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파일:전평기.png|width=100%]] || ||<-3> {{{#fff {{{+2 '''조선노동조합전국평의회'''}}}}}}[br]{{{#fff 朝鮮勞動組合全國評議會}}} || ||<-2> '''{{{#fff 약칭}}}''' ||전평 || ||<-2> '''{{{#fff 창립일}}}''' ||[[1945년]] [[11월 5일]] || ||<-2> '''{{{#fff 해산일}}}''' ||[[1948년]] [[8월 15일]] || ||<|2><-2> '''{{{#fff 결성대회 위치}}}''' ||[[서울특별시]] [[중구(서울)|중구]] 삼일대로 343 [br](저동1가, [[중앙시네마|중앙극장]]) || || {{{#!wiki style="margin-bottom: -5px; margin-left: -10px; margin-right: -10px; margin-top: -5px" [include(틀:지도, 장소=대신파이낸스센터, 너비=100%)] }}} || ||<|3> '''{{{#fff 임원진}}}''' || || '''{{{#fff 위원장}}}''' ||허성택 || || '''{{{#fff 부위원장}}}''' ||박세영, 지한종 || ||<|3> '''{{{#fff 구성}}}''' || '''{{{#fff 조합원 수}}}''' ||21만명,,(1945년),, → 57만명,,(1946년)[* [[http://worknworld.kctu.org/news/articleView.html?idxno=500850|[박준성의 노동자 역사] 조선노동조합전국평의회(전평) 1946년 9월 총파업 (노동과 세계)]]],, || || '''{{{#fff 산별노조 수}}}''' ||16개 || || '''{{{#fff 분회 수}}}''' ||1,194개 || [목차] [clearfix] == 개요 == || [[파일:전평회관.jpg|width=300]] || [[파일:전평 파업.jpg|width=350]] || || '''전평회관'''[* 조선노동조합전국평의회(전평)의 본관. [[AP통신]]이 촬영했다. [[http://photovil.hani.co.kr/special/208336|해방-전쟁-시민혁명, 그때 그 서울의 맨얼굴 (한겨레 사진마을)]]] || 전평 주도의 철도노동자 파업 (1947년)[* [[http://todayboda.net/article/6718|해방공간의 노동자운동과 1946년 9월 총파업 (오늘보다)]]] || 1945년에 결성한 한국의 [[노동조합]] 연맹. [[좌익]] 성향의 노동운동 단체로서 [[미군정]] 시기 활동하며 거대한 조직력을 발휘했으나, [[파업]]이나 정치적 활동에 대한 미군정과 우익의 탄압으로 인해 몰락하고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된 이후 불법화된다. == 역사와 활동 == === 노동자들의 공장관리운동 === === 조선노동조합전국평의회의 결성과 활동 === || [[파일:전평 창립대회.jpg]] || || 조선노동조합전국평의회 결성대회[* 1945년 11월 5일, 서울 중앙극장에서 진행되었다. 이때 산별노조 16개와 합동노조의 분회 1194개, 조합원 21만 7073명을 대표하는 대의원 515명이 참석했다. 태극기 및 미국, 소련, 호주, 영국의 국기, 전평 깃발, "WELCOME OUR ALLIES!(연합국 환영!)"과 "모든 권력은 인민에게"가 적힌 현수막을 걸었다. [[http://contents.history.go.kr/front/hm/view.do?levelId=hm_158_0010|우리역사넷]] [[http://www.pssp.org/bbs/data/j2019/8/2019_%EA%B0%80%EC%9D%84%ED%98%B8_[11]_%EA%B8%B0%ED%9A%8D%EC%84%9C%ED%8F%89_%EC%A1%B0%EC%9C%A0%EB%A6%AC.pdf|PDF 문서]]] || >1. 노동자의 일반적 생활을 보장할 [[최저임금제]]를 확립하라. >2. [[8시간 노동제]]를 실시하라. >3. 7일 1휴가제와 연 1개월 간의 [[유급 휴가|유급휴가제]]를 실시하라. >4. 부인 노동자의 산전 산후 2개월 간 유급휴가제를 실시하라. >5. 유해위험작업은 7시간제를 실시하라. >6. 14세 미만 [[아동노동|유년노동]]을 금지하라. >7. 노동자를 위한 [[주택]], [[탁아소]], 음악실, [[도서관]], [[의료기관]]을 설치하라. >8. 노동자의 이익을 위한 [[단체협약|단체계약권]]을 확립하라. >9. [[해고]]와 [[실업]]을 절대 반대한다. >10. 일본제국주의의 매국적 민족반역자 및 친일파의 일체기업을 공장위원회에서 보관, 관리하라. >11. 실업, 상병, 노폐노동자와 사망한 노동자의 유족 생활을 보장하는 사회보험제를 실시하라. >12.농민운동을 절대 지지하자. >13. [[조선인민공화국]]을 지지하자. >14. 조선의 자주독립 만세! >15. 세계노동계급 단결 만세! >---- >전평의 일반행동강령[* 정치적, 사회적 요구들도 분명 있었지만, --기껏해야 인민공화국(북한 아님) 지지와 노동자 계급의 단결 정도라는 걸 볼 때 '정치적이라고 비판'하기에도 가소로운 수준인 게 함정-- 당시 전평이 요구하던 [[최저임금제]], 8시간 노동제, [[유급 휴가]], 노동자를 위한 복지정책은 현재 [[대한민국]]에서 시행되고 있는 것들이다. 70년 전에 이런 주장을 했다는 것이 꽤 인상깊다.] === 역사 === == 조직 == == 관련 문서 == * [[9월 총파업]] * [[대구 10.1 사건]] * [[조선공산당]] [[분류:1945년 설립]][[분류:1948년 해체]][[분류:대한민국의 없어진 노동조합]][[분류:미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