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FC 안양/간략)]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Player-230316113529-11조성준 FW 2.png|width=100%]]}}} || ||<-2> '''{{{#ffffff FC 안양 No. 11}}}''' || ||<-2> '''{{{#1f0149 {{{+1 조성준}}}}}}''' [br] '''{{{#1f0149 {{{-2 Jo Sung-jun}}}}}}''' || ||<|2> '''출생''' ||[[1990년]] [[11월 27일]] ([age(1990-11-27)]세) || ||[[서울특별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가족''' ||[[부모님]], [[아내]] 손지수 (결혼 예정) || || '''포지션''' ||[[공격형 미드필더]], [[윙어]] || || '''신체 조건''' ||176cm, 72kg || || '''학교''' ||숭곡초 - 석관중 - [[서울공고]] - [[청주대학교]] || || '''소속클럽''' ||[[FC 안양]] (2013~2015)[br][[광주 FC]] (2016~2018)[br][[아산 무궁화]] (2017~2018 /^^군복무^^)[br][[성남 FC]] (2019)[br][[제주 유나이티드 FC]] (2020~2022) [br] [[FC 안양]] (2023~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축구선수이다. == 선수 경력 == === [[FC 안양]] === 청주대를 졸업하고 [[K리그/드래프트/2013년|K리그 드래프트]]에 참가했으나, 정규 라운드에서 어떤 팀에서도 지명을 받지 못해 당시 [[한국 내셔널리그]] 소속 [[강릉시청 축구단]] 입단을 준비 중이었다. 그러다 개막 직전 80명이 참가하는 안양 입단 테스트에 함가했고, 3명의 합격자 중 하나에 선발되며 극적으로 프로 선수가 됐고, 안양의 창단 멤버가 됐다. 특유의 노력으로 [[이우형(1966)|이우형]] 감독의 신임을 얻고 시즌 초반부터 기회를 얻었고, 2013년 K리그 챌린지 10라운드 충주와의 홈 경기에서 멀티골을 터뜨리며 일약 스타덤에 오른다. 그렇게 안양에서 3년 동안 K리그 챌린지에서만 82경기 10골 7도움을 기록하는 등 안양 공격에서 빠지면 안 될 선수로 활약했다. === [[광주 FC]] === 2016년을 앞두고 자유 계약으로 광주에 입단하며 [[K리그 클래식]] 무대에 데뷔하게 됐다. 등번호는 안양 2년차 때 달던 11번. 입단 첫해 [[남기일]] 감독의 신임을 받으며 리그 32경기에 출장하며 팀의 조기 잔류에 공헌하는 등, 1부 리그에서 통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2017 시즌 전반기 동안 주전으로 활약했으나, 5월을 끝으로 경찰로 군복무를 하게 되며 팀을 떠났다. === [[아산 무궁화 FC]] === 군사훈련 후 2017년 8월에 아산에 합류하며 K리그 챌린지 무대에 2년 만에 복귀했다. 2018 시즌 리그에서 24경기 4득점 6도움을 기록하는 커리어 하이 시즌을 보내며 아산의 '''[[K리그2]] 우승'''에 기여하며 프로 데뷔 첫 우승을 경험했고, 2019년 초에 전역하며 아산을 떠났다. === [[성남 FC]] === 아산 전역 후 당시 2부에 있던 광주로 복귀하는 대신 [[남기일]] 감독이 있는 성남으로 이적하며 [[K리그1]] 무대로 2년 만에 돌아왔다. 등번호는 아산에서 달던 17번. 성남에서는 15경기 1골 1도움을 기록하며 구단의 잔류에 기여했다. === [[제주 유나이티드 FC]] === [[2020년]] 시즌을 앞두고 광주, 성남 시절 은사인 [[남기일]] 감독을 따라 [[제주 유나이티드]]에 합류했다. 계약 기간은 3년. [[구자철]], [[권순형]] 등 제주 레전드 들이 달던 등번호 7번을 배정 받았다. 그러나 입단 첫 시즌엔 부상으로 아예 시즌을 날렸다. ==== [[제주 유나이티드 FC/2021년|2021 시즌]] ==== 3월 6일 전북과의 홈 개막전 2R에 이동률과 교체 투입하며 제주 데뷔전을 치렀다. 4월 4일자 [[K리그1]] 7라운드 [[수원 FC]] 전에서 [[주민규]]의 동점골을 어시스트하며 제주에서 첫 공격 포인트를 기록했으나, 팀의 2:1 패배를 막지는 못했다. 8월 29일의 리그 28라운드 [[FC 서울]] 전에서는 전반 7분에 본인이 돌파 후 만들어낸 완벽한 득점 기회를 어이없는 슈팅미스로 날려버리기도 했다. 10월 31일의 파이널 라운드 첫 경기이자 리그 34라운드 [[대구 FC]] 전에서는 77분에 [[정태욱]]의 헤딩 클리어링 미스로 흐른 공을 채내 쐐기골을 성공시키며 팀의 0-5 대승에 기여했다. 이로써 제주 데뷔골을 기록했다. 2021시즌 제주에서의 기록은 리그와 FA컵을 포함해 도합 24경기 출전 1골 3도움. ==== [[제주 유나이티드 FC/2022년|2022 시즌]] ==== 작년 시즌과 동일하게 7번을 받고 제주에 잔류하였다. 9R [[인천유나이티드]]와의 경기에서 가슴트래핑 패스로 [[주민규]]의 극적인 동점골을 도왔다. 10R [[성남 FC]]와의 경기에서 후반 교체출전하여 화려한 발재간과 탈압박 능력을 보여주었다.[[https://youtube.com/shorts/EHWbCQMXm40?feature=share|#]] 12R [[수원FC]]와의 경기에서 2도움을 기록하며 절정의 폼을 보여주었다. 사실 그마저도 첫 번째 도움은 사실상 자신의 골이 될 수 있었는데, 달려오던 주민규가 가로채듯이 밀어 넣어 도움이 돼버렸다고 볼 수 있다. 주민규는 그래서인지, 마지막에 겹쳐서 조성준이 넘어져서인지 미안하다는 제스처를 취했다. 어찌되었든 팀은 그 골을 기점으로 2골 더 넣어서 3대1로 역전승을 거두었고 조성준은 여기에 크게 기여했다. 이를 통해 '''[[K리그]] 1,2 통합 200경기 출전''' 기록을 세웠다. 2022시즌 제주에서의 기록은 리그와 FA컵을 포함해 도합 30경기 출전 0골 5도움. 시즌이 끝나고 12월 29일 친정 팀인 [[FC 안양]]으로 이적한다는 단독보도가 나왔다. === [[FC 안양]] 2기 === 2023년 1월 5일 안양은 조성준 영입을 공식발표했다. 이로서 안양을 떠난지 8년 만에 복귀했다. ==== [[FC 안양/2023시즌|2023 시즌]] ==== 안양 2년차에 달던 등번호 11번을 배정받았다. 전남과의 1R 원정에선 전반 31분 교체 투입하며 복귀전을 치렀고, 서울과의 2R 홈 개막전에 선발 출전해 8년 만에 [[아워네이션]]에서 홈팬들에게 인사했다. 전반 29분 [[조나탄 모야]]의 패스를 받아 선제골을 기록하며 복귀골도 신고했다. 2023시즌 안양에서의 기록은 리그와 FA컵을 합쳐 27경기 3골 3도움. == 플레이 스타일 == 빠른 스피드와 개인기를 활용한 드리블과 측면 플레이가 장점으로 윙백으로도 활약이 가능해 멀티 플레이어로 활약이 가능하다. 윙어지만 골 결정력이 아주 뛰어난 편은 아니고, 대신 강한 압박과 많은 활동량을 바탕으로 측면에 힘을 보태줄 수 있는 타입이다. == 여담 == * 제주 팬들 사이에서 [[조르지뉴]]의 별명인 조신이 제주에도 있다고 우스갯소리로 하고 있다. * 2022년 5월 15일 [[수원 FC]]전에서 상대방의 실수로 얻은 찬스를 주민규가 뺏어서 넣은 적이 있다. 이에 주민규는 운동화를 사주었다. [[분류:대한민국의 축구선수]][[분류:1990년 출생]][[분류:2013년 데뷔]][[분류:미드필더]][[분류:FC 안양/은퇴, 이적]][[분류:광주 FC/은퇴, 이적]][[분류:경찰 축구단/전역]][[분류:성남 FC/은퇴, 이적]][[분류:제주 유나이티드 FC/현역]][[분류:공격형 미드필더]][[분류:레프트윙]][[분류:서울공업고등학교 출신]][[분류:청주대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