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趙思義 (? ~ 1402) [[조선]] 초기의 인물. [[조사의의 난]]을 일으킨 것으로 알려졌지만 현대의 연구에서는 [[함흥부]]에 연고가 있는 [[태조(조선)|이성계]]가 난을 주도했으며 부자 간의 대결로 번진 것을 수치스럽게 여겨 감추기 위해 그를 주동자로 몰았다는 견해가 있다. 한편으로 조사의의 난은 '태조의 흑막설'에 이어 <[[조선왕조실록]]>의 기록과 다른 부분이 숨겨졌을 것이라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 생애 == 1393년 의랑을 지내다가 현빈 유씨의 일을 함부로 논했다고 해서 여러 [[관리]]들과 함께 순군옥에 투옥되었다가 [[고향]]으로 귀양갔다. 1397년 첨절제사로 있으면서 태조의 명으로 [[경복흥]]에 대한 [[제사]]를 지냈다. 1398년 [[제1차 왕자의 난]]으로 인해 순군옥에 갇혔으며 안변부사를 지내다가 나중에 [[태종(조선)|태종]]이 태조의 뜻을 존중하여 동북면([[함경도]]) 지역으로 보내게 되었다. 1402년 11월 5일 [[신덕왕후]] 강씨를 위한다는 이유로 동북면 지역의 세력을 규합하여 [[반란]]을 일으켰다. [[박순(여말선초)|박순]]을 죽이고 김옥겸을 붙잡았지만 김옥겸이 도망가 놓쳤으며 [[이천우]]가 옛 맹주에 보낸 군사들을 붙잡았고 이천우를 애전에서 포위했지만 놓쳤다. 11월 27일 안주에 이르렀다가 살수에 주둔해 밤에 물을 건너다가 얼음이 깨져 수백여 명의 군사를 잃었으며 조사의는 붙잡히고 압송되어 순위부에 투옥되었다가 12월 18일 죽임을 당했다. == 대중매체에서 == === [[용의 눈물]] === [[파일:스크린샷 2021-02-07 오후 10.21.12.png|width=500]]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조사의(용의 눈물))] === [[태종 이방원(드라마)|태종 이방원]] === 태종 이방원에서는 [[정의갑]]이 연기했다. 21회에서 첫 등장하였으며, 23회에서 [[조사의의 난]]을 일으켰고, 25회에서 조사의 본인 포함 이 사태의 관련자들은 전부 처형되면서 작품에서 퇴장했다. [[분류:조선의 관리]][[분류:1402년 사망]][[분류:참수된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