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도쿄도의 사립대학)] [include(틀:북한의 해외 단체)] ||<-3> '''{{{+1 조선대학교}}} [br] 朝鮮大学校 [br] Korea University[* [[고려대학교]]와 영문명이 같다.]''' || ||<-3> [[파일:일본 조선대 로고.png|width=250]] || ||<-2> '''국가''' ||[include(틀:국기,국명=일본)] || ||<-2> '''분류''' ||[[각종학교]][* 문부성으로부터 정식 대학 인정을 받지 못해 각종학교로 분류된다.] || ||<-2> '''개교''' ||[[1956년]] [[4월 10일]] || ||<-2> '''총장''' ||한동성|| ||<-2> '''재단 및 법인''' ||학교법인 도쿄조선학원|| ||<-2> '''홈페이지''' ||[[https://www.korea-u.ac.jp/|홈페이지]]|| ||<-2> '''주소''' ||[[일본]] [[도쿄도]] [[코다이라시]] 오가와쵸 1-700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일본 〒187-0032 Tokyo, Kodaira, Ogawachō, 1-chōme−741-3 レオパレス21鷹の台, 너비=100%, 높이=150px)]}}}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조대.jpg|width=600]] [[파일:조선대학교.jpg|width=600]] '''조선대학교'''는 [[도쿄도]] [[코다이라시]]에 위치해 있으며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조총련)가 운영하고 있는 각종학교이다.[* 일본의 고등교육기관은 대학이고 대학교는 일본법상에 없으므로 대학교를 지칭할 수 있다.][* 문부성 관할의 학교만 대학이라고 한다. 다른 성 산하에 있는 대학도 대학이라는 명칭을 쓸 수 없다. [[방위대학교]], 자치대학교 등이 그 예시.] [[조선학교]] 중 최고 교육 기관이다. 대학 수준의 교육을 실시하고 있지만, [[일본]] [[문부과학성]]에서 대학으로의 승인을 받지 못하여, 법적으로 각종학교 취급을 받고 있다. 일본 사립학교법에 근거한 학교법인 도쿄조선학원이 운영하고 있으며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와 [[북한]]으로부터 지원을 받고있다. == 역사 == 조선대학교는 1956년 4월 10일, '재일조선인의 민족교육'을 목표로 설립되었다. 설립 당시에는 2년제 대학교였으며 10여명의 교원과 60여명의 학생이 있었다. 하지만 이 시기 공식적인 학교 인가를 받지 않은 상태였다. 공식적인 학교 인가는 1968년 4월 17일 도쿄 도지사의 승인을 받음으로써 이루어졌다[* 이 당시 일본 내-주로 좌익계열의- 북한에 대한 우호적인 분위기가 뒷받침되어서 이루어졌다. 이에 따라 도쿄 생활문화국에선 학교 설립일을 학교인가를 받은 1968년 4월 17일로 표기하고 있다.]. 1958년 4월, 4년제로 개편하였다. 현재는 2년제인 단기학부를 포함하여 총 8개 학부가 있으며, 대학원 과정에 해당하는 '연구원'이 존재한다. == 설치학부 == 2014년 5월 기준, 도쿄 생활문화국의 각종학교 일람에 따르면 다음과 같다. [[http://www.seikatubunka.metro.tokyo.jp/shigaku/senkaku/index.htm|#]][* 현재는 삭제됨] * '''정치경제학부'''(2개과): 정치경제학과, 법률학과 * '''문학역사학부'''(2개과): 어문학과, 역사지리학과 * '''경영학부'''(1개과): [[경영학과]] * '''외국어학부'''(2개과): 영어학과, 일본어학과 * '''이공학부'''(2개과): 공학과, 전자정보공학과 * '''교육학부'''[* 조총련계의 민족학교의 교원양성에 목적을 두고 있다. 왜인지 모르지만 남자는 4년제, 여자는 3년제이다.]: 교육학과(4년제/남자), 교육학과(3년제/여자), 보육과(2년제), 음악과(2년제), 미술과(2년제) * '''체육학부'''(1개과): 체육학과 * '''단기학부'''(2개과): 생활과학과, 정보경리과 * '''연구원''': 종합연구과 전기(2년제/석사에 해당), 종합연구과 후기(3년제/박사에 해당), 전수과(변호사, 법무사, 회계사 등의 자격증 취득을 목표로 함), 예과(2년제/음악, 미술, 조선무용으로 나뉨) == 입학 == '''[[한국인]]이 [[통일부]]의 허가 없이 이 학교에 입학하면 [[국가보안법]] 및 [[남북교류협력법]] 위반으로 처벌받을 가능성이 높다.'''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조총련]] 계열의 학교이다보니 조총련 계열의 학생들만 다니는 것 같지만 실제로는 [[조선적]] 뿐만 아니라 [[대한민국]] 국적자와 심지어 [[일본인]][* 유학생으로 취급해서 편입반에 넣어 [[한국어|조선어]]를 가르친다고 한다.]들도 다닌다. 물론 입학하는 학생은 대부분 [[조선학교]] 출신이다. [[입시]] 수험과목은 국어(조선어), 수학, 영어, 사회, 조선역사 혹은 이공, 소논문 등이다. 체육학부, 교육학부 음악과, 미술과는 실기시험이 부과된다. [[재일 조선인]] 중에 정서적으로 [[북한]]에 [[종북주의자|가까움에도]] 편의상 [[대한민국]] 국적을 보유한 사람들도 꽤 있어서[* 유명인의 예시로 [[정대세]]를 들 수 있다. 마침 정대세도 조선대학교를 거쳤다.] 대한민국 내 보수파들이 문제를 제기하고 있긴 하다. 왜 이런 일이 벌어지고 있냐면, 일본은 [[한일협정]]을 근거로 아직 북한을 [[미승인국|국가로 승인하지 않았고]] 당연히 수교도 안 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북한 국적을 취득할 경우 일본에서 인정이 안 된다. 하지만 일본은 대한민국을 국가로 승인하고 정식으로 수교했으므로 대한민국 국적을 가지고 있으면 외국인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 북한 국적을 취득하는 것이 불가능하지는 않으나 대사관이 없어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고, 북한 국적은 해외 입출국 등에서 어려운 점이 많으니 일본 국적 아니면 한국 국적을 취득하는 것이다. == 교가 == >금수강산 [[북한|내 나라]]에 [[사회주의]]꽃이 피니 >바다너머 [[일본|이 땅]]우에 우리 대학 높이 섰네 >[[백두산|백두령봉]] 기상이냥 [[무사시노]] 굽어 보며 >조국영에 자랑하듯 그 이름도 조선대학 > >젊은 가슴 희망 품고 교정안을 들어 서니 >[[북한|조국]]사랑 넘쳐 풍겨 따사로이 안아 주네 >무쇠팔뚝 두다리에 불을 뿜뜻 용기 솟고 >우리 심장 붉은 심장 불덩이로 타오르네 > >[[사회주의]] 내 나라의 자랑 높은 민족문화 >배워 가는 우리에게 혁명전통 등대로다 >원쑤 [[미국|미제]] 몰아 내고 [[적화통일|조국통일]] 이룩하여 >[[지상락원]] 꾸려 나갈 그 임무도 크고 높네 > >젊은 가슴 희망 품고 교정안을 들어 서니 >[[북한|조국]]사랑 넘쳐 풍겨 따사로이 안아 주네 >무쇠팔뚝 두다리에 불을 뿜뜻 용기 솟고 >우리 심장 붉은 심장 불덩이로 타오르네 > >억천만년 오랜 나날 허공중에 높이 떠서 >온 천하를 내려 보는 해야 달아 물어 보자 >넓고 넓은 터전우에 우아하게 집을 짓고 >[[조선적|해외자녀]] 교양 주는 [[북한|이런 나라]] 또 있느냐 > >젊은 가슴 희망 품고 교정안을 들어 서니 >[[북한|조국]]사랑 넘쳐 풍겨 따사로이 안아 주네 >무쇠팔뚝 두다리에 불을 뿜뜻 용기 솟고 >우리 심장 붉은 심장 불덩이로 타오르네 >---- > - 조선대학교 교가 == 기타 == * 대한민국 국적자 중에선 [[정대세]]와 [[정용대]], [[한호강]][* 2023년 현재 [[수원 삼성 블루윙즈]] [[센터백]]. 재일교포 4세이다] 등의 축구쪽 인물들이 많이 알려져 있다. 영문 표기가 '''[[고려대학교|KOREA UNIVERSITY]]''', 한국어 표기로 '''[[조선대학교]]'''[* [[대한민국]] [[광주광역시|광주]]에 위치한 종합대학교 명칭과 같다. 다만 한국 조대의 영어 명칭은 Chosun University.]인 탓에 [[풋볼매니저]]에서 한국의 [[고려대학교]]와 혼동되어 [[한용태]]나 [[김성순]] 등의 이 학교 출신 선수들이 고려대 소속으로 등장하기도 했다(...) * 한때 [[페이스북]]에서 오류를 일으켜서 영문 표기가 같은 [[고려대학교]] 및 한국어 표기가 같은 한국의 [[조선대학교]]와 정보가 뒤섞여 한 페이지에서 소개되기도 했었다. 아마 인터넷에서 자동으로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에서 혼선이 생긴 듯하다. 지금은 정정된 것으로 보인다. * 다른 총련계의 [[조선학교]](중·고교)도 마찬가지지만 수학여행을 주로 북한의 평양으로 간다고 한다. 그러나 외국인 취급받으면서 평양 내 주요 관광코스만 돌 수 있다고 한다. 자유로운 여행은 아니더라도 평양 내 수학여행코스 내 시설이 북한치곤 괜찮은 편이며, 평양이란 곳이 북한 내에서도 특권층들만 들어올 수 있고 또한 북한의 체제 특성상 현재로서는 외국인도 마음대로 자주 갈 수 없는 곳이라, 이렇게라도 방문할 수 있다는 것 자체가 조선적이나 외국인에게 색다른 경험이라는 매력이 있어 조선대학교 학생들의 평도 나쁘지 않다고 한다. * 인근 [[무사시노미술대학]]이라는 대학과 아주 가까이 붙어있는데 무사시노미술대학 같은 경우 일제강점기 때부터 한국인 유학생이 많은 학교였고 현재도 재학 중인 유학생이 많아, 조선대학교 내 사정에 대해서 잘 아는 사람들도 있다. 무사시노미술대학과 조선대 간에 비공식 교류도 존재한다. 미대 전신일 때에 캠퍼스 커플로 해서, 결혼까지 이어진 한국인 부부도 있다. 그 대표적인 인물이 [[장욱진]], 이순경 부부 화백. * [[산케이신문]]에 따르면, 일본 내 조총련의 입지 축소로 산하조직들이 줄어들면서 졸업자의 취업이 어려워졌고, 그 결과 입학생도 줄어들었다. 대학 정원이 1,220명이며, 1990년대에는 재학생이 1,500명에 달할 때도 있었지만, 현재 재학생은 600명에 불과하다고 한다. [[http://media.daum.net/politics/all/newsview?newsid=20160410114651737|연합뉴스 기사]] * 조총련계답게 학교 본부는 자연히 친북 성향을 띠고 있다. 교가도 [[문화어]] 규범을 따르며, 가사에는 [[사회주의]] 찬양과 '''"원쑤 [[미제]]"를 몰아내고 [[적화통일|조국 통일]]을 이룩해 [[지상락원]]을 꾸려 나가겠다'''는 내용이 대놓고 나온다. 조선대학교가 2016년 5월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421&aid=0002286393|'미국과 일본의 괴멸을 목표로 한다'는 내용의 편지]]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 보냈다고 산케이신문이 2016년 9월 20일 보도하여 일본 사회 내에서 파문이 일었다. * [[문화유산기술연구소]]와 함께 한반도 멸종위기종인 [[크낙새]]와 그 생태계를 ICT 기술로 복원하는 합작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 * 2021년 3월 8일에 일본 법원이 조선대학교 주변에서 (혐한들의) 비방·중상하는 활동을 금지하는 명령을 내렸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15&aid=0004510022|#]] * 유엔 측이 일본 정부가 조선대학교를 코로나19 지원 대상에서 제외한 것에 대해 시정을 요구했지만, 일본 측은 이에 불응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1&aid=0012477060|#]] * 이 학교의 초대 총장이 재일 한국인 유도선수 [[안창림]]의 외조부라고 한다. 다만 안창림은 현재 [[대한민국]] 국적이다. == 관련 문서 == [include(틀:북한의 대학 목록)] * [[조선학교]] * [[북일관계]] [[분류:도쿄도의 대학]][[분류:코다이라시]][[분류:1956년 개교]][[분류:북한]][[분류: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