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0c0c26, #0c0c26)" {{{#ffffff '''조니 뎁의 주요 수상 및 헌액 이력 ''' }}} }}} || ||<-1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역대 세자르 공로상 수상자)] ---- ||<-5>
{{{#e5d85c ''' 역대 [[골든글로브상|{{{#e5d85c 골든 글로브 시상식}}}]]''' }}} || ||<-5> [[파일:goldenglobe.png|width=55]] || ||<-5> {{{#e5d85c '''남우주연상 - 뮤지컬 및 코미디(영화)'''}}} || || ''' 제64회 [br] ([[2007년]]) ''' || {{{+1 → }}} || ''' 제65회 [br] ([[2008년]]) ''' || {{{+1 → }}} || ''' 제66회 [br] ([[2009년]]) ''' || || [[사샤 바론 코헨]][br]([[보랏: 카자흐스탄 킹카의 미국 문화 빨아들이기]]) || {{{+1 → }}} || '''조니 뎁[br]([[스위니 토드: 어느 잔혹한 이발사 이야기]])''' || {{{+1 → }}} || [[콜린 패럴]][br]([[킬러들의 도시]]) || ||<-5> || ---- ||<-5>
{{{+1 '''{{{#white 역대}}}''' [[미국배우조합상|[[파일:SAG-AFTRA_Logo.png|width=120]]]]}}} || ||<-5> [[파일:SAG Awards Logo.png|width=80]] || ||<-5> [[미국배우조합상/남우주연상|{{{#white '''영화부문 남우주연상'''}}}]] || || ''' 제9회[br]([[2003년]]) ''' || {{{+1 →}}} || ''' 제10회[br]([[2004년]]) ''' || {{{+1 →}}} || ''' 제11회[br]([[2005년]]) ''' || || [[다니엘 데이 루이스]][br]([[갱스 오브 뉴욕]]) || → || {{{#fff '''조니 뎁[br]([[캐리비안의 해적: 블랙 펄의 저주|{{{#fff 캐리비안의 해적: 블랙 펄의 저주}}}]])'''}}} || → || [[제이미 폭스]][br]([[레이(영화)|레이]]) || ||<-5> || ---- [include(틀: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입성자,한글명=조니 뎁,영어명=JOHNNY DEPP,분야=영화,입성날짜=1999년 11월 16일,위치=7018)] }}} || ---- ||<-2> {{{+1 '''조니 뎁'''}}}[br]Johnny Depp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Johnny Depp Dior 2023.jpg|width=100%]]}}}|| || '''본명''' ||'''존 크리스토퍼 뎁 2세[br]John Christopher Depp II''' || ||<|2> '''이명''' ||Johnny Depp^^([[예명]])^^[br]조니 뎁 || ||Mah-Woo-Meh[* "변신할 수 있는 사람"을 의미한다.] ^^([[코만치|코만치족 이름]])^^[* 2012년 [[론 레인저(2013)|론 레인저]]에서 톤토 역을 맡기 전에 미국의 원주민 부족 [[코만치]]의 일원이 되었다. 링크 참조: [[https://www.hollywoodreporter.com/lifestyle/style/dior-deletes-johnny-depp-sauvage-ad-backlash-native-american-depiction-1235733/|#]] [[https://www.hollywoodreporter.com/news/general-news/johnny-depp-adopted-by-comanche-indian-tribe-lone-ranger-tonto-327658/|#]] ][br]마우메 || ||<|2> '''출생''' ||[[1963년]] [[6월 9일]] ([age(1963-06-09)]세) || ||[[켄터키|켄터키 주]] 오언즈버러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거주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켄터키|켄터키 주]] 오언즈버러 ^^(1963년~1970년대)^^[br][[플로리다|플로리다 주]] 미라마 ^^(1970년대~1983년)^^[* 플로리다 주 미라마에 거주하기 전 20개의 지역들에 거주했다 한다.][br][[캘리포니아|캘리포니아 주]] [[로스엔젤레스]] ^^(1983년)^^}}}|| || '''학력''' ||미라마 고등학교^^(~1979년/중퇴)^^[* 록 음악가가 되기 위해 고등학교를 중퇴했다.] || || '''직업''' ||[[배우]], [[음악가]], [[화가]], [[프로듀서]] || || '''활동''' ||[[1984년]] ~ [[현재]] || || '''신체''' ||178cm, 70kg|| || '''서명'''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 border-radius: 4px;" [[파일:뎁 싸인.png|width=100]]}}} || ||<|2> '''링크''' ||[[https://www.neverfeartruth.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imdb.com/name/nm0000136/|[[파일:IMDb 로고.svg|height=20]]]] || ||[[https://instagram.com/johnnydepp|[[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facebook.com/JohnnyDepp/|[[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threads.net/@johnnydepp?igshid=OGQ5ZDc2ODk2ZA==|[[파일:Threads 아이콘.svg|width=20]]]]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기타 정보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가문''' ||뎁 가문 || || '''종교''' ||[[무종교]] {{{-2 ([[불가지론]])}}}[* 2014년 The Straits Times와 인터뷰를 했을 때 "직접 본 적이 없으므로 신이 존재하는지 잘 모르겠다"고 말했으며, 이후 미국 방송인 [[래리 킹]]과 인터뷰를 했을 때 가족과 미래를 믿는 것 외에는 믿는 종교가 없다고 말했다. 참조 링크: [[https://hollowverse.com/johnny-depp|#]] [[https://www.beliefnet.com/celebrity-faith-database/d/johnny-depp.aspx|#]]] || || '''지지 정당''' ||[include(틀:민주당(미국))][* [[2017년]] [[도널드 트럼프]]를 욕해서 논란이 생겼을 정도로 [[정치적 스펙트럼|정치적 성향]]이 [[자유주의|리버럴]] [[좌파]]에 가깝다. [[https://abcnews.go.com/Entertainment/white-house-responds-johnny-depps-assassination-remarks/story?id=48236038|#]]] || || '''부모''' ||아버지 존 크리스토퍼 뎁 1세[br]어머니 베티 수 팔머[br]의붓아버지 로버트 팔머 || || '''형제자매''' ||이부형 대니얼 뎁, 이부누나 데보라 뎁[br]누나 엘리사 크리스티 뎁뎀브로스키 || ||<|2> '''배우자''' ||로리 앤 앨리슨 ^^(1983 - 1985)^^ || ||[[앰버 허드]]^^(2015 - 2016)^^ || || '''파트너''' ||[[바네사 파라디]]^^(1998 - 2012)^^ || || '''자녀''' ||딸 [[릴리로즈 뎁]][*A 사실혼 관계였던 [[바네사 파라디]]와의 자녀들.], 아들 잭 뎁[*A] || || '''경력''' ||{{{-1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록 음악가[br]텔레마케터[br]배우[br]화가[br]프로듀서}}}}}} ||}}}}}}}}}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언어별 명칭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한국어|{{{#fff '''한국어'''}}}]] ||조니 뎁|| || [[영어|{{{#fff '''영어'''}}}]] ||Johnny Depp|| || [[러시아어|{{{#fff '''러시아어'''}}}]] ||Джонни Депп|| || [[중국어|{{{#fff '''중국어'''}}}]] ||強尼·戴普|| || [[일본어|{{{#fff '''일본어'''}}}]] ||ジョニー・デップ|| }}}}}}}}}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디올 조니 뎁.gif|width=100%]]}}} || [[미국]]의 [[배우]], [[음악가]], [[화가]], [[프로듀서]]. == 상세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조니 뎁 2023 프로필.jpg|width=100%]]}}}||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조니뎁 2023 프로필.jpg|width=100%]]}}} || '''섹시의 아이콘'''이자 [[할리우드]] 현지에서 남녀노소 가릴거 없이 가장 높은 인기를 자랑하는 배우이다. [[2000년대]]부터 꾸준히 선호도나 인기, 인지도 조사를 하면 1, 2위권 내를 다퉈왔던 배우이며 [[2010년대]] 이후 영화 흥행이 저조하고 사생활적으로도 [[조니 뎁-앰버 허드 법정공방|억울한 불미스러운 사건]]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2015년 미국인이 가장 선호하는 배우 2위에 오를 정도이다. 이는 페르소나였던 팀 버튼 감독의 독특한 세계관 탓도 있겠지만 남녀노소 할 것 없이 선호하는 배역들과 영화의 덕도 있었을 것이다. 특히 조니 뎁을 선호하는 계층이 밀레니엄 신세대라서 그 위치가 향후에도 견고할 것이라는 점이 특징이다.[* 1위는 이 시대 [[미국]]의 국민 배우 [[톰 행크스]].[[http://m.wikitree.co.kr/main/news_view.php?id=248178|#]]] == 인기 및 위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조니뎁리즈.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조니뎁.영화.gif|width=100%]]}}} || ||<#0c0c26> '''{{{#fff 조니 뎁의 리즈시절}}}''' ||<#0c0c26> '''{{{#fff 1991년 제48회 골든글로브 시상식}}}''' || 리즈시절 누구보다 섹시미 넘치고 퇴폐미가 있었으며 1990년대~2000년대 누구나 사랑하는 배우였고 아우라가 넘친 배우라고 칭송 받았다. 또한 현재 나이로 인해 신체가 많이 바뀌긴 하였지만 아직도 리즈시절때 만큼 이목구비가 매우 강하며, 신체에 비해 얼굴이 매우 작다. 또한 할리우드에서도 손꼽히는 동안으로 유명했으며 2000년대까지는 주름 하나 없는 동안이었으나 2010년대에 이르러서는 조금씩 주름이 늘어나더니 2020년대에 들어서는 확실히 예전에 비해 나이가 든 게 눈에 보인다. 다만 이 시기엔 앰버 허드와의 소송건으로 인해 스트레스 등으로 영향을 받은 것도 있으며 현재 모습도 주름이 늘긴해도 위에 서술한 바 같이 아직도 이목구비가 뚜렷해 그래도 60이 된 현재 나이에 비해 40대 후반에서 50대 초반으로 밖에 안 보이며 여전히 나이에 비해 동안이다.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llom_j0reYE)]}}} || || '''Johnny Depp Filmography 1984 - 2022''' || 2000년대 [[할리우드]]에서 천의 얼굴을 지닌 배우라 일컬을 정도로 상당한 연기력을 자랑한다. 실제로 [[미국]] 현지에서 미남 배우 라이벌들 중 연기력을 놓고 순위를 매겼을 때 평균적으로 높은 순위에 랭킹되는 이유도 캐릭터 소화력이 미치광이 이발사부터 기계 인간까지 아주 특이한 배역도 못 하는 역할이 없을 정도로 스펙트럼이 넓다는 것이다.[* 특히 이런 스펙트럼을 보여주는 것이 찰리와 초콜릿 공장의 '''[[윌리 웡카]]''', [[가위손]]의 '''에드워드 시저핸즈''', [[캐리비안의 해적]]의 '''[[잭 스패로우]]'''. 윌리 웡카의 경우 배우가 조니 뎁이라는 것을 나중에 알고 놀라는 팬들이 많다.] 데뷔 때부터 스타성 위주가 아닌 가위가 손인 괴기스런 주인공부터 맡기 시작해서 이러한 마이너한 캐릭터들을 메인스트림으로 끌어냈다는 것부터가 관건이다. 하지만 2012년 이후는 흥행과 비평면에서 일부분 실패했다. 단, 그 시기에 찍었던 영화들 대부분이 조니 뎁 이름빨만 믿고 대충 만든 소위 '못 만든 영화'라서 그렇기도 하다. 2000년대에는 항상 순위 조사할때 항상 1,2위권 내에 있었던 만큼 영향력이 매우 강하였고 2004년, 2005년, 2007년, 2008년에 걸쳐서 [[포브스]] 선정 '전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연예인' '''10위''', '''7위''', '''6위''', '''6위'''를 차지하였다. [[https://en.wikipedia.org/wiki/Forbes_Celebrity_100|#]] == 활동 == === 생애 초기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조니 뎁의 가족.jpg|width=100%]]}}}|| || {{{#fff '''과거 조니 뎁의 가족 사진'''}}} || || {{{-2 이부 형 대니얼 P. 뎁, 모친 베티 수 파머, 바네사 파라디, 조니 뎁, 이부 누나 데보라 J. 뎁, 그리고 친누나 엘리사 크리스티 뎁뎀브로스키가 있다.}}} || [[토목공학]] [[공학자|엔지니어]]인 존 크리스토퍼 1세와 웨이트리스였던 베티 수 파머의 4남매 중 [[막내]]로 태어났다. 이부 형 대니얼 P. 뎁, 이부 누나 데보라 J. 뎁, 동복 누나 엘리사 크리스티 뎁-뎀브로스키가 있다.[[https://www.distractify.com/p/johnny-depp-siblings|#]] [[https://hollywoodlife.com/feature/johnny-depp-siblings-4705485/|#]] [[https://vimbuzz.com/johnny-depp-siblings-daniel-depp-christi-dembrowski-debbie-depp/|#]] 존 크리스토퍼 1세와 베티 수 파머는 조니가 15살이 되는 1978년 이혼했으며, 모친인 베티는 로버트 파머와 결혼했다. 조니 뎁은 의붓아버지 로버트 파머와 친한 관계를 유지했으며, 로버트를 "영감을 주는 사람"이라고 했다.[[https://www.telegraph.co.uk/culture/film/starsandstories/5635464/Johnny-Depp-interview-for-Public-Enemies.html|#]] [[https://hollywoodcelebgossips.com/is-johnny-depps-stepfather-the-singer-robert-palmer/|#]] 다만 친모인 베티 수 파머와는 관계가 좋지 않았음이 이후 드러나는데, 조니 뎁의 누나 크리스티의 말에 의하면 화가 날 때마다 조니에게 재떨이를 던졌다 한다.[[https://www.thetealmango.com/latest/meet-betty-sue-palmer-johnny-depps-sister-reveals-their-mom-physically-abused-them/|#]] 1975년 조니 뎁이 12살이었을 때 모친 베티 수 파머가 기타를 선물로 주었다. 이후 다양한 밴드에서 활동하다가 록 음악가가 되기 위해 1979년 미라마 고등학교에서 중퇴했다. 중퇴하고 2주 후 고등학교에 재학하러 돌아갔지만 교장이 "음악가의 꿈을 쫓으라"고 말해서 중퇴하기로 했다.[* 2002년 Inside the Actors Studio 토크쇼 참조.] === 락커, 배우가 되다 === 1980년 '키즈'라는 록 밴드의 멤버로 플로리다 주에서 활동을 시작했다. 이후 로스엔젤레스에 밴드 멤버들과 함께 간 다음 밴드 이름을 "Six Gun Method"로 바꾸고 활동했다. 이 시기 [[텔레마케터]] 등 다양한 직업에 취업했다. 1983년 12월 소속된 록 밴드의 베이스 기타 연주자이자 보컬인 멤버의 누이이자 메이크업 아티스트인 로리 앤 앨리슨과 결혼했다. 그러나 밴드는 1984년 분열됐으며, 조니는 미국 록 밴드 "Rock City Angels"와 협동하면서 노래 작사를 맡았다. 그러다 1985년 앨리슨과 이혼했다. 여느 비인기 가수가 그렇듯이 가난한 음악 생활을 하며 살고 있었는데, 당시 그의 아내였던 로리 앤 앨리슨을 통해 친해지게 된 [[니콜라스 케이지]]의 권유로 배우 일을 시작했다. 처음에는 그저 집세를 내기 위한 임시방편으로만 생각했다고 한다. 배우가 된 이후에도 음악에 대한 그의 열정은 여전했는데, 90년대 중반에 미국 얼터너티브 록 밴드인 버트홀 서퍼스의 멤버와 함께 프로젝트 밴드인 P를 만들어 활동하였다. 더불어 [[잭 스패로우]] 캐릭터의 모티브를 [[롤링 스톤즈]]의 기타리스트 [[키스 리처즈]]에게서 따왔다고 밝히는 등 록 음악을 상당히 좋아한다. 이외에도 그는 2013년 55회 [[그래미 어워드]]에서 시상자로 등장하였다. === 데뷔초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NuE5OUKR75M)]}}}|| || '''▲ [[나이트메어 시리즈#s-3.1|{{{#ffffff 나이트메어: 엘름가의 악몽}}}]]''' || 1984년, 《[[나이트메어 시리즈#s-3.1|나이트메어 : 엘름가의 악몽]]》에서 풋풋한 [[고등학생]] 역 [[글렌 란츠]][* [[프레디 크루거]]에 의해 침대 밑으로 끌려들어간 뒤, 피가 분수처럼 위로 솟구쳐 오르며 사망하는 인물로 나왔다.]로 데뷔한 이래, 그는 1986년 [[올리버 스톤]] 감독의 《[[플래툰(영화)|플래툰]]》에서 [[베트남어]] 통역병으로 연기하는 등 초반에는 그다지 눈에 띄지 않았다. 신인시절 그는 다수의 하이틴드라마에 단역 및 조연으로 출연하기도 했으며, 1987년 TV 시리즈 《[[21 점프 스트리트]]》의 주인공을 맡아 91년까지 다섯 시즌에 출연했다.[* 2012년 리메이크된 영화판에서도 막판 [[카메오]]로 깜짝 등장하여 허무하게 죽임을 당한다. 더 이상 《21 점프 스트리트》에 출연하지 않겠다는 의미인 듯.] 여담으로 이 시리즈에는 단역으로 출연했던 신인 시절의 [[브래드 피트]]의 모습도 볼 수 있다. === [[팀 버튼]]의 [[페르소나#s-3]] ===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가위손.gif|width=100%]]}}}|| ||<-2><#0c0c26> {{{#ffffff ''' 영화 《[[가위손|{{{#ffffff 가위손}}}]]》에서'''}}}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슬리피 할로우 뎁.jpg|width=100%]]}}}|| ||<-2><#0c0c26> {{{#ffffff '''영화 《[[슬리피 할로우(영화)|{{{#ffffff 슬리피 할로우}}}]]》에서'''}}}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윌리웡카.jpg|width=100%]]}}}|| ||<-2><#0c0c26> {{{#ffffff '''영화 《[[찰리와 초콜릿 공장(2005년 영화)|{{{#ffffff 찰리와 초콜릿 공장}}}]]》에서'''}}}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스위니토드4.jpg|width=100%]]}}}|| ||<-2><#0c0c26> {{{#ffffff '''영화 《[[스위니 토드: 어느 잔혹한 이발사 이야기|{{{#ffffff 스위니 토드: 어느 잔혹한 이발사 이야기}}}]]》에서'''}}}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모자장수4.jpg|width=100%]]}}}|| ||<-2><#0c0c26> {{{#ffffff '''영화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영화)|{{{#ffffff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에서'''}}}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다크 쉐도우 뎁.jpg|width=100%]]}}}|| ||<-2><#0c0c26> {{{#ffffff '''영화 《[[다크 섀도우|{{{#ffffff 다크 섀도우}}}]]》에서'''}}} || 그러다가 [[팀 버튼]] 감독의 1990년작 《[[가위손]]》의 주연으로 음울함과 동시에 따뜻한 마음을 가진 가위손 에드워드를 연기하여 세간의 주목을 받았다. 그 후 팀 버튼 감독의 [[페르소나]]가 되어서《[[에드 우드(영화)|에드 우드]]》, 《[[찰리와 초콜릿 공장(2005년 영화)|찰리와 초콜릿 공장]]》, 《[[슬리피 할로우(영화)|슬리피 할로우]]》, 《[[스위니 토드: 어느 잔혹한 이발사 이야기]]》,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영화)|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다크 섀도우]]》, 《[[가위손]]》,《[[유령신부]]》 등등 수 많은 작품을 함께 찍었으며, 그중《[[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영화)|이상한 나라의 앨리스]]》는 전 세계 흥행 10억 달러를 돌파하며 팀 버튼 감독 연출작 중 최대 흥행작이 되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팀버튼 & 조니뎁.jpg|width=100%]]}}} || ||<#0c0c26> '''{{{#fff 팀 버튼 감독과 조니 뎁}}}''' || 뎁은 팀 버튼과 사적으로도 굉장히 친하며, 사실 버튼 작품 말고도 비주류 및 인디 영화에도 많이 출연했다. 대표적으로 [[짐 자머시]]의 《데드 맨》. 버튼의 영화에서 감독의 전 [[여친|연인]] [[헬레나 본햄 카터]]하고 삼콤비를 이룬 적도 많은데, 카터 본인도 "남편이 영화에서 절친하고 사귀게 해 준다"라고 농담하기도. 초기엔 가위손 이미지가 너무 강해서 마음고생이 심했다고. 이후로도 가족들이 본인을 편안하게 볼 수 있는 정상적인 인간 배역을 원했지만 뭘 찍어도 가위손 배우의 이미지를 벗어나지 못했었다. 하지만 후술할 배역 덕분에 드디어 그 이미지를 벗어나게 됐다. === [[잭 스패로우|해적왕]] 등극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편잭.jpg|width=100%]]}}}|| || '''영화 《[[캐리비안의 해적 1|{{{#ffffff 캐리비안의 해적: 블랙 펄의 저주}}}]]》에서'''[* 캐리비안의 해적 촬영 당시의 전성기 모습으로 빛나는 외모와 연기력 모두 찬사를 받았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잭 스패로우.7-1.gif|width=100%]]}}}|| 그가 본격적으로 전 세계적인 슈퍼스타가 된 결정적인 작품은 메가히트작인 '''[[캐리비안의 해적 시리즈]]'''이다. 그는 이 작품에서 희대의 매력적인 주인공인 캡틴 '''[[잭 스패로우]]'''를 연기하였는데, 그가 연기하였던 잭 스패로우는 기존의 호탕하고 통쾌한 해적의 영웅과 같은 모습을 비틀어 약간 허술하고 비열한 [[안티히어로]]의 역할을 훌륭히 연기해 냈다. 매번 기괴하고 작가주의 성향이 짙은 작품에만 출연했던 뎁은 아이들과 같이 볼 수 있는 영화를 찍기를 원했는데, 마침 캐리비안의 해적 시리즈가 그의 아이들이 좋아할 만한 영화라고 생각되어 출연했다. [[캐리비안의 해적 시리즈]]는 여러 편이 '''9~10억 달러 이상을 돌파하는 대흥행'''을 기록하며 대성공을 했고 조니 본인은 이 작품으로 '''[[아카데미 시상식]] 남우주연상에 노미네이트'''된다. 여담이지만 이 영화 3편에서 그가 잭 스패로우의 이미지를 따왔다고 했던 [[롤링 스톤즈]]의 멤버 [[키스 리처즈]]가 잭의 아버지로 [[카메오]] 출연하기도 했다. 이 역시 뎁의 활약이 컸다고 한다. 그는 캐리비안의 해적 시리즈에 대한 애정이 깊어 주요 배역들이 빠진 4편에 홀로 출연하기도 했으며, 이후 시리즈에도 출연 계약을 했다.[* 하지만 2018년, 캐리비안의 해적 각본가인 스튜어트 베티가 조니 뎁은 이미 캐리비안의 해적 시리즈에서 하차했으며 다른 배우를 영입하여 차기작을 촬영 중이라고 밝혔다.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6977751&memberNo=15205863&vType=VERTICAL|#]] 이후 뎁이 앰버 허드와의 법정 공방 때 한 증언과 인터뷰에 따르면 소송이 장기화되자 디즈니 측에서 사실확인도 없이 바로 자신을 시리즈에서 배제하고 새로운 배우를 영입한다는 소식에 배신감을 느껴 복귀하고 싶지 않다고 밝혔다. 루머에 따르면 뎁이 승소하자 디즈니 측에서 태도를 바로 바꿔 조니 뎁을 다시 잭 스패로우 역으로 복귀시키려고 물밑에서 제안했다고 한다. 여론 또한 디즈니를 비판하면서도 뎁의 복귀를 기대하고 있지만 디즈니와 뎁의 충돌은 시리즈 초반부터 있었던지라 복귀는 요원해 보인다.][* 디즈니와 조니 뎁은 캐리비안 시리즈 초반부터 삐걱거린 걸로 알려졌는데, 유명한 일화로 블랙 펄의 저주 개봉 후 디즈니 임원들은 잭 스패로우가 '''게이''' 같아 영화를 망쳤다고 불평했다. 이에 뎁은 '''"몰랐어요? 내가 맡은 캐릭터가 다 그런데요"'''라는 말로 응수했으며, 이 이후로 둘의 관계는 냉랭해졌지만 적어도 4편까지는 뎁이 캐릭터의 대사를 직접 쓰는 등 어느 정도 시리즈의 제작에 관여할 수 있었다. 그러나 법정 증언에서 결국 디즈니는 5편에서 뎁을 대사 작업과 제작에서 제외시켰기에, 이 시점에서 뎁도 분노가 폭발했다고 한다.] 해적왕으로서의 일화로 '베이비버드(Babybird)'의 보컬 스티븐 존스가 강도를 당할 때 조니 뎁이 '그냥 가라'라고 경고했고, 강도는 "잭 스패로우 선장한테 돈을 훔칠 순 없지"라고 말하며 그냥 가려고 했다.[[http://starcasm.net/archives/45658|출처]] === 해적에서 [[그린델왈드|마법사]]로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조니 뎁 그린델왈드.jpg|width=100%]]}}}|| || ''' 영화 《[[신비한 동물들과 그린델왈드의 범죄|{{{#ffffff 신비한 동물들과 그린델왈드의 범죄}}}]]》에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그린델왈드3.gif|width=100%]]}}}|| 이후 해리 포터 시리즈의 스핀오프작인 [[신비한 동물사전(영화)|신비한 동물 사전]] 시리즈에서 메인 악역인 [[겔러트 그린델왈드]]를 맡아 열연을 펼쳤다. [[신비한 동물사전(영화)|1편]]에서는 결말에 반전을 주는 역할이라 캐스팅 소식이 밝혀지지 않았다가, [[신비한 동물들과 그린델왈드의 범죄|2편]]부터는 부제를 담당할 정도로 메인 악역으로서의 존재감을 과시하며 호평 받았다. 그러나, 2020년 11월 영국 언론사 [[The Sun|더 선]]과의 명예훼손 소송에서 패소한 이후, 안타깝게도 시리즈에서 하차했다. [[https://www.instagram.com/p/CHQXHimJvAC/?igshid=dl4su73fknmg|인스타그램.]] 다만, [[워너 브라더스]] 측과 계약 내용에 따라 이미 촬영한 분량이 있기에 [[신비한 동물들과 덤블도어의 비밀|3편]]의 출연료는 [[https://www.hollywoodreporter.com/movies/movie-news/behind-warner-bros-decision-to-sever-ties-with-johnny-depp-4090082/|전액 지급 받는다.]] 그의 하차 이후 [[겔러트 그린델왈드]] 역의 배우는 3편에서 [[매즈 미켈슨]]으로 변경 되었다. [[캐리비안의 해적 시리즈]]의 [[잭 스패로우]]를 계속 맡게 될지도 불확실해졌고, 이후 하단에 설명되어 있듯이 뎁은 재판 결과에 상관없이 더 이상 잭 스패로우 역할을 하지 않겠다고 공언했다. 다만 잭 스패로우 배역 하차는 소송이 문제가 된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조니 뎁이 만들어낸 캐릭터성을 무시하고 그 권한마저 박탈해버린 디즈니와의 갈등이 원인이었다. === [[조니 뎁-앰버 허드 법정공방|6년간의 변화]] 승소 이후 명예회복[* 2022년 6월 1일 조니 뎁의 인스타그램에서 앰버 허드와의 사건이 일어난 2016년 이후 자신과 자식들, 지인들, 자신을 믿고 지지한 사람들의 삶이 영원히 바뀌었다(forever changed)고 말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swWz46w5VA)]}}}|| || '''앰버 허드와의 명예훼손 재판에서 승소한 조니 뎁''' || 2022년 6월 1일 미국 버지니아 주의 조니 뎁 대 앰버 허드 명예훼손 재판에서 조니 뎁이 승소하면서 2016년 앰버 허드의 [[가정폭력]] 주장이 '''허위'''로 밝혀져 실추된 명예가 회복되었다. 그러나 재판 동안 조니 뎁이 이후 [[잭 스패로우]] 역을 맡지 않겠다고 말했으므로 앞으로 배우로 어떻게 복귀할지는 미정인 상황이다. >Six years ago, my life, the life of my children, the lives of those closest to me, and also, the lives of the people, who for many, many years have supported and believed in me were forever changed. > >All in the blink of an eye. > >False, very serious and criminal allegations were levied at me via the media, which triggered an endless barrage of hateful content, although no charges were ever brought against me. It had already traveled around the world twice within a nanosecond and it had a seismic impact on my life and my career. > >And six years later, the jury gave me my life back. I am truly humbled. > >My decision to pursue this case, knowing very well the height of the legal hurdles that I would be facing and the inevitable, worldwide spectacle into my life, was only made after considerable thought. > >From the very beginning, the goal of bringing this case was to reveal the truth, regardless of the outcome. Speaking the truth was something that I owed to my children and to all those who have remained steadfast and in their support of me. I feel at peace knowing I have finally accomplished that. > >I am, and have been, overwhelmed by the outpouring of love and the colossal support and kindness from around the world. I hope that my quest to have the truth be told will have helped others, men or women, who have found themselves in my situation, and that those supporting them never give up. I also hope that the position will now return to innocent until proven guilty, both within the courts and in the media. > >I wish to acknowledge the noble work of the judge, the jurors, the court staff and the Sheriffs who have sacrificed their own time to get to this point, and to my diligent and unwavering legal team who did an extraordinary job in helping me to share the truth. > >The best is yet to come and a new chapter has finally begun. > >Veritas nunquam perit. >The truth never perishes. > >01.06.2022 >U.K. >Johnny Depp >---- >6년 전, 제 삶, 제 아이들의 삶, 저와 가장 가까운 사람들의 삶, 그리고 오랜 세월 동안 저를 지지하고 믿어왔던 사람들의 삶은 영원히 바뀌어 버렸습니다. > >눈 깜짝 할 사이에 일어난 일이었습니다. > >허위적이고, 매우 중대한 범죄적 혐의들이 언론을 통해 제게 부과되었고, 제가 기소당하지도 않았는데도 증오에 찬 내용의 끝없는 폭격을 촉발시켰습니다. 그것은 이미 1나노초 만에 세계를 두 번 여행했고 제 삶과 경력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습니다. > >그리고 6년 후, 배심원단은 제 삶을 돌려주었습니다. 이에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제가 직면하게 될 법적 장애의 높이와 피할 수 없는 전 세계적인 광경을 잘 알고 있었기 때문에 이 사건을 계속 진행하기로 한 저의 결정은 심사숙고 끝에 내려졌습니다. > >애초부터 이 소송을 제기한 목표는 결과에 상관없이 진실을 밝히는 것이었습니다. 진실을 말하는 것은 내 아이들과 나를 변함없이 지지해 준 모든 사람들에게 빚진 것입니다. 이를 이뤄냈음을 깨닫고 마침내 제 마음의 평온을 되찾음을 느낍니다. > >저는 여태까지, 그리고 지금 역시 전 세계에서 쏟아지는 사랑과 엄청난 지지와 상냥함에 압도되었습니다. 진실을 말하려는 저의 모험이 남자든 여자든 제 처지에 놓인 다른 사람들에게 도움이 됐으면 좋겠고, 그들을 지지하는 사람들은 절대 포기하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저는 또한 법원과 언론이 유죄가 입증될 때까지 무죄라는 입장으로 되돌아가길 바랍니다. > >여기에 이르기 위해 자신의 시간을 희생한 판사, 배심원, 법원 직원, 보안관들의 고귀한 노고에 감사드리며, 제가 진실을 공유하도록 도와주신 근면하고 포기하지 않는 저의 법무팀에게 감사드립니다. > >최고의 순간은 아직 오지 않았고 마침내 새로운 장이 시작되었습니다. > >Veritas nunquam perit. >진실은 죽지 않습니다. > >2022년 6월 1일. >영국에서, >조니 뎁 >---- > - 조니 뎁의 2022년 6월 1일 재판 승소 이후 성명[[https://www.instagram.com/p/CeRl1FwMmR6/|#]][* 조니 뎁은 승소 판결 당시 재판장에 없었으므로 대신 인스타그램에서 성명을 발표했다. 사실상 조니 뎁의 2016년 이후 삶과 심정을 알게 해주는 글이라고 할 수 있다.] === 영화계 복귀 === [[루이 15세]] 역할의 영화 [[잔 뒤 바리]]로 복귀한다.[[https://deadline.com/2022/08/johnny-depp-amber-heard-new-film-movie-king-louis-maiwenn-image-1235088071/|#]] 그 외에 이탈리아 예술가 [[아메데오 모딜리아니]]에 대한 전기 영화 연출도 맡는다.[[https://www.hollywoodreporter.com/movies/movie-news/johnny-depp-direct-modigliani-biopic-al-pacino-1235198846/|#]]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OSalvfWhdFA)]}}}|| || '''팬을 위해 잭 스패로우로 분장한 조니 뎁''' || >“So, Capt. Kori, terribly sorry I missed out on this. Meant to say it, forgot to say it, didn't say it, gonna say it now. Saying it, I'll say it. I hear tell of something they speak about in the ages of now called the YouTube channel, which I don't understand, but why not?... I think it will make for a wonderful entertainment expertise momentary lapse of togetherness altogether in one space, but far apart, but then, at the same time, very close. Curious, enduring and strange." >---- >"그래서, 코리 선장님, 이걸 놓쳐서 정말 미안해요. 말하려고 했는데, 말하는 것을 깜빡하고, 말하지 않았는데, 지금 말할 거에요. 말하자면, 말해줄게요. 저는 사람들이 지금은 유튜브 채널이라고 불리는 시대에 대해 이야기한다는데 저는 이해할 수 없지만, 그거 좋지 않아요?... 저는 한 공간에서 함께 있는 것이 순간적으로 떨어져 있지만, 동시에, 매우 가까운 것을 만들어낼 것이라고 생각해요. 궁금하고, 참을 수 있는데, 이상하네요." >---- > - 잭 스패로우로 분장한 조니 뎁의 영상 메시지 [[https://movieweb.com/johnny-depp-returns-captain-jack-sparrow/|#]] 2022년 12월 12일 [[캐리비안의 해적 시리즈]]를 좋아하고 불치병에 걸린 11살 유튜버 코리를 위해 코리의 Kraken The Box의 유튜브 채널에서 [[잭 스패로우]]로 분장한 채로 영상 메시지에서 출연했다. 12월 14일 뎁은 코리와 7~8분간 영상 통화를 했으며, 코리에게 선물로 [[플레이스테이션 5]]와 [[소닉 프론티어]] PS5판을 주면서 아래의 내용의 편지를 선물과 함께 보냈다. [[https://www.youtube.com/watch?v=SpEoL4xVce8|#]] [[https://www.youtube.com/watch?v=_iB93oFYLUc|#]] >Enjoy my fellow Captain! I'm looking forward to seeing you play on the youtubes. > >From Captain Jack > >---- >선장님, 즐기십시오! 저는 선장님이 유튜브에서 게임을 하는 것을 고대하고 있습니다. > >선장 잭으로부터 > >---- > - 잭 스패로우로 분장한 조니 뎁의 선물에 포함된 편지 [[https://www.youtube.com/watch?v=_iB93oFYLUc|#]] 선물을 받은 코리와 코리의 부모는 잭 스패로우 선장에게 선물을 보내서 고맙다고 말했으며, 이후 플레이스테이션 5 게임을 재미있게 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공식적으로 영화에 출연한 이후 [[잭 스패로우]]로 잭 스패로우를 좋아하는 어린 팬을 위해 오랜만에 출연한 것이라서 팬들이 기뻐하고 있다. 다만 [[캐리비안의 해적 시리즈]]에서 직접 [[잭 스패로우]]로 복귀할지는 여전히 요원하다. 12월 13일 [[캐리비안의 해적 6(가제)]]의 제작자 [[제리 브룩하이머]]는 AP통신 [[인터뷰]]에서 조니 뎁의 복귀 루머에 대한 질문을 받고 "작업 중이며, 아직 확정된 것은 없다. 우리는 각본 작업을 위해 작은 걸음을 계속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https://collider.com/pirates-of-the-caribbean-jerry-bruckheimer-johnny-depp-return-comments/|#]] 뎁 본인은 현 시점 디즈니와 워너가 계약을 해지할 때 너무 칼같이 해지해버려서인지 돌아 올 일 없다고 하고는 있으나 팬에 대해서는 각별한 그이기에 아직 지켜볼 일이였으나, 사실상 제의를 거절했다는 보도가 나왔다.[[https://n.news.naver.com/entertain/article/609/0000737309|#]] == 사생활 == 배우가 되기 전 록밴드의 멤버로 활동하던 시절, 동료 멤버의 친척인 메이크업 아티스트 로리 앤 앨리슨과 만나 스무 살이라는 어린 나이에 결혼했다. 2년 만인 1985년에 이혼했으나 그는 "후회하지 않는다. 좋은 경험이었고 많은 것을 배웠다"고 회상했다. 그 후 드라마 《[[21 점프 스트리트]]》에서 만난 배우 쉐릴린 펜과 3년간 교제하며 약혼도 했으나 파혼했다. 제니퍼 그레이와도 2개월이라는 짧은 연애 기간 동안 약혼과 파혼을 거쳤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뎁 위노나.jpg|width=100%]]}}} || ||<#0c0c26> '''{{{#fff 조니 뎁과 위노나 라이더}}}''' || 그 다음 만난 [[위노나 라이더]]와 가장 열렬한 사랑을 했던 것으로 보인다. 1989년 라이더가 출연한 영화의 뉴욕 프리미어에서 처음으로 마주쳤으며 서로에게 첫눈에 반했다고 한다.[* 그 순간 흘러나오던 노래가 베를린의 Take My Breath Away였다는 사실을 두 사람 다 기억하고 있으며, 자신들이 소중하게 여기는 노래들 중 하나라고 밝히기도 했다.] 만나기 시작한 지 다섯 달 후 약혼했고, 라이더가 영화 촬영 중 과로로 쓰러졌을 때는 뎁이 라이더를 돌보기 위해 동거를 시작했다. 인터뷰에서 "위노나와 나눈 감정은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경험한 그 어떤 것과도 비교할 수 없다" 또는 "거의 나 자신보다도 그녀를 더 사랑한다"라는 말을 남기는 등 각별한 애정을 드러내며 공개 연애했다. 4년간의 교제 후 1993년 결별했으나, 그 뒤로도 가끔 함께 식사하거나 서로를 응원해 주며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최근에는 뎁이 자신의 명예훼손 재판들에서 증인으로서 증언을 요구하자 [[https://twitter.com/nickwallis/status/1283743371090186240?s=20|"자신이 아는 한 그럴 사람이 아니다."]]라며 옹호하는 발언을 했다.[* 다만 이 증언은 뎁 측에서 증거로 아예 사용하지 않았다.[[https://twitter.com/nickwallis/status/1283726863177842688?s=20|출처]]] 그러나 2021년 5월, [[https://www.hollywoodreporter.com/lists/hollywood-most-powerful-lawyers-2021/|THR]]의 기사 속 라이더의 변호사 소개글에 따르면 라이더는 [[The Sun|더 선]]과 뎁의 명예훼손 재판에서 위에서 발언한 옹호 발언을 무효화하길 원했다고 한다. 이후 여러 배우 및 모델들과 수많은 염문을 낳다가 [[케이트 모스]]와 만나기 시작했는데, 1994년부터 1997년까지 사귀면서 이때 역시 약혼과 파혼을 반복했다. 모스와의 연애는 마약과 퇴폐적인 생활로 떠들썩했으며 94년에는 호텔 방에서 싸우다 기물파손죄로 뎁이 체포되기도 했으나, 여러 인터뷰들을 살펴보면 모스가 뎁에게 정신적으로 많이 의지했던 것으로 보인다. 한편 [[팀 버튼]]은 뎁이 모스를 진심으로 사랑했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는 말을 하기도 했다.[* "I believe he never really loved Kate. I mean, I love Johnny like a son, but he never was the same. I believe, also know, he belongs with Winona. So many people try to tell him they should just talk. They never say anything."] 케이트 모스와 데이트 할 때의 어느 일화. 두 사람이 영국의 한 호텔에 숙박할 때 조니 뎁은 호텔 측에게 '[[샴페인]]으로 욕조를 채워달라'라고 요청했다. 호텔 측에선 추가 비용을 받고 요청대로 샴페인 욕조를 준비했다. 샴페인 36병을 부었으며, 당시 돈으로 약 750파운드가 들었다고. 그런데, 조니 뎁과 케이트 모스가 잠시 호텔을 떠난 사이 객실을 청소하던 직원은 이게 샴페인인 줄 모르고 욕조 마개를 열어서 버렸다고 한다. 두 사람이 호텔로 돌아온 뒤 이 사실을 알게 되자 깔깔 웃으며 없던 일로 여기고 넘어갔다고. [[https://www.independent.co.uk/news/mumm-s-the-word-as-pounds-750-bath-loses-its-fizz-1141109.html|#]] [[https://youtu.be/kcTkUr6GIyw?t=189|주락이월드 영상]] 1998년부터 그는 프랑스의 가수 겸 배우 [[바네사 파라디]]와 동거하며 딸 [[릴리 로즈 뎁]]과 아들 잭 뎁을 낳았다. 2012년까지 14년간 사실혼 관계를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은 물론 아이들이 있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그런데 2012년 초에 뎁-파라디 커플의 파경설이 돌기 시작했는데, 뎁의 상대로 지목된 여성은 프랑스 출신의 여배우 [[에바 그린]]. 그린이 워낙 한 포스 하는지라 "그럴 만하다" 혹은 "넘어가지 않는 것이 이상하다"라는 반응이 나왔다. 뎁은 그린과의 스캔들에 관해 직접적인 언급을 하지 않았으며, 마찬가지로 그린도 이에 대한 어떠한 반응도 보이지 않았다. 뎁과 파라디 둘 다 파경설 직후 이를 부정했지만, 결국 2012년 6월에 뎁이 파라디와의 결별을 공식적으로 인정. 뎁 측과 파라디 측의 결별 사유가 서로 다르다는 이야기가 있는데, 뎁은 파라디의 성격에 질려서이고 파라디는 뎁의 여성 관계에 질려서 결별했다고. 다만 그와는 별개로 사이는 나쁘지 않은 듯하다. === [[조니 뎁-앰버 허드 법정공방]]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조니 뎁-앰버 허드 법정공방)] == 자녀 == 유명한 [[딸바보]]로, 딸이 낙서한 셔츠를 입고 다닌다든가, 딸이 플라스틱 구슬을 꿰어 만들어 준 장난감 팔찌를 패션 아이템처럼 항상 착용하고 다닌다든가 하는 이야기는 유명하다. 재밌는 점은 할리우드 가십에서 형편없는 센스라고 사정없이 까다가 딸아이가 만들어준 것이라는 그의 해명이 세간에 돌자마자 이에 대한 [[탈룰라(인터넷 밈)|대중들의 반응은 급격하게 변하였다.]] 더하여 그는 딸과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해 바비 인형(!)을 갖고 함께 놀기도 했다. 열심히 연구해 다양한 톤의 목소리로 인형놀이를 함께 하자 딸은 짜증을 내며 "아빠! 원래 목소리로 돌아와요!"라고 말했다. 딸의 이름은 [[릴리로즈 뎁|릴리로즈 멜로디 뎁]]. 언론에 상대적으로 덜 부각되기는 하지만 그는 슬하에 아들도 두었다. 그의 아들의 이름은 잭이다. 《찰리와 초콜릿 공장》같은 경우는 딸이 '''자신이 영화에 나오길 바라서''' 출연했다는 말이 있다. 그는 평소 블록버스터 영화는 그다지 좋아하지 않았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가 《캐리비안의 해적》에 출연한 이유는 출연작 중 아이와 공감할 수 있는 영화가 많지 않았기 때문에 딸아이와 함께 보고 공감할 수 있는 영화를 찍고 싶어서 출연했다고 한다. 당시 그의 딸은 4살이었다. 과연 그는 딸바보다. 그런데 《캐리비안의 해적》 시리즈는 PG-13. 다만 딸과 아들은 [[스파이더맨]]을 더 좋아한다는 듯하다. 잭 스패로우 목소리로 '헤이~ 꼬마들, 어때?'라고 꼬셨는데, 반대로 '아빠 스파이더맨 보러 가지 않을래?'라고 대꾸해서 섭섭했다고 한다. 그래도 아이와 공감대를 형성하려는 노력이 헛되지 않았는지, 자식들이 사춘기에 접어든 후에도 많은 대화를 나누고 있는 모양이다. 릴리 로즈가 16세 때 LGBT 화보 프로젝트 참가로 커밍아웃을 하여 사람들을 놀라게 했는데, 이에 대해 묻는 인터뷰에서 조니 뎁은 이미 예전에 딸이 얘기해 주어서 알고 있었다고 답했다. 그는 릴리 로즈의 커밍아웃을 자랑스럽게 생각하며, 결정은 아이들의 몫이고 자신이 해 줄 것은 부모로서 아이를 응원하는 것뿐이라고 말했다. 2020년, [[The Sun|더 선]]과의 명예훼손 재판에서 [[https://people.com/movies/johnny-depp-says-he-gave-daughter-lily-rose-weed-at-13/|딸이 13살 때 대마초 피우는 것을 권장했다고 밝혔다.]] 자세한 사유를 묻자 "[[마리화나]]는 권장하지 않았다. [[대마초]]는 긴장감 해소, 불면증 완화, 행복감, 안정감을 줄 수 있다. 파티에 가서 만난 모르는 사람들이 권하는 것들이 마약과 술의 첫 경험이 되기를 원하지 않았다. 이것은 안전의 문제다. 밖에서 하는 것보다는, 나에게 숨기지 않고 정직하길 바랐다. 내가 피우는 마리화나는 무척 믿을 만한 것이지만, 바깥세상의 마약들은 위험하다. 난 책임감 있는 부모로서 행동한 것이다."라고 말했다. 이후, 릴리 로즈가 준비 되었다고 말하자 딸의 엄마인 [[바네사 파라디]]와 상의 후에 결정했다고 한다. 그는 아이가 생기기 전에는 [[히피]] 기질이 있었고 그래서 그는 [[담배]]도 피우고 [[마약]]도 하였으나, 아이가 태어난 이후에는 사람이 완전히 변했다고 한다. 스스로도 인터뷰에서 '내 인생은 딸이 태어나기 전과 후로 나뉜다'라고 말했을 정도다. 딸아이가 신장병에 걸렸던 2007년에 그는 모든 활동을 중단했고, 아이의 병이 치료된 후에는 병원에 100만 파운드를 기부했다. 이건 정말 부모 마음인 듯하다. 덤으로 그는 10년 가까이 동거 상태였던 아이들의 어머니이자 연인 파라디에게 결혼 신청을 한 것도 딸이 병에 걸렸던 것이 큰 작용을 했다고 한다.[* 당시 파라디는 결혼이 무섭다는 이유로 프러포즈를 거절했다. 그러나 그 후에도 2012년 결별 전까지 사실혼 관계를 유지했다.] 전 여친 파라디가 [[프랑스인]]이라 그런지는 몰라도, 뎁은 [[프랑스어]]를 할 줄 안다. 다만 능숙하게 말할 수 있는 정도는 아니고 약간 말할 줄 아는 정도라 오히려 자녀들이 자신의 프랑스어를 바로잡아 준다고 한다.[* 프랑스 세자르 영화제에서 시상자로 나온 적이 있는데, 소형 카세트 플레이어를 함께 가지고 나왔다. 그는 직접 프랑스어를 하지 않고 대신 프랑스어 지도를 받아 연습한 듯한 자신의 목소리를 미리 녹음해 둔 카세트테이프를 재생하였다. 객석의 반응은 웃는데 웃는 게 아닌 그저 그런 반응을 보였다. 조니 뎁은 대중들을 웃기려는 마음에서 이를 한 것이겠지만 객석에는 자신들의 언어에 큰 자부심을 갖고 있는 프랑스인들이 가득하였다.] == 논란 및 사건 사고 == * 2017년 1월, 함께 사업을 진행하던 전임 매니저들 15명을 2500만 달러에 고소했다. 소송 사유는 업무상과실, 사기, 과실치사, 부당이득 등 11가지. 뎁 측은 전 재산을 믿고 맡겼지만 수백만 달러를 사기당했다고 밝혔고, 전임 매니저들의 대표인 조엘 만델과 로버트 만델 측은 "17년 동안 뎁의 방탕한 지출 생활 속에서도 자산을 지켜주려 노력했다. 2012년, 뎁이 은행 대출을 갚지 못해 파산할 위기에 처하자 2014년 1월까지 갚기로 하고 500만 달러까지 빌려주었다. 2016년 10월, 아직도 420만 달러를 갚지 않아서 압류 절차에 들어갔다. 뎁이 제기한 소송은 자신의 부동산이 매각에 들어가기 전날 시작된 것으로 압류를 무산시키려는 시도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https://variety.com/2017/film/news/johnny-depp-sues-business-manager-1201960371/|#]] * 2017년 6월, 조니 뎁이 당시 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에 대해 "마지막으로 배우가 대통령을 암살한 게 언제죠?"라고 농담하다가 이후 1865년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이 배우 [[존 윌크스 부스]]에게 [[링컨 대통령 암살 사건|암살당한 사건]]을 언급한 농담이었다고 말하면서 사과했다. 그러나 [[백악관]]은 "트럼프 대통령은 모든 형태의 폭력을 비난했고 조니 뎁과 같은 다른 사람들이 그의 선례를 따르지 않은 것은 슬픈 일입니다.(President Trump has condemned violence in all forms and it’s sad that others like Johnny Depp have not followed his lead.)"라고 성명을 발표했다.[[https://variety.com/2017/film/news/johnny-depp-trump-assassination-apology-1202477242/|#]][* 그러나 [[2021년 미국 국회의사당 점거 폭동]]이 일어나면서 트럼프 대통령의 이 성명이 무색하게 되었다.] 당시 미국의 언론 웹사이트 Real Clear Politics는 "조니 뎁은 민주당원인 것이 운이 좋았다고 해야 한다."라고 말하면서 조니 뎁의 농담이 "어중간한(half-edgy)" 농담이었다고 비판했다. [[https://www.realclearpolitics.com/2017/06/24/johnny_depp_is_lucky_he039s_a_democrat_413854.html|#]] * 2018년 7월, 영화 시티 오브 라이즈의 제작진에게 고소당했다. 로케이션 매니저인 그레그 '로키' 브룩스에 따르면 옆구리를 때렸고, 다른 제작진들에게 '10만 달러를 줄 테니 그를 때려라'라고 말하며 언어적 폭행을 자행했다고 주장했다. [[https://www.rollingstone.com/movies/movie-news/johnny-depp-sued-for-alleged-assault-on-city-of-lies-set-697679/|#]] 하지만 이후 이 고소는 취하됐는데, 사실은 브룩스가 촬영 현장에 있던 한 아프리카계 여성에게 막말을 하자 뎁이 나서서 말리려 했고 폭행은 전혀 없었다고 한다. 뎁은 이에 대해 적당한 선에서 합의를 보고 끝냈다. [[https://www.hollywoodreporter.com/news/general-news/johnny-depp-settles-city-of-lies-assault-suit-ahead-of-trial-1235178489/|#]] * 2019년 [[디올]]과 광고 "Sauvage"를 찍을 때 [[아메리카 원주민]] 비슷하게 옷을 입고 아메리카 원주민 분위기를 냈다. 이에 대해 트위터에서는 문화적 전유와 인종차별이라는 비난을 가하자 디올이 "우리 디올은 다양성을 지지하며 어느 형태의 차별이든지 반대한다"라는 성명을 발표하고 광고를 내렸다. 이때 조니 뎁을 [[코만치|코만치족]]의 일원이 되도록 지원한 코만치족 유력 인사 [[라도나 해리스]]는 조니를 지지했다.[[https://globalnews.ca/news/5836052/dior-sauvage-native-american-johnny-depp/|#]] [[https://www.hollywoodreporter.com/lifestyle/style/dior-deletes-johnny-depp-sauvage-ad-backlash-native-american-depiction-1235733/|#]] 참고로 조니 뎁은 원주민 혈통이며 원주민 사회와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다. * 전 부인 로리 앤 앨리슨에게 욕설이 담긴 문자[* [[Nigger|N으로 시작하는 단어]]가 여러 번 사용된 장문의 메세지였다고 한다.]를 보낸 사실이 알려지자, 합의를 위해 앨리슨에게 125만 달러를 주고 [[https://www.hollywoodreporter.com/movies/movie-news/hes-radioactive-inside-johnny-depps-self-made-implosion-4101726/|비밀 유지 서약을 작성했다.]] * 2023년 7월 18일, 헝가리 호텔에서 의식을 잃었다는 이유로 콘서트를 취소했다. 건강 상의 문제라고 알려져 전 세계 팬들이 걱정했으나, 다행히 무사히 회복해 공연도 진행한다. [[https://www.news1.kr/articles/?5121618|#]] == 여담 == * 선배 배우 [[말론 브란도]]를 '숭배한다'라고 표현할 정도로 친했다.[[https://www.youtube.com/watch?v=Bq7K_IfCR4o&t=0|#]] * 23살에 요절한 [[리버 피닉스]]와 절친이었고, 사망 당시 함께 있었다. 울면서 911에 신고하는 [[호아킨 피닉스]] 옆에서 그를 위로했다. * 친한 인물로는 [[폴 베타니]], [[안젤리나 졸리]], [[에바 그린]], [[폴 매카트니]] 등이 있다. 한 때 록커이기도 했고, 배우가 된 뒤에도 록 인사들과 교류를 꾸준히 하고 있으며 함께 공연도 행하고 있다. * 할리우드에서 리즈시절 존잘 탑4에 [[브래드 피트]],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톰 크루즈]]와 함께 항상 거론되었으며 2010년대까지도 미중년으로 거론되는 편이다. 나이를 먹어도 특유의 섹시한 분위기는 사라지지 않고 미중년의 모습을 유지하고 있다. * 안경이 매우 잘 어울리기로 유명하며, 실제로도 많은 종류의 안경을 가지고 있는 듯하다. * 코가 예쁜 할리웃 스타 중 한 명이다. 매부리 없이 쭉 뻗은 코를 가졌다. * 외국인들이 환장하는 턱의 모양을 가졌다. 정면에선 볼이 움푹 들어가서 브이라인으로 보이지만 각이 져있는 턱. * 위그노계 [[프랑스계 미국인]], [[독일계 미국인]], [[아일랜드계 미국인]], 그리고 [[체로키]] [[아메리카 원주민|원주민]]의 혈통을 물려받았다. 때문에 그의 얼굴은 [[백인|서양인]]에서 관찰되기 어려운 [[광대뼈]]가 조금 두드러진 편이므로 본토에서는 아메리카 원주민을 닮았다는 평이 있다.[* 영화 《[[론 레인저(2013)|론 레인저]]》에서 그가 아메리카 원주민으로 분장한 모습은 위화감이 없이 매우 자연스럽다. 다만 화이트워싱으로 크게 비판받았고 영화 자체도 비평과 흥행 모두 망했다. 그러나 론 레인저 촬영을 계기로 영화의 배경이 된 [[코만치]] 부족과 가까운 관계를 유지했다.] * 2012년 [[미국]] [[뉴멕시코]]의 원주민 부족 [[코만치]]의 일원이 되었다. 코만치족 이름은 "마우메(Mah-Woo-Meh)." 변신하는 사람을 의미한다. 영화 《[[론 레인저(2013)|론 레인저]]》를 촬영할 때 아메리카 원주민 권리 신장 단체 "인디언 기회를 위한 미국인들(Americans for Indian Opportunity)"의 회장이자 코만치족 유력 인사인 [[라도나 해리스]]는 조니 뎁이 코만치족의 일원인 톤토 역을 맡았다는 소식을 듣고 조니에게 코만치족의 일원이 되도록 초대했으며, 조니 뎁은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해리스의 집에서 코만치족 환영 의식을 치렀다. [[https://www.hollywoodreporter.com/lifestyle/style/dior-deletes-johnny-depp-sauvage-ad-backlash-native-american-depiction-1235733/|#]] [[https://www.hollywoodreporter.com/news/general-news/johnny-depp-adopted-by-comanche-indian-tribe-lone-ranger-tonto-327658/|#]] >I reached out, and Johnny was very receptive to the idea... He seemed proud to receive the invitation, and we were honored that he so enthusiastically agreed. Welcoming Johnny into the family in the traditional way was so fitting... He’s a very thoughtful human being, and throughout his life and career, he has exhibited traits that are aligned with the values and worldview that Indigenous peoples share. >---- >제가 조니에게 연락을 했을 때 조니는 제 생각에 매우 수용적이었어요... 그는 초대를 받았다는 것에 매우 자랑스러워했고, 우리 (코만치족)은 조니가 매우 열정적으로 동의한 것에 영광으로 생각했어요. 조니를 코만치족의 일원으로 전통적인 방법으로 받아들이는 것은 매우 알맞아요... 조니는 매우 사려깊은 인간이며, 그의 삶과 경력에서, 그는 부족민들이 공유하는 가치관들과 세계관과 일치하는 특징을 보였어요. >---- > - "인디언 기회를 위한 미국인들(Americans for Indian Opportunity)" 단체 회장 라도나 해리스의 말. [[https://www.hollywoodreporter.com/news/general-news/johnny-depp-adopted-by-comanche-indian-tribe-lone-ranger-tonto-327658/|#]] * 그의 성인 뎁(Depp)은 프랑스계 성씨다. * 2010년대 이후로는 작품들의 흥행이 저조한 상태인지라 많이 잊혀졌지만 최초로 10억 달러 돌파 영화에 2편 이상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영화)]], [[캐리비안의 해적: 망자의 함]]) 출연한 배우이기도 하다. 2000년대 그의 인기가 얼마나 압도적이었는지 보여주는 대목이라고 할 수 있다. * [[2009년]], [[마이클 잭슨]]의 사망 당시 조니 뎁이 한 영화에서 마이클 잭슨 역으로 등장한다는 [[루머]]가 돌았다. 이후 조니 뎁은 인터뷰에서 이를 부정하며 잭슨의 사망에 안타까운 마음을 전했다. * 오른쪽 팔뚝에는 아들의 이름인 JACK(잭)을 문신으로 새겼고, 가슴에는 딸의 이름 Lily-Rose를 문신으로 새겼다. * 사인을 가장 잘 해주는 영화배우로 뽑힌 기록이 있다. 지나가다 만난 [[팬]]이 사인을 해 달라 하면 항상 사인을 해준다. 그런데 자주 사인을 해줘서인지 뎁의 사인에 금전적 가치는 별로 없다고 한다.[* [[미국]]에는 유명인사의 사인을 거래하는 시장이 상당히 발달했다. 지금 [[이베이]]만 해도 수많은 유명 인사들의 사인이 거래되고 있다. 즉 뎁처럼 사인을 많이 해 주는 사람의 사인은 물량이 많아서 가격이 낮다는 말. 반대로 사인 잘 안 해줘서 가치가 높은 대표적인 인물은 [[마돈나]]가 있다.] 스케줄이 있어 시간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지나가다 만나는 모든 사람들에게 사인을 해주려고 하기 때문에 오히려 본인이 경호원에게 제지당해 끌려가는 경우도 있는 모양이다. * [[크리스토퍼 리]]가 '요즘 젊은 배우들 중 가장 뛰어난 배우'로 뎁을 꼽았다는 이야기가 있다. 당시의 리의 나이를 생각해 보면 그 사람 기준에선 이 양반 정도면 젊은 편이긴 하다. * 뎁과 관련한 재밌는 [[징크스]]가 있는데, 그것은 뎁이 나온 영화에선 뎁이 [[떡칠]]을 해야 그 영화가 흥한다는 것. 《[[가위손]]》, 《[[찰리와 초콜릿 공장]]》, 《[[스위니 토드: 어느 잔혹한 이발사 이야기]]》,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영화)|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등등. 특히나 《캐리비안의 해적》과 같이 실제로 분장을 덕지덕지 칠한 영화는 대흥행을 한다, 굳이 멀쩡한 얼굴로 나왔는데도 흥행에 성공한 걸 뽑자면 [[엘 마리아치 3부작]] 중 하나인 《원스 어 폰 타임 인 멕시코》를 들 수 있다. 떡칠한 영화 중에서도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는 평가로는 많이 까였지만 어쨌든 흥행에서 굉장히 성공했으니 이쯤 되면 징크스가 그대로 들어맞는 것 같은데 <다크 섀도우>에서 안타깝게도 이 징크스가 깨져버렸다. 게다가 2013년 얼굴을 떡칠하고 원주민 톤토로 나와 연기한 영화 《[[론 레인저(2013)|론 레인저]]》까지 흥행에 실패하여 징크스가 완전 박살 난 것으로 확정되는 분위기. 되레 《다크 섀도우》의 기대 이하 흥행은 망한 것도 아닌 수준. 2014년에 개봉한 《[[트랜센던스]]》에서도 흥행이 폭망하고 평도 말이 아니기에, 이젠 분장이 문제가 아니라고 생각할 수밖에 없다. 사실 2012년부터 출연 작품이 계속 흥행과 비평 모두 실패한 터라 현지에선 위기론이 나오고 있다. 전 세계 10억 달러를 기록한 대히트작 앨리스의 후속작인 [[거울 나라의 앨리스(영화)|거울 나라의 앨리스]]마저 흥행이 저조했고 [[캐리비안의 해적: 죽은 자는 말이 없다]]도 흥행에 성공한 편이긴 하지만 북미 기준으로 시리즈 최저 흥행(1억 7200만 달러)을 기록했고 전 세계 흥행도 1편(6억 5000만 달러)보다 높긴 하지만 2~4편이 10억 달러를 기록한 것에 비하면 기대 이하이다. 다만 2015년 개봉한 '블랙 매스' 는 호평을 받았고, 피해자 라쳇 역으로 출연한 [[오리엔트 특급 살인(2017)]]은 흥행 면에서도 나름 대박이 났다. * [[http://www.ukopia.com/ukoHollywood/?page_code=read&uid=134197&sid=36&sub=3-20|2010년 5월 자신이 해적왕임을 증명했다]]. 사실 이건 루머일 뿐이다. 근데 [[연예가 중계]]에서 이 기사를 그대로 방송했다. * 한국 기자와 인터뷰를 가진 적이 있는데, 거기서 보여준 [[한국어]] 발음이 좋다. 한국어를 할 줄 아는 게 아니라 기자의 말을 그저 따라한 것뿐인데 발음뿐만 아니라 억양도 한국인 같았다. [[http://www.youtube.com/watch?v=TWUrsdK3Nmo|#]] * [[마릴린 맨슨]]과 친하다. 그리고 맨슨의 앨범 [[Mechanical Animals]] 촬영에 쓰인 가짜 [[유방(신체)|유방]]을 현재 보유 중이라고 한다. 이것이 인연이 되었는지 맨슨의 2012년 신보인 [[Born Villain]]에서 피처링을 넣어주기도 했다. 2017년 나온 [[Heaven Upside Down]] 앨범에 수록된 Say10, Kill4Me의 뮤직비디오에서도 출현하였다. * 한국 내에선 [[전담 성우]]로 처음엔 [[장세준]]이 맡았었고 지금도 그의 연기는 전설로 회자될 정도이다. 하지만 그가 세상을 떠난 후에는 다수의 작품에서 [[김승준(성우)|김승준]]이 담당했으며 SBS 애스트로넛에선 [[홍성헌]] 성우가 한번 맡았었으나 반응이 그렇게 좋은 편이 아니었다. MBC에선 [[최원형]]과 [[안지환]]이 각각 담당했는데 [[안지환]]이 더 많이 맡았다. 2021년 이후 [[디즈니+]]에서 업로드되는 출연 작품들부턴 [[신용우]]가 전담하는 중. 일본에서는 [[히라타 히로아키]]가 주로 맡는다. * [[http://www.youtube.com/watch?v=Et6OFFd5tiY|니콜 앳킨스 파티]], [[http://www.youtube.com/watch?v=nDfjDugn9Io|에어로스미스]], [[http://www.youtube.com/watch?v=6bhWcT2T7UI|에디 베더]], [[http://www.youtube.com/watch?v=HLNyigUDxT8|패티 스미스]], [[http://www.youtube.com/watch?v=qcTxhggF5e0|키스 리처즈]], [[http://www.youtube.com/watch?v=Mx3VDpA1E2U|앨리스 쿠퍼]], [[http://www.youtube.com/watch?v=MGkbJU6x0IE|빌리 기본스]], [[http://www.youtube.com/watch?v=l034MZzFjAg|마릴린 맨슨]] 등 다수의 게스트 세션을 맡고 있다. * 2013년에 출연한 《론 레인저》의 프리미어 인터뷰에서 밝힌 내용 중, 거의 [[실명]] 상태라는 내용이 있어 팬들에게 충격을 주었다. 한쪽 눈은 거의 실명 상태이며 나머지 한쪽 눈도 [[안경]]이 없으면 '''5cm''' 이내의 물체도 뿌옇게 보인다고. 그러나 그해 6월 29일에 방송된 KBS 2TV '연예가중계' 의 인터뷰에서 본인은 건강한 상태라고 실명설에 대해 일축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150127_122/cheezeburger_1422362833289v0Wrg_JPEG/mug_obj_142236283099279779.jpg|width=100%]]}}} || * [[바비(인형)|바비 인형]]을 수집하는 게 취미다. 빈티지 바비부터 한정판 바비까지 다양하게 갖고 있다. 원래는 딸 릴리를 위해 사모으기 시작했으나, 릴리가 자라면서 인형에 관심이 없어졌고 대신 조니 뎁의 수집 취미가 돼버렸다고 한다.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TIBHAY9_Feo?si=yUInULGjkr-U3FzQ)]}}} || || '''{{{#white }}}''' || * 2015년 [[디올]]의 새로운 남자 향수 모델로 발탁되어 현재 까지 '소바쥬(sauvage)'의 모델로 활동 중이다. * 2018년까지 [[브래드 피트]]와 함께 역대급 동안 중 한 명이었으나 6년간의 이혼 소송의 스트레스가 컸는지 현재는 좀 나이가 든 모습이다. 다만 여전히 동안인 편이며 50대 초반으로 보인다.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FwauqxGbgQ0)]}}} || || '''{{{#white Johnny Depp Surprises Fans as Captain Jack Sparrow at Disneyland!}}}''' || * 2017년 [[캐리비안의 해적: 죽은 자는 말이 없다]] 홍보차 디즈니랜드에 등장, [[잭 스패로우]] 선장 분장을 한 채 캐리비안의 해적 랜드마크에서 로봇인 것처럼 위장해 관광객들에게 즐거운 서프라이즈를 선사했다. * 위 깜짝 출연 이후 또다시 잭 스패로우로 분장하여 난치병을 안고 있는 환자 병원으로 깜짝 방문하여 [[https://youtu.be/neiEps55v70|약 70명의 환자들을 일일이 면회]]하며 위로해 주었다는 가슴 따뜻한 소식이 전해졌다. * [[아이카츠]]의 등장인물 [[조니 벱]]의 모티브다.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YbnLBl9eX_M)]}}} || || '''{{{#white Never Fear Truth | Art by Johnny Depp (2022)}}}''' || * 2022년 1월 26일 인터뷰에서 직접 그린 그림을 공개했다. 친구들, 영웅, 가족 등을 초상화로 그렸다 한다. *조니 뎁은 2023년 열린 칸 행사에서 40분 지각했다. 그는 교통체증 때문에 늦은 것이라고 해명했으며 '할리우드에서 보이콧을 당했냐'는 질문에 "전혀 아니다"라며 "나는 더 이상 할리우드가 필요하지 않다"고 밝혔다. [[https://www.news1.kr/articles/?5050324|#]] * [[충치]]가 있다.[* 제76회 칸 국제영화제에서 뎁의 복귀작인 잔 뒤 바리보다 누렇게 썩어 변색된 그의 치아가 화제가 될 정도였다.][* 그는 하얀 치아와 멋진 [[송곳니]]를 갖고 있는 사람들을 보면 경멸한다고. 그는 '''"완벽한 이를 가진 사람들을 보면 벽에 부딪힌다. 진드기를 갖느니 차라리 진드기를 삼키겠다"'''고 했다. 아이러니하게도 뎁은 과거에 출연한 영화 [[찰리와 초콜릿 공장(2005년 영화)|찰리와 초콜릿 공장]]에서 [[윌리 웡카]]를 연기했는데, 이 캐릭터는 치과의사인 엄격한 아버지로 인해 유년시절에 커다란 교정기를 하고 다녀 [[초콜릿]]과 [[사탕]]처럼 단 음식을 먹지 못했다. 사탕 때문에 충치가 생기고, 초콜릿 때문에 알레르기를 일으킬 수 있다는 이유였다. 그러다 어린 웡카는 우연히 초콜릿을 맛보게 되면서 몰래 단 음식에 맛을 들이게 된다. 하지만 충치는 없었던 윌리 웡카와는 달리 조니 뎁에게는 충치가 있다.] [[http://osen.mt.co.kr/article/G1112107514|#]] == 출연작 == ||
{{{#white '''연도'''}}} || {{{#white '''작품'''}}} || {{{#white '''배역'''}}} || || 1984 || '''[[나이트메어(1984)|나이트메어]]'''[br]A Nightmare on Elm Street || '''[[글렌 란츠]]''' || || 1985 || 해변의 사생활[br]Private Resort || 잭 마셜 || || 1986 || [[플래툰(영화)|플래툰]][br]Platoon || 게터 러너 || ||<|2> 1990 || 사랑의 눈물 || Wade "Cry-Baby" Walker || || '''[[가위손]]''' || '''[[가위손#s-4|에드워드 시저핸즈]]''' || ||<|3> 1993 || '''[[길버트 그레이프]]''' || 길버트 그레이프 || || 베니와 준 || 샘 || || 아리조나 드림 || 액설 블랙마 || || 1994 || [[에드 우드(영화)|에드 우드]] || [[에드 우드]] || ||<|3> 1995 || 닉 오브 타임 || 진 왓슨 || || [[데드 맨(영화)|데드 맨]] || 윌리엄 브레이크 || || 돈 주앙 || 돈 주앙/존 아놀드 드마르코 || ||<|2> 1997 || 도니 브래스코 || 도니 브래스코/조지프 D. 피스톤 || || 브레이브 || 라파엘 || || 1998 || [[라스베가스의 공포와 혐오]] || 라울 듀크 || ||<|4> 1999 || [[슬리피 할로우(영화)|슬리피 할로우]] || 크레인 || || 애스트로넛 || 스펜서 아마코스트 || || 소스 || 잭 케루악 || || [[나인스 게이트]] || 딘 코르소 || ||<|2> 2000 || 초콜릿 || 루 || || 맨 후 크라이드 || 시저 || ||<|3> 2001 || 비포 나잇 폴스 || 본 본/빅토르 대령 || || [[프롬 헬]] || 프레더릭 애벌린 || || 블로우 || 조지 영 || ||<|2> 2003 ||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멕시코]] || 셸던 제프리 샌즈 || || '''[[캐리비안의 해적: 블랙 펄의 저주]]''' || '''[[잭 스패로우]]''' || ||<|3> 2004 || 해피리 에버 애프터 || 린콘누 || || 네버랜드를 찾아서 || 제임스 매슈 배리 || || 시크릿 윈도우 || 모트 레이니 || ||<|3> 2005 || 리버틴 || 로체스터 || || '''[[찰리와 초콜릿 공장(2005년 영화)|찰리와 초콜릿 공장]]''' || '''[[윌리 웡카#s-3.1.6]]''' || || [[유령신부]] || 빅터[* 성우] || ||<|2> 2006 || 신비의 바다[* 다큐멘터리] || 나레이션 || || '''[[캐리비안의 해적: 망자의 함]]''' || '''잭 스패로우''' || ||<|2> 2007 || '''[[캐리비안의 해적: 세상의 끝에서]]''' || '''잭 스패로우''' || || '''[[스위니 토드: 어느 잔혹한 이발사 이야기]]''' || '''[[스위니 토드]]''' || ||<|2> 2009 || [[퍼블릭 에너미(영화)|퍼블릭 에너미]] || [[존 딜린저]] || || [[파르나서스 박사의 상상극장]] || 토니[* 4인 1역.] || ||<|2> 2010 ||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영화)|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 '''[[매드 해터(디즈니 캐릭터)|모자장수]]''' || || 투어리스트 || 프랭크 투펠로 || ||<|3> 2011 || [[랭고]] || 랭고 || || [[캐리비안의 해적: 낯선 조류]] || 잭 스패로우 || || [[럼 다이어리]] || 폴 켐프 || ||<|2> 2012 || [[다크 섀도우]] || 바나바스 콜린스 || || [[21 점프 스트리트#s-2]] || 톰 핸슨 || ||<|2> 2013 || [[론 레인저(2013)|론 레인저]] || 톤토 || || 랄프 스테드먼 스토리: 이상한 나라의 친구들[* 다큐멘터리] || 본인 || ||<|2> 2014 || [[트랜센던스]] || 윌 캐스터 || || [[숲속으로]] || 늑대 || ||<|2> 2015 || 모데카이 || 찰리 모데카이 || || 블랙 매스 || 제임스 '화이티' 벌저 || ||<|2> 2016 || [[거울 나라의 앨리스(영화)|거울 나라의 앨리스]] || [[매드 해터(디즈니 캐릭터)|모자장수]] || || '''[[신비한 동물사전(영화)|신비한 동물사전]]''' || '''[[겔러트 그린델왈드]]''' || ||<|2> 2017 || [[캐리비안의 해적: 죽은 자는 말이 없다]] || 잭 스패로우 || || [[오리엔트 특급 살인(2017)|오리엔탈 특급 살인]] || 에드워드 라쳇 || ||<|4> 2018 || [[셜록 놈즈]] || 셜록 놈즈 || || [[신비한 동물들과 그린델왈드의 범죄]] || 겔러트 그린델왈드 || || 시티 오브 라이즈 || 러셀 풀 || || 런던필드[* 촬영은 2015년이었지만 제작진들 사이의 법정 공방으로 늦게 개봉] || 칙 퍼처스 || ||<|3> 2019 || 라비린스 || || || 수상한 교수 || 리처드 || || [[바바리안#영화|바바리안]] || 졸 대령 || || 2020 || [[미나마타(영화)|미나마타]] || [[유진 스미스]] || || 2023 || [[잔 뒤 바리]] || [[루이 15세]] || == 수상경력 == || '''{{{#white 연도}}}''' || '''{{{#white 시상식}}}''' || {{{#ffffff '''부문''' }}} || '''{{{#white 작품}}}''' || || 1996년 || 제 16회 런던 비평가 협회상 || 남우주연상 || 돈 쥬앙 || || 2004년 || 제 13회 MTV영화제 || 최고의 남자배우상 ||<|2> 캐리비안의 해적 - 블랙 펄의 저주 || || 2004년 || 제 10회 미국 배우 조합상 || 영화부문 남우주연상 || || 2007년 || 제 16회 MTV영화제 || 최고의 연기상 || 캐리비안의 해적 - 망자의 함 || || 2008년 || 제 17회 MTV영화제 || 최고의 코믹연기상 || 캐리비안의 해적 - 세상의 끝에서 || || 2008년 || 제 17회 MTV영화제 || 최고의 악당상 ||<|2> 스위니 토드: 어느 잔혹한 이발사 이야기 || || 2008년 || 제 65회 골든 글로브 시상식 || '''남우주연상-뮤지컬코미디''' || || 2012년 || 제 21회 MTV영화제 || MTV 제너레이션상 || || || 2016년 || 제 31회 산타바바라 국제영화제 || 말틴 모던 마스터 상 || || [[분류:오언즈버러 출신 인물]][[분류:미국 남배우]][[분류:미국의 영화 배우]][[분류:미국 남가수]][[분류:미국의 화가]][[분류:미국의 프로듀서]][[분류:미국의 영화 음악가]][[분류:1963년 출생]][[분류:1984년 데뷔]][[분류: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입성자]][[분류:아메리카 원주민]][[분류:잉글랜드계 미국인]][[분류:아일랜드계 미국인]][[분류:독일계 미국인]][[분류:프랑스계 미국인]][[분류:디즈니 레전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