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발전)]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발전소/Ex4ample.jpg|width=100%]]}}}|| || {{{#000,#fff [[시화호]] 조력발전소의 모습}}} .시설용량 254MW으로 세계 최대 규모. || [목차] [clearfix] == 개요 == 조수 간만의 차이를 이용하여 터빈을 돌려서 발전하는 방식. 달의 인력으로 지구의 바닷물은 높이가 때때로 달라지고 이를 이용하여 발전한다. 바다의 [[수력발전]]이다. 밀물 때 저수지에 물을 채워 저장하고, 썰물 때 반대편 해수면의 높이가 충분히 낮아져서 낙차가 생기는 경우 저장한 물을 배출하여 터빈을 돌려 전기를 생산한다. 결국 다른 대부분의 발전소와 마찬가지로 터빈을 돌리는 힘을 얻기 위해 조력을 이용하는 것이다. == 해외 == 세계 최초는 1967년 프랑스에 완공된, Lienagn 조력 발전소이다.[[https://www.google.com/maps/place/48%C2%B037'05.0%22N+2%C2%B001'24.0%22W/@48.618056,-2.023333,15z/data=!4m5!3m4!1s0x0:0x0!8m2!3d48.618056!4d-2.023333?hl=en|구글 맵 위치]] 시설용량은 240MW이다. 그 외 캐나다, 아르헨티나, 러시아 등에서 운용한다. == 국내 == 대한민국은 만(灣)이 많으며 조석간만 차가 커서 입지가 최적이다. [[시화호]] 조력발전소는 매몰 비용과 심각한 오염 때문에 궁여지책으로 도입하여 [[2011년]]부터 가동했다. 다만 시설용량은 254MW으로 세계 최대다.[* [[기술가정]]이나 [[통합과학]] 시간에도 자주 언급되곤 한다.] 인천만(8.1m), 아산만(6m), 가로림만(4.7m), 천수만(4.5m) 등이 최적지로 꼽힌다. 이중 아산만, 가로림만은 70년대부터 환경평가를 실시했다. 가로림만은 2006년에 공사비 1조 원 규모로 조력발전소 건립을 발표했으나 그 뒤에 진척이 없다. 지역 여론도 찬/반으로 나뉘어 있으며 2014년까지 환경영향평가도 통과하지 못하였다. 2017년 기준 논의가 중단되었다고 보인다. [[2017년]]에는 [[탈원전]] 등의 이슈로 건설 계획이 재개될 가능성이 있다. [[탈원전/대한민국]] 문서 참고. == 환경 문제 == 탄소 발생이 거의 없으므로 배출량이 제한되는 현대에는 유리하다. 그러나 완전한 친환경 발전은 아니다. 해상으로는 영양염 농도 변동, COD감소가 있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040668|이철재. (2014.10.06). “가로림만 조력발전소 사실상 백지화”. 오마이뉴스.]] 육지에 영향을 끼치는 바로는 갯벌 훼손이 있으며, 어업, 갯벌 채집 등 지역경제 타격이 온다. 잘만 활용하면 악화된 환경을 정상화시키기도 한다. 일례로 시화호의 조력발전소 건설을 꼽을 수 있다. 간척사업으로 파괴된 생태계를 조력발전을 통해 복구한 거의 유일한 사례다.심층의 빈산소 문제가 거의 해결되었으며, 영양염류의 유동 또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할 가치가 있음을 보여준다.[* (나공태, 김경태, 김종근, 김은수, 조성록, 강성현, 김성근. (2012.5). 시화호 수질특성과 조력발전소 가동에 따른 변화 연구. 대한조선학회 학술대회자료집,2300-2308.)] 더 나아가 생태계적 측면에서 주둥치와 같이 환경이 악화된 해역에서 서식하는 종이 채집되지 않음으로써 죽음의 호수라는 악명에서 벗어나기 시작했음이 보인다.[* (황선도. (2011.6). 인천만 조력발전예정지주변의 유영생물의 종조성 및 변화. 대한조선학회 학술대회자료집,395-395.)] 시화호가 처치곤란할 정도로 수질이 악화된 상황에서 어쩔 수 없이 건설한 사정은 있었다. 시대가 변해 멀쩡한 갯벌을 없애면서 조력 발전소 건설을 위해 바다를 막는 사업을 하자고 주장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 장점 == 1. 조석 현상으로 에너지를 얻으므로 태양 에너지같이 고갈 가능성이 희박하다. 1. 풍력, 태양열 등과 같이 외력에 취약하지 않고 일정한 주기성을 가져 안정적이다. 1. 조력발전을 위해 건설한 방파제를 육로로 이용. 강화도 조력발전소는 섬 네 곳을 잇는 방파제를 육로로 사용할 수 있는 설계상 장점이 있다. == 단점 == 1. 초기 설치 비용이 비싸다. 기본적으로 만의 입구에 방조제를 만드는 비용이 대규모로 들어가며[* [[시화호]] 조력발전소 자체는 경제성이 괜찮다고 평가받고 있지만, 시화호 전체를 조성할때 이미 [[시화방조제]] 조성 비용이 포함되었기 때문에 조력발전소 초기 투자비용의 상당부분이 반쯤 엎어져버린 시화호 간척사업으로 떠넘겨진 상태라고 봐야 한다.], 바닷물은 부식 및 침식성이 높아 특수한 설비가 많이 필요하다. 1. 발전소 주변의 해양환경을 크게 변화시킴. 1. 갯벌 훼손[* 서해안에 널린 게 갯벌이라 대수롭지 않게 생각할 수도 있지만, 의외로 갯벌은 지구상에 몇 곳 없는 극히 희귀한 지형이다.] 및 어류량 감소 등 환경파괴. 1. 조수 간만의 차이가 많은 곳이 적다보니 수력발전 이상으로 입지가 제한된다. == 관련 문서 == * [[파력 발전]] [[분류: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