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어린이 과학동아]]에 [[2014년]] [[12월 1일]]부터 연재된 [[만화]]. 글 이혜림, 그림 [[팬마(웹툰작가)|팬마]][* 네이버 웹툰 [[문아]]의 작가. 문제는 문아를 연재중단하고 1년 넘게 있으면서 이건 연재하니 비난이 많다.]. [[세종대왕]] 치세에 활약한 [[과학자]] 장영실, 이순지, 이천의 이야기를 다룬 팩션이다. 총 24화 연재 예정이었으나 2016년 8월 15일 42화로 완결되었다. [[http://kids.dongascience.com/kids/cartoonview/1050|1화 보기]] 그리고 작가 공인 고장난 컴퓨터로 작업한 만화다. == 등장인물 == === 실존인물 === * [[세종대왕|세종]]: 1397~1450. 본명은 이도. [[조선]]의 제4대 임금. 천문의상 제작을 표면에 내세워 장영실, 이순지, 이천을 불러들이지만 진짜 목적은 백성의 억울한 사건을 비밀리에 수사하기 위해서이다. * [[장영실]]: 1389?~1458? [[녹발]] [[곱슬머리]] [[포니테일]]에 [[흑안]]. 노비 출신이지만 손재주가 뛰어나다. 한설화와 같은 동네에 산다. * [[이순지]]: 1406~1465. [[청발]] [[단발머리]]에 [[황안]]. 천문학에 관심이 많다. [[미소년]]이라 잠입 수사 때 [[여장]]을 한 적이 있다. 이천과는 티격태격하는 사이. * [[이천(조선)|이천]]: 1376~1451. [[흑발]] [[흑안]]. 짧은 [[수염]]을 길렀으며 옷과 유행에 민감하다. * 후궁 송씨: 세종대왕은 정비 [[소헌왕후]] 외에 후궁 10명을 두었는데, 그 중에서 송씨 성을 가진 사람으로 상침(尙寢) 송씨(宋氏)가 있었다. * [[박연]]: 1378~1458. 연보라색 [[장발]] [[곱슬머리]]에 [[자안]]. [[절대음감]]의 소유자. 조선에서 나온 경석을 사용해 편경 제작에 성공한다. * [[안평대군]]: 1418~1453. 본명은 이용. 세종의 셋째 아들. 나이가 어리지만 그림과 글씨에 능하며 명나라에 가고 싶어 한다. 나이 먹는 모습이 나온 유일한 인물. * [[임영대군]]: 1420~1469. 본명은 [[이구]]. 세종의 넷째 아들이자 안평대군 이용의 두 살 [[터울]] 동생. 1430년에 안평대군과 함께 성균관에 입학했다. 물건을 만드는 손재주가 좋아 화포 제작을 감독하고 화차를 만들었다. * [[문종(조선)|문종]]: 1414~1452. 본명은 이향. 세종의 맏아들로 훗날 세종에 이어 왕의 자리에 오른 문종이다. 문종은 학문을 좋아하고 동시에 화약 무기 연구에 관심이 많았다. 왕이 된 1451년 문종화차를 직접 개발해 전국 곳곳에 설치하여 나라를 지키는 데 사용했다. 어깨까지 내려오는 장발의 청년. 마지막화인 42화에서 왕세자로서, 그리고 국왕으로서 등장한다. === 가공인물 === * 한설화: 장영실과 같은 동네에 사는 소녀. 가끔씩 당돌한 태도를 보이며 장영실을 좋아하는 눈치. * 상선: 세종을 측근에서 모시는 나이 많은 [[내관]]. 악기 연주를 좋아하는 듯, 내관이 되지 않았다면 악사가 되었을 것이라는 것이 세종의 평. * 원신주: 밝은 갈색머리에 [[청안]]. 여자이지만 [[남장]]을 하고서 [[삼총사]]의 비밀 수사를 돕는다. [[중국어]]에 능통하다. 20화에 실린 기자의 말에 따르면 원신주라는 이름은 [[원나라]] 때 왕여가 편찬한 [[법의학]] 지침서 <무원록(無寃錄)>을 1438년(세종 20) 세종의 명으로 주석을 붙여 두 권의 책으로 간행한 [[신주무원록]](新註無寃錄)에서 따왔다. * 링링: 어머니가 조선 사람인 중국 소녀. 안평대군의 여장을 간파했다. == 에피소드 == ||<#FFFFC2><:> 회차 ||<#FFFFC2><:> 제목 ||<#FFFFC2><:> 연재일 || ||<#FFFFE6><:> 1 ||<(>세종, 삼총사를 부르다 ||<(>[[2014년]] [[12월 1일]] || ||<#FFFFE6><:> 2 ||<(>비밀 임무의 시작 ||<(>[[2014년]] [[12월 15일]] || ||<#FFFFE6><:> 3 ||<(>독이 든 [[곶감]] ||<(>[[2015년]] [[1월 1일]] || ||<#FFFFE6><:> 4 ||<(>[[이천]]의 잠복 수사 ||<(>[[2015년]] [[1월 15일]] || ||<#FFFFE6><:> 5 ||<(>도적단의 음모 ||<(>[[2015년]] [[2월 1일]] || ||<#FFFFE6><:> 6 ||<(>[[갈색]] 청자의 정체 ||<(>[[2015년]] [[2월 15일]] || ||<#FFFFE6><:> 7 ||<(>[[여장|이순지의 변신]]은 무죄? ||<(>[[2015년]] [[3월 1일]] || ||<#FFFFE6><:> 8 ||<(>[[음계]]의 기준, 12율관 ||<(>[[2015년]] [[3월 15일]] || ||<#FFFFE6><:> 9 ||<(>돌로 만든 악기의 비밀 ||<(>[[2015년]] [[4월 1일]] || ||<#FFFFE6><:> 10 ||<(>화살촉과 [[편경]] 조각 ||<(>[[2015년]] [[4월 15일]] || ||<#FFFFE6><:> 11 ||<(>아직 밝히지 못한 진실 ||<(>[[2015년]] [[5월 1일]] || ||<#FFFFE6><:> 12 ||<(>[[불꽃놀이|하늘 꽃]]이 터진 날 ||<(>[[2015년]] [[5월 15일]] || ||<#FFFFE6><:> 13 ||<(>삼총사, [[안평대군|이용]]을 만나다 ||<(>[[2015년]] [[6월 1일]] || ||<#FFFFE6><:> 14 ||<(>사라진 [[왕자]] ||<(>[[2015년]] [[6월 15일]] || ||<#FFFFE6><:> 15 ||<(>수상한 [[화약]]제작소 ||<(>[[2015년]] [[7월 1일]] || ||<#FFFFE6><:> 16 ||<(>위기에 처한 삼총사 ||<(>[[2015년]] [[7월 15일]] || ||<#FFFFE6><:> 17 ||<(>보이지 않는 [[지도]] ||<(>[[2015년]] [[8월 1일]] || ||<#FFFFE6><:> 18 ||<(>[[장영실]]과 [[수차]] ||<(>[[2015년]] [[8월 15일]] || ||<#FFFFE6><:> 19 ||<(>[[비(날씨)|비]]에 젖지 않는 [[종이]] ||<(>[[2015년]] [[9월 1일]] || ||<#FFFFE6><:> 20 ||<(>[[행방불명]]된 아이 ||<(>[[2015년]] [[9월 15일]] || ||<#FFFFE6><:> 21 ||<(>삼총사의 새로운 임무 ||<(>[[2015년]] [[10월 1일]] || ||<#FFFFE6><:> 22 ||<(>세종의 [[훈민정음|특급 계획]] ||<(>[[2015년]] [[10월 15일]] || ||<#FFFFE6><:> 23 ||<(>철통보안 8단 [[자물쇠]] ||<(>[[2015년]] [[11월 1일]] || ||<#FFFFE6><:> 24 ||<(>[[천문대]]를 세우다! ||<(>[[2015년]] [[11월 15일]] || ||<#FFFFE6><:> 25 ||<(>영실의 [[앙부일구|선물]] ||<(>[[2015년]] [[12월 1일]] || ||<#FFFFE6><:> 26 ||<(>비밀 문서를 찾아라! ||<(>[[2015년]] [[12월 15일]] || ||<#FFFFE6><:> 27 ||<(>감춰진 진실 ||<(>[[2016년]] [[1월 1일]] || ||<#FFFFE6><:> 28 ||<(>[[성균관]]에서 생긴 일 ||<(>[[2016년]] [[1월 15일]] || ||<#FFFFE6><:> 29 ||<(>책 괴물의 [[좀벌레|정체]] ||<(>[[2016년]] [[2월 1일]] || ||<#FFFFE6><:> 30 ||<(>세종과 매사냥 ||<(>[[2016년]] [[2월 15일]] || ||<#FFFFE6><:> 31 ||<(>[[시치미]]를 떼다 ||<(>[[2016년]] [[3월 1일]] || ||<#FFFFE6><:> 32 ||<(>[[호랑이|산 속의 왕]] ||<(>[[2016년]] [[3월 15일]] || ||<#FFFFE6><:> 33 ||<(>봄비 내리는 날 ||<(>[[2016년]] [[4월 1일]] || ||<#FFFFE6><:> 34 ||<(>[[측우기|비의 양을 재는 그릇]] ||<(>[[2016년]] [[4월 15일]] || ||<#FFFFE6><:> 35 ||<(>[[이순지]]의 [[배신]]? ||<(>[[2016년]] [[5월 1일]] || ||<#FFFFE6><:> 36 ||<(>사라진 [[증거]] ||<(>[[2016년]] [[5월 15일]] || ||<#FFFFE6><:> 37 ||<(>[[수국]]의 [[비밀]] ||<(>[[2016년]] [[6월 1일]] || ||<#FFFFE6><:> 38 ||<(>[[얼음|더위를 물리치는 약]] ||<(>[[2016년]] [[6월 15일]] || ||<#FFFFE6><:> 39 ||<(>[[서빙고|빙고]] 문제를 풀어라! ||<(>[[2016년]] [[7월 1일]] || ||<#FFFFE6><:> 40 ||<(>[[훈민정음|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 ||<(>[[2016년]] [[7월 15일]] || ||<#FFFFE6><:> 41 ||<(>[[화차(무기)|백 개의 불화살]] ||<(>[[2016년]] [[8월 1일]] || ||<#FFFFE6><:> 42 ||<(>안녕, 삼총사! ||<(>[[2016년]] [[8월 15일]] || == 기타 == 12화에서 안평대군이 '[[명나라]]에 가는 것이 다섯살 평생 소원'이라고 말하는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작중 시대적 배경은 12화 기준 세종 4년(1422)에 해당한다. 그리고 23화에서는 '명나라에 다녀온 뒤로 5년이 지났다'는 장영실의 언급이 있었으므로 23화 기준 세종 9년(1427)이다. 문제는 24화에서 [[https://ko.wikipedia.org/wiki/%EA%B0%84%EC%9D%98%EB%8C%80|간의대]]가 등장하는데, 간의대의 착공은 세종 15년(1433)이고 완공은 세종 16년(1434)라 약 6년 정도의 차이가 난다는 것. 28화에 [[성균관]]으로 나온 건물이 [[일본]] [[나라현]]의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a/a0/Toshodaiji_Nara_Nara_pref01s5s4290.jpg|도쇼다이지]]와 흡사하게 묘사되었다. 작가의 개인적인 사정으로 연재가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문아/단행본 논란|문아 단행본 논란]] 때문인지 2016년 7월 6일 해당 사건의 진정서를 접수한 후원자가 받은 답변에서 [[http://blog.naver.com/sa3003/220755467321|1~2달 이내로 그만두겠다고 했다.]] == [[고증]] == * 세종이 장영실, 이순지, 이천을 불러들인 표면적인 이유는 천문의상(天文儀象) 제작인데, 천문의상 제작에 착수한 것은 세종 14년(1432)이다. * 현재 [[편경]]은 16개의 경석으로 구성되었으나 세종 때 [[박연]]이 제작한 편경은 경석이 12개였는데 이를 반영했다. * 12화에서 안평대군이 [[곤룡포|홍룡포]]에 [[익선관]]을 쓴 모습으로 등장하는데, 왕세자가 아닌 대군이었으므로 사모관대 차림이어야 한다. 24화에 다시 등장한 안평대군은 [[사모]]를 쓰고 있지만 양 어깨와 가슴에 흉배를 부착한 청색 [[단령]]을 입었는데, 흉배를 부착한 시기는 단종 2년(1454)이며 왕족은 청색이 아니라 홍색 단령을 입었다. 28화에 등장한 임영대군도 안평대군과 같은 복식을 입었다. * [[박연]]이 [[미청년]]으로 등장하는 반면 이천은 아저씨로 등장했는데, 작중 연대(1422년)대로라면 박연은 45세, 이천은 47세로 겨우 '''두 살 차이'''다. * 41화에서 훈민정음 반포식이 거행되는데, 훈민정음이 반포된 것은 세종 28년(1446)으로 세종의 나이가 쉰을 바라보지만 수염 한 올 나지 않은 젊은 모습 그대로 나온다. 주인공인 장영실, 이순지, 이천도 마찬가지. * 장영실은 1442년 세종이 탄 가마를 제작했다가 가마가 부서지는 사고로 인해 파직당한 후 역사서에서 모습을 감추지만, 조선 과학 삼총사에서는 문종이 즉위한 후에도 계속 궁중에 남아 일하는 것으로 그려졌다. [[분류:한국 만화/목록]][[분류:역사 만화]][[분류:조선/창작물]][[분류:어린이과학동아/작품]][[분류:학습만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