '''[dday(2021-07-29)]일째''', '''[age(2021-07-29)]주년''')}}} || || {{{#fff '''소속'''}}} ||FW ESPORTS[br](2021.06.22 ~ 2022.10.13)[br][[Talon Esports/발로란트|Talon Esports]][br](2022.10.25 ~ ) || || {{{#fff '''소속'''}}} ||Team Serenity [br](2021.03.11 ~ 2021.04.10) [[Luminosity Gaming/발로란트|Luminosity Gaming]] [br](2021.07.01 ~ 2021.08.09)[* 비활성화 기간 포함시 (2021.07.01 ~ 2021.09.03)] Squirtle Squad [br](2021.09.03 ~ 2021.10.25) [[Pittsburgh Knights|Knights]][br](2021.10.25 ~2022.08.10) '''[[T1/발로란트|T1]][br](2022.08.10 ~ 2023.09.12)''' [[Talon Esports/발로란트|Talon Esports]][br](2023.11.17 ~ ) || ||<-2> [[https://www.twitch.tv/ban_val|[[파일:트위치 아이콘.svg|width=20]]]]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Ban_Val, 크기=20)] [[https://www.instagram.com/josepphhhhh|[[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발로란트]] 프로게이머. == 역사 == === [[2023 VALORANT Champions Tour Pacific League]] === 팀에 새로 영입된 인트로와 역할을 분담해 상황에 따라 출전할 것으로 보인다. GES전 2세트에서 [[강승균|iNTRO]]를 대신해 교체 출전했고 팀은 풀세트 끝에 겨우 승리했다. 탈론전은 인트로 대신 선발 출전해 우려를 떨쳐내고 좋은 활약을 보여주며 팀의 1세트 승리에 기여했다. PRX전 2세트에 인트로 대신 출전했으나 제트를 들고 최악의 모습을 보이며 평가가 도로 깎여버렸다.[* 오랜만에 제트를 플레이해서 그런건진 모르겠으나 최악의 모습을 보인건 사실이기에 비난을 피할 수는 없었다.][* 그러나 밴이 평소에 제트를 자주 하지않은건 아니다, 북미팀인 [[Luminosity Gaming/발로란트|루미너시티]] - [[Pittsburgh Knights|나이츠]]에 소속되어 있을때 제트를 주로 하는 모습을 보여줬었다.][* 심지어 밴은 통산 451경기중에 231게임을 제트를 대회에서 플레이했다.] RRQ전에서는 오멘, 제트로 무난한 1인분을 해냈다. DFM전에서는 고점이 터진 듯한 활약을 보여주며 MVP로 선정되었다. ZETA전에서는 제트로 아예 고점이 터지다 못해 하늘을 뜷어버리며 팀의 승리에 크게 기여하며 '''다시 한 번''' MVP에 선정되었다. == 플레이 스타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hAb4VI0WRhk)]}}}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mnTjj-hQws)]}}} || 북미 시절에는 핵 같은 반응속도와 뛰어난 에임으로 여러 강팀 상대로 이름을 알렸었다. T1으로 영입 된 후, 체임버 너프, 사야 플레이어와 포지션이 겹쳤기에 포지션 변경으로 전략가를 맡게 되었지만, 전혀 맞지 않는 옷인 것인지, 계속 된 폼 저하와 오프라인 대회 부적응으로 인하여 기대와 달리 부진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었다가, 퍼시픽 5~6주차 부터 조금씩 좋은 폼을 보여주면서 T1의 상승세에 힘을 보태주고 있다. == 여담 == * 시즌 초기에 T1에 대한 부정적 평가, 밴의 팀 부적응으로 인한 부진 등으로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나 가끔씩 에이스를 하는 등 포텐을 뽐내는 장면을 보일때 시청자들이 밴+아버지를 합친 밴버지라는 별명이 붙혀졌고, 시즌을 거쳐가며 밴이 좋은 활약을 펼치자 밴버지라는 별명이 굳혀지게 되었다. [[분류:2000년 출생]][[분류:한국계 미국인]][[분류:미국의 프로게이머]][[분류:프로게이머/발로란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