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000,#e5e5e5 조동기의 감독 경력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부천 하나원큐 감독)]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dddddd 0%, #ffffff)" {{{+1 {{{#000000,#e5e5e5 ''' 대한민국의 농구감독 '''}}}}}}}}} || ||<-2> [[파일:external/imgnews.naver.net/1385374904486_59_20131125192708.jpg|type=w540]] || || '''이름''' || 조동기(趙東紀)[* [[풍양 조씨]] 평장사공파 24세손 기(紀) 항렬] || || '''생년월일''' || [[1971년]] [[5월 21일]] ([age(1971-05-21)]세) || || '''국적'''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출신학교''' || [[강원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강원사대부고]] - [[중앙대학교|중앙대]] || || '''포지션''' || [[센터(농구)|센터]] || || '''신체조건''' || 197cm, 96kg[* KBL 데뷔 시즌 몸무게로 보인다. 대학 및 상무 시절엔 너무도 마른, '''거의 [[스몰 포워드]] 수준'''의 몸매였다.] || || '''프로입단''' || 1994년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기아자동차]] || || '''소속팀''' ||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기아자동차]] (1994~1995) [br] [[국군체육부대|상무]] (군복무) (1995~1997) [br]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부산 기아 엔터프라이즈]] (1997~2001) [br]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울산 모비스 오토몬스]] (2001~2002) || || '''등번호''' || 13 || || '''국가대표 경력''' || 1995 서울 ABC [br] [[1996 애틀랜타 올림픽]] || || '''지도자 경력''' || [[부천 하나원큐|부천 신세계 쿨캣]] 코치 (2006~2012) [br] [[부천 하나원큐|부천 하나외환]] 감독 (2012~2014) [br] 중국 NBL[* 2부리그] 산시 시다 수석코치 (2014~????) [br] 춘천시장애인체육회 휠체어농구단 (2019~) || || 수상내역 || [[FIBA 아시아 선수권 대회|FIBA 아시아선수권]] 준우승 1회 (1995) || [목차] == 개요 == 대한민국의 前 농구선수 및 지도자. 포지션은 [[센터(농구)|센터]]. == 선수 생활 == === 고교-대학시절 === [[강원사대부고]] 3학년 시절 1년 후배 정병호(G,180cm), 신입생 [[김희선(농구)|김희선]](G,186cm) 등과 함께 만년 하위권이었던 강원사대부고를 1989년도 전국대회에서 2차례(동국대총장기, 쌍용기) 4강까지 올려놓으며 주목받았다. [[김유택]], [[한기범]] 등을 제외하면 190만 넘어도 센터로 뛸수있던 시절, 마른 체구이지만 장신(197cm)에 기동력까지 좋던 조동기는 금세 손꼽히는 센터 유망주가 되었고, 이른바 "센터 사관학교"로 불리던 [[정봉섭]] 감독의 중앙대로 진학하게 된다. 1990년 조동기가 입학할 당시, 중앙대는 센터 사관학교답게 4학년 [[김영래]](192cm), 3학년 [[표필상]](200cm), [[양형석]][* 현 중앙대 농구부 감독](195cm), 2학년 [[정경호(농구)|정경호]](202cm) 등 쟁쟁한 장신센터들이 이미 포진해있었고, 조동기는 2학년 때까지 후보선수에 머물렀다.[* [[정봉섭]] 감독은 [[김유택]]-[[한기범]] 시절부터 장신 더블포스트 신봉자였다. 이들의 졸업 후 스카웃한 [[표필상]]과 정경호가 고교 시절까지 특출난 기량을 보이지 못했음에도, [[정봉섭]] 감독은 이미 한번 성공했던 김유택-한기범 사례와 마찬가지로 이들을 금방 성장시킬 수 있다고 보고 끊임없이 기회를 주었다. 하지만 이 시기 [[중앙대학교|중앙대]]의 성적은 매번 아쉬웠는데, 대학연맹전에서는 2관왕, 3관왕을 쉽게 하면서도 농구대잔치에 나가면 실업 3강(기아, 현대, 삼성)은 물론 금융팀들에게조차 번번이 깨지고 말았다. 라이벌 연세대가 [[1991-92 농구대잔치|1991-92]], [[1992-93 농구대잔치]]에서 연이어 4강에 오른것에 비하면 투자(?) 대비 소득이 너무 적다는 평가였고, 정봉섭 감독은 성적에 대한 압박으로 인해 경기중 심판에 대한 무리한 항의와 폭언을 자주 하곤 했다.] 3학년때부터 4학년 [[정경호(농구)|정경호]], 2학년 안병익과 함께 번갈아가며 더블포스트를 이루었으며, 1992년 가을, 정봉섭 감독이 물러나고 28세의 [[강정수]] 감독이 부임하면서 중앙대는 팀컬러가 장신군단에서 속공과 강압수비의 팀으로 바뀌게 되었고, 기동력이 가장 뛰어났던 조동기는 정경호를 밀어내고 일약 주전센터로 등극하며 활약, 동기 백코트인 [[김승기(농구)|김승기]]-[[홍사붕]] 및 후배 [[김영만(농구)|김영만]]-~~[[양경민(1972)|양경민]]~~ 등과 함께 [[1992-93 농구대잔치]]에서 마침내 중앙대의 6강 진출을 이끌어낸다. 졸업반이던 1993년엔 [[서장훈]]이 입학한 연세대, [[양희승]], [[박재헌]]이 가세한 고려대의 골밑과 치열하게 대결하면서 중앙대를 [[1993 대학농구연맹전]] 2관왕(2차연맹전 공동우승, 전국체전 우승)에 올려놓았고, [[1993-94 농구대잔치]]에서는 리그 7위로 플레이오프에 올라 8강전에서 전대회 우승팀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기아자동차]]를 2승 1패로 누르고 4강까지 오르는 대이변을 연출하기도 한다.[* 1993-94 농구대잔치에서 중앙대의 4강 진출은 [[허재]]가 졸업한 1988년 이후 중앙대의 최고 성적이었다.] 당시 꽃미남 군단 연세대나 아직은 오빠였던 [[오성식(농구)|오성식]], [[정재근(농구)|정재근]]의 불사조 군단 [[국군체육부대|상무]]가 여성팬이 많았다면, 가드부터 센터까지 전방위로 압박하고 뛰어다니는 [[중앙대학교|중앙대]] 농구는 남성팬들의 유입을 이끌었다. ~~심지어 [[홍사붕]]도 인기있던 시절;;;~~ === 실업 및 프로 시절 === 국가대표슈터 [[문경은]]이나 대학동기 [[김승기(농구)|김승기]]에 비해 다소 조용한 스카웃을 통해 중앙대 선배들이 많았던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기아자동차]]에 입단하였다. [[한기범]]이 무릎부상으로 인해 언제 은퇴해도 이상하지 않은데다 [[김유택]]도 이미 30대의 노장이 된 상황에서[* 1994 히로시마 아시안게임을 끝으로 31세의 나이로 국가대표에서도 은퇴했다.], 조동기는 기존의 조현일(195cm)과 함께 기아자동차 세대교체의 기수가 될 것으로 보였으나... 이게 웬일!! [[1994-95 농구대잔치]] 중반에 들면서 갑자기 회춘하신 쌍돛대는 플레이오프부터는 연신 맹활약을 펼치기 시작했고, 플옵 4강전에서는 고려대의 국가대표 콤비 [[현주엽]]-[[전희철]]을 상대로 오히려 우세한 경기력을 펼치며 팀에 승리를 안겼다. 덕분에 조동기는 벤치에 자주 있어야만 했고, 농구대잔치 종료후 [[국군체육부대|상무]] 입대를 선택한다. 상무에서 90학번 [[김승기(농구)|김승기]], [[조성원]], [[문경은]], [[김재훈(농구)|김재훈]]에 91학번 [[이상민(농구)|이상민]]까지 "역대 최강의 군인팀"이라 불리는 호화멤버들을 입대동기로 만났고, 상대적으로 단신팀[* 당시 병역규정상 맨발 196 이상은 현역 입영대상 제외였고, 이로 인해 신발신고 197이었던 조동기가 팀 내 최장신이었다. 이 바람에 당시 상무에선 [[문경은]]도 가끔씩 [[파워 포워드|4번]]으로 뛰어야 했다. ~~그래도 [[박재일]]이 센터, [[김병철(농구)|김병철]]이 [[파워 포워드]](...)이던 98년 상무보단 훨씬 낫지만~~]인 상무에서 김재훈과 [[트윈 타워]]를 구축하며 중앙대시절처럼 달리는 농구의 중심이 되었다. 조동기를 비롯한 호화 멤버들의 활약속에 상무는 [[1995-96 농구대잔치|1995-96]], [[1996-97 농구대잔치]]에서 연속으로 결승전까지 진출하지만 각각 [[허재|허]]-~~[[강동희|동]]~~-[[김유택|택]][* 이때는 [[김영만(농구)|김영만]]까지 가세하여 "허동만"으로 불리기도 했다.]이 건재했던 기아자동차와 [[서장훈]]의 연세대에 무릎을 꿇으며 2연속 준우승에 그쳤다. 2년간 상무에서 주전으로 활약한 후 프로화된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기아]]로 복귀하며 골밑에 큰 힘이 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97-98시즌 개막을 앞두고 심각한 무릎부상을 입으면서[* 프로 데뷔를 앞두고 외인들과의 몸싸움을 대비해 체중을 갑자기 불린 것이 원인이었는데, 당시만 해도 체계적인 웨이트트레이닝 같은 게 없던 시절이라 그냥 체지방(...)만 늘린 것이라 해도 무방했고, 조동기 특유의 운동능력만 잃고 말았다. 비슷한 케이스로 같은 중앙대 출신 [[송영진(농구)|송영진]]이 있다.] 플레이오프를 앞두고서야 프로 무대를 밟을 수 있었다. 그러나 97-98 시즌 챔피언 결정전에서 센터 저스틴 피닉스가 부상~~이라 쓰고 태업이라 읽는다~~으로 벤치를 달구자 김유택과 함께 사실상의 주전 센터로 나서며 시리즈를 7차전까지 끌고 가는 등 활약했고[* 그 유명한 [[허재]]의 부상 투혼 경기], 1998-99 시즌에도 센터 [[제이슨 윌리포드]]의 부상 공백을 열심히 메우면서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부산 기아 엔터프라이즈]]가 3시즌 연속 챔피언 결정전에 오르는 데 기여한다. 이후 ~~기아왕조 킬러~~[[박수교]] 감독이 부임하면서 팀이 무너져가는 와중에도[* 1999-2002 3시즌동안 6위 → 9위 → 10위;;;] 백업 빅맨으로서 꿋꿋이 팀을 지켰으나 출장시간이 급격히 감소하면서 2001-02 시즌에는 단 5게임밖에 못 뛰었고, 2002-03 시즌을 앞두고 ~~기아왕조 피니셔~~ [[최희암]] 감독이 부임하면서 옛 기아 출신 선수들(~~[[강동희]]~~, [[김영만(농구)|김영만]])을 대거 정리할 때 이미 부상으로 신음하던 조동기는 겨우 30세에 은퇴를 선택한다. === 국가대표 === [[국군체육부대|상무]]에 갓 입대한 1995년 여름, 서울에서 열린 1995 아시아선수권대회 대표팀의 센터자원으로 처음 선발되나 우즈베키스탄, 아랍에미리트 등 약팀들과의 게임에만 나설뿐 정작 중요한 게임에서는 [[현주엽]]-[[전희철]]-[[정재근(농구)|정재근]] 등 주전 빅맨에 밀려 많은 기회를 얻지는 못했다. 기억남는 장면이라면 대회 개막전이었던 우즈베키스탄 전에서 [[문경은]]의 3점이 림을 한참 돌다가 막 들어가려는 참에 '''뛰어올라 팁인덩크(;;)를 꽂아넣으면서 3점을 2점으로 만들었던'''(;;;) 플레이 정도였다. 상무 시절의 맹활약 덕분에 1996 애틀랜타 올림픽 대표팀에도 합류하나 대표팀의 7연패 행진은 막지 못하고, "마르고 힘없는 센터는 국제무대에서 소용이 없다"는 교훈만 다시 한 번 일깨워준다. == 은퇴 후 == 미국으로 지도자 유학을 다녀온 후 [[2006년]] WKBL [[부천 하나원큐|부천 신세계 쿨캣]] 코치로 부임했다. [[2012년]] 신세계가 여자농구팀 해체를 발표했을 때 앞장서서 팀원들을 추스르면서 훈련을 지속하던 중, 팀이 [[하나금융지주]]로 인수되면서 [[부천 하나원큐|부천 KEB하나은행]]의 초대 감독자리에 올랐다. 그러나 2013-14 시즌 팀이 압도적인 꼴찌로 시즌을 마감함에 따라 재계약에 실패하면서 팀에서 물러났고, 이후 중앙대 선배이면서 사제지간인 [[강정수]] 감독과 함께 중국 프로농구 2부리그인 NBL의 산시 시더팀 코치로 부임하여 활동하였으며, 2019년 12월부터 춘천시장애인체육회 휠체어농구단에서 감독으로 활동중이다. == 여담 == 2001~2002 시즌이 한창이던 [[2002년]] [[2월 25일]], 압구정동에서 음주상태로 "엔터프라이즈"를 몰다가 단속에 적발, 면허취소된 적이 있다. [[부천 하나원큐|부천 신세계 쿨캣]] 코치 시절이던 [[2007년]], 36세의 나이로 당시로선 파격적인 11살 어린 신부와 결혼에 골인하며 "도둑"소리를 좀 들었다. == 관련 문서 == * [[농구 관련 인물(한국)]] *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선수단]]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농구 선수]][[분류:대한민국의 농구 감독]][[분류:춘천시 출신 인물]][[분류:1971년 출생]][[분류:1994년 데뷔]][[분류:2002년 은퇴]][[분류:센터(농구)]][[분류: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은퇴, 이적]][[분류:강원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 출신]][[분류:중앙대학교 출신]][[분류:풍양 조씨]][[분류:상무 농구단/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