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북한의 시설물)] [목차] [clearfix] == 개요 == [[북한]]의 [[조선인민군]] 산하 기관. == 상세 == 1994년 북한이 판문점 군사정전위원회를 대신해 설치한 기관이다. 이러한 자체 설치의 배경은 대한민국 황원탁 소장이 1991년에 [[공동경비구역|판문점]] 군사정전위원회 유엔군 측 수석대표로 임명되고부터 시작된다. 이 때 북한은 정전협정 서명도 안 한 남한이 어떻게 수석대표를 차지하냐며 항의 표시로 군사정전위원회를 철수시키고 지금의 기관을 설치한다. 1994년 5월 24일 외교부(현 [[북한 외무성|외무성]]) 대변인 성명을 통해 '정전체제를 평화체제로 전환'할 것을 요구하면서 기존의 군사정전위원회를 대신해 판문점대표부를 [[개성시]]에 설치한다고 통보했으며, 닷새 뒤인 29일 군사정전위원회를 일방적으로 폐쇄했다. 소재지는 ~~판문점이 아니라~~ 개성 [[만월대]] 북편에 있다. 주요 행동으로는 주로 대남 및 대미 비난이며, 2013년 3월에는 [[김영철(북한)|김영철]] 당시 정찰총국장 명의로 정전협정을 백지화하고, 판문점 대표부 활동을 '전면 중단'한다고 성명을 낸 적도 있다. 그러나 2018년에 유엔군을 포함한 3자 군사회담이 [[공동경비구역|판문점]]에서 열려 이 기관이 여전히 활동을 계속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 역할 == [[북한]] 지역에서 발굴된 미군 유해 인도, [[공동경비구역|판문점]] 내 남북교류 행사 지원, 유엔군사령부 연락 담당, 공동경비구역 북측지역 경비 등의 임무를 맡고 있다. == 여담 == 주로 출신 성분이 좋은 군인들이 배치되며, 타 부대에 비해 규율도 느슨하고 보급받는 물자와 식량도 넉넉하게 받는다고 한다. 조평통 위원장인 [[리선권]]과 그리고 2017년 [[공동경비구역|판문점]]을 통해 귀순한 [[오청성]] 씨가 여기 소속 군인이였다. == 구성 == * 인민군판문점대표부 대표[* 상장급]: [[박명림]] ,,(조선인민군 판문점대표부 대표 겸 국무위원회 정책국장),, * 인민군판문점대표부 부대표[* 소장~대좌급] * 인민군판문점대표부 책임연락관[* 상좌급] * 인민군판문점대표부 대변인 == 역대 판문점대표부 대표 == * 초대 이찬복 * ?대 박림수[* 판문점대표부 부대표직을 지냈으며, 1992년 발효된 `남북 불가침 및 교류.협력에 관한 합의서`의 북측 초안을 기안한 군사통이다.] * ?대 박명림 [[분류:조선인민군]][[분류:1994년 설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