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이탈리아의 과학자]][[분류:1854년 출생]][[분류:1925년 사망]][[분류:롬바르디아 주 출신 인물]] ||<-2> '''{{{+1 조반니 바티스타 그라시}}}[br]Giovanni Battista Grassi''' || ||<-2>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조반니 바티스타 그라시.png|width=100%]]}}} || || '''본명''' ||조반니 바티스타 그라시 || ||<|2> '''출생''' ||[[1854년]] [[3월 27일]]|| ||[[롬바르디아]] 코모 로벨라스카|| ||<|2> '''사망''' ||[[1925년]] [[5월 4일]] (향년 71세)|| ||[[라치오]] [[로마]]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이탈리아)]|| || '''분야''' ||[[기생충학]], [[동물학]] || [목차] [clearfix] == 개요 == 이탈리아의 동물학자. [[말라리아]]의 전염 경로를 밝힌 업적으로 유명하며 기생충학에 있어서 여러 기여를 한 인물이다. == 생애 == 1854년 이탈리아 롬바르디아에서 태어났으며 1872년 [[파비아 대학교]]에서 의학을 공부하였다. 1878년 졸업한 후 1883년에는 [[시칠리아]]의 [[카타니아 대학교]] 동물학 교수에 임명되었고 대학교에 있는 동안 [[곤충]]에 대해서도 연구했다. 이후 1895년 [[로마 대학교]]의 교수로 임명되었다. 처음에는 동물학을 계속 연구할려고 했지만 이후 [[말라리아]]에 큰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1899년에는 [[임상실험]]을 통해 말라리아의 전파를 발표했으며 유력한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로 거론되었지만 정작 1902년에 말라리아를 연구한 또 다른 학자인 [[로널드 로스]]가 수상하게 된다.[* 당시 로널드 로스 또한 모기가 말라리아의 매개체라는 사실을 밝혀냈지만 인간이 아닌 [[새]]의 경우로 한정지었다.] 그 후 말라리아에 대한 연구를 멈추고 다양한 연구를 계속하다가 1925년 사망하게 된다. == 연구 == 당시 [[말라리아]]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는 와중에 그는 [[모기]]가 말라리아를 전파시키는 매개체라고 가정했다. 이탈리아의 여러 지역들을 돌아다니면서 계속 연구를 했지만 그때마다 번번히 실패하고 말았다. 어느날 그는 말라리아에 걸린 사람들을 조사하다가 모기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말라리아 환자가 한 명도 나오지 않은 지역을 발견하게 된다. 이때부터 그는 특정 모기만이 말라리아를 전파시킨다고 생각했고 그 즉시 대다수의 모기들을 배제한 채 가능성이 있는 모기들을 선발하게 된다. 그 후 계속 연구를 하다가 결국 1899년, [[임상실험]]을 통해 그는 여러 종류의 모기 중 [[아노펠레스]](''Anopheles'') 속에 속하는 모기만이 인간에게 직접적으로 말라리아를 전염시킨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 여담 == * 1902년 노벨상을 수상한 [[로널드 로스]]에 대해 많은 비판을 했으며 지금까지도 논란이 되고 있는 사항이다. * 당시 그는 임상실험을 행하여 여러 구설수에 올랐는데 이 때문에 그는 또다른 말라리아 연구자인 [[패트릭 맨슨]]에게 그의 연구를 이어서 진행해 줄 것을 부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