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 학술원 회원)] ||<-2> '''대한민국 학술원 회원''' [br] '''{{{+1 조대경}}}[br]曺大京 | Jo Dae Gyeong '''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조대경 교수.jpg|width=100%]]}}} || || '''출생''' ||[[1932년]] [[1월 30일]] || || '''사망''' ||[[2023년]] [[8월 4일]] (향년 91세)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서울대학교]] {{{-2 (심리학 / 학사)}}}[br][[서울대학교]] {{{-2 (심리학 / 석사)}}}[br][[하이델베르크대학교]] {{{-2 (심리학 / 박사)}}} || || '''경력'''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교수[br]대한민국학술원 인문사회 제1분과 회원[br]한국심리학회 회장[br]서울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장[br]서울대학교 기획실장[br]서울대학교 미국학연구소장[br]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회장[br]도로교통공단 특별연구위원 || || '''가족''' ||배우자, 슬하 1남 1녀 조승현, 조승희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교수. == 생애 == 1932년 서울에서 태어났으며 6.25 전쟁에 참여했다. 이후 서울대 심리학과를 졸업한 뒤 독일 하이델베르크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66년부터 서울대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며 학생생활연구소장·기획실장·미국학연구소장 등 주요 보직을 지냈다. 또한 임상 심리학 육성에 관심을 두고 1967년에 처음으로 임상 심리학에 관한 책을 썼으며 임상 심리학보의 창간에도 기여했다. 일상에서 맞닥뜨릴 수 있는 실제적 문제에 대한 심리학적 접근을 강조하면서 심리학적 지식의 저변을 넓히는데 큰 역할을 하였으며, 1996년 대한민국학술원 회원이 되었고, 일본 학사원과의 교류에 기여하였다. == 사망 == [[2023년]] [[8월 4일]] 사망했다. 향년 91세. == 저서 == * 아이덴티티 - 청년과 위기 (1977) * 심리학 개론 (1984) * 정신분석학 입문 (1985) * 프로이드 (1987) * 꿈의 해석 (1993) 등 [[분류:대한민국의 교수]][[분류:1932년 출생]][[분류:2023년 사망]][[분류:서울대학교 출신]][[분류:서울대학교 재직]][[분류:서울대학교 대학원 출신]][[분류:대한민국의 심리학자]][[분류:6.25 전쟁/군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