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나단 비야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내셔널 리그|[[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width=20]]]] '''{{{#ffffff 2016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도루왕}}}''' || || [[디 스트레인지-고든|디 고든]][br]([[마이애미 말린스]]) || → || '''조나단 비야[br]([[밀워키 브루어스]])''' || → || [[디 스트레인지-고든|디 고든]][br]([[마이애미 말린스]]) || ---- ||<-5>
'''{{{#ffffff [[휴스턴 애스트로스|{{{#ffffff 휴스턴 애스트로스}}}]] 등번호 6번}}}''' || || 트래비스 벅[br](2012) || {{{+1 →}}} || '''{{{#000 조나단 비야[br](2013~2014)}}}''' || {{{+1 →}}} || [[키케 에르난데스]][br](2014) || ||<-5> '''{{{#ffffff [[휴스턴 애스트로스|{{{#ffffff 휴스턴 애스트로스}}}]] 등번호 2번}}}''' || || [[브랜든 반즈]][br](2013) || {{{+1 →}}} || '''{{{#000 조나단 비야[br](2014~2015)}}}''' || {{{+1 →}}} || [[알렉스 브레그먼]][br](2016~) || ||<-5> '''{{{#ffffff [[밀워키 브루어스|{{{#ffffff 밀워키 브루어스}}}]] 등번호 5번}}}''' || || 네빈 애쉴리[br](2015) || {{{+1 →}}} || '''조나단 비야[br](2016~2018)''' || {{{+1 →}}} || [[조나단 스쿱]][br](2018) || ||<-5> '''{{{#ffffff [[볼티모어 오리올스|{{{#ffffff 볼티모어 오리올스}}}]] 등번호 34번}}}''' || || [[케빈 가우스먼]][br](2018) || {{{+1 →}}} || '''조나단 비야[br](2018)''' || {{{+1 →}}} || [[존 안드레올리]][br](2018) || ||<-5> '''{{{#ffffff [[볼티모어 오리올스|{{{#ffffff 볼티모어 오리올스}}}]] 등번호 2번}}}''' || || 대니 발렌시아[br](2018) || {{{+1 →}}} || '''조나단 비야[br](2018~2019)''' || {{{+1 →}}} || [[딜슨 에레라]][br](2020) || ||<-5> '''{{{#00A3E0 [[마이애미 말린스|{{{#00A3E0 마이애미 말린스}}}]] 등번호 2번}}}''' || || 야디엘 리베라[br](2018~2019) || {{{+1 →}}} || '''{{{#000000 조나단 비야[br](2020)}}}''' || {{{+1 →}}} || [[재즈 치좀 주니어]][br](2021~) || ||<-5> '''{{{#ffffff [[토론토 블루제이스|{{{#ffffff 토론토 블루제이스}}}]] 등번호 20번}}}''' || || [[대니얼 보겔백]][br](2020) || {{{+1 →}}} || '''조나단 비야[br](2020)''' || {{{+1 →}}} || [[루이스 리베라]][br](2021~) || ||<-5> '''{{{#ffffff [[토론토 블루제이스|{{{#ffffff 토론토 블루제이스}}}]] 등번호 30번}}}''' || || [[앤서니 알포드]][br](2017~2020) || {{{+1 →}}} || '''조나단 비야[br](2020)''' || {{{+1 →}}} || [[알레한드로 커크]][br](2021~) || ||<-5> '''{{{#ffffff [[뉴욕 메츠|{{{#ffffff 뉴욕 메츠}}}]] 등번호 1번}}}''' || || [[아메드 로사리오]][br](2017~2020) || {{{+1 →}}} || '''조나단 비야[br](2021)''' || {{{+1 →}}} || [[제프 맥닐]][br](2022~) || ||<-5> '''{{{#fff [[시카고 컵스|{{{#fff 시카고 컵스}}}]] 등번호 24번}}}''' || || [[앤드류 로마인]][br](2021) || {{{+1 →}}} || '''조나단 비야[br](2022)''' || {{{+1 →}}} || [[나르시소 크룩]][br](2022) || ||<-5> '''{{{#ffffff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ffffff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등번호 19번}}}''' || || [[오스틴 로마인]][br](2022) || {{{+1 →}}} || '''조나단 비야[br](2022)''' || {{{+1 →}}} || [[카이런 파리스]][br](2023~)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에인절스비야.webp|width=100%]]}}} || ||<-2> '''{{{+2 호나탄 라파엘 비야르 로케}}}[br]Jonathan Rafael Villar Roque''' || ||<|2> '''출생''' ||[[1991년]] [[5월 2일]] ([age(1991-05-02)]세) || ||라 베가 || || '''국적'''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width=25]] [[도미니카 공화국]] || || '''신체''' ||183cm, 105kg || || '''포지션''' ||[[3루수]]|| || '''투타''' ||[[우투양타]] || || '''프로입단''' ||2008년 국제 아마추어 자유계약 ([[필라델피아 필리스|PHI]]) || || '''소속팀''' ||[[휴스턴 애스트로스]] (2013~2015) [br]'''[[밀워키 브루어스]] (2016~2018)''' [br] '''[[볼티모어 오리올스]] (2018~2019)''' [br][[마이애미 말린스]] (2020) [br][[토론토 블루제이스]] (2020) [br][[뉴욕 메츠]] (2021)[br][[시카고 컵스]] (2022)[br][[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2022) || || '''기록''' ||'''Hit for the cycle (2019.8.5.)''' || [목차] [clearfix] == 개요 == [[도미니카 공화국]] 국적의 [[내야수]]. == 선수 경력 == === [[휴스턴 애스트로스]] === 2011 시즌 전, [[필라델피아 필리스]]와의 [[로이 오스왈트]] 트레이드에 포함되어 휴스턴으로 이적했다. 2012년 스프링캠프에 초청받았고, 2013년에는 AAA에서 뛰며 월간 마이너리거 타자로 선정되었다. 2013년 7월 21일 40인 로스터에 등록되었다. 7월 30일, 비야는 [[볼티모어 오리올스]]를 상대로 [[홈스틸]]을 하였다. 2013년 성적이 좋아서 2014년 개막전 로스터에 포함이 되었다. 하지만 2014년과 2015년 부진했다. [[2015 아메리칸 리그 와일드카드 게임]] 로스터에 포함이 되었다. 7회에 [[크리스 카터]]를 대신해 대주자로 나왔고, 2루로 도루를 한뒤, 득점을 해서 3대0으로 만들었다. 그러나... === [[밀워키 브루어스]] === 11월 19일, 휴스턴과 밀워키가 트레이드를 하게 되면서 밀워키는 비야를 얻고, 휴스턴은 투수를 얻게 되었다. 2016년 팀의 좋지 않은 성적에도 불구하고 시즌 중반까지 타율 .298, 홈런 6개 그리고 도루 19개[* 시즌 중반까지 도루 1위였다.]를 기록하고 있다. 2016 시즌을 타율 .285, 62타점, 19홈런 그리고 도루 62개로 마쳤다.[* [[빌리 해밀턴(1990)|빌리 해밀턴]]보다 4개를 더 기록하였다.] 20-20은 홈런 1개 차이로 아쉽게 실패했다.[* 하지만 나중에 [[볼티모어 오리올스]]에서 달성하였다!] 밀워키가 3루수 [[트래비스 쇼]]를 영입하면서 2루수로 뛰게 되었다. 2017 시즌 부진에 시달렸다. 밀워키가 [[닐 워커]]를 데려오게 되면서 주전 자리를 잃었지만 [[키온 브록스턴]]의 부진으로 중견수로 포지션을 바꾸게 되었다. 하지만 수비가 엉망이 되면서 비야는 결국 벤치로 가게 되었다. === [[볼티모어 오리올스]] === 2018년 7월 31일, [[조나단 스쿱]]을 상대로 비야 외 마이너리거 2명과 트레이드 되었다. 볼티모어에서의 2018년 기록은 54경기 209 타수 54안타 타율 .258 홈런 8개 도루 21개 OPS .729이며 도합 141경기 466타수 121안타 타율 .260 홈런 14개 도루 35개 OPS .709를 기록하였다. 2019 시즌 팀의 1번타자로서 162경기 전 경기 출장 642타수 176안타(AL 9위) 타율 .274 [[20-20|24홈런 40도루]](9실패, AL 3위) OPS .792 fWAR 4.0 bWAR 3.9로 커리어하이 시즌을 보냈다. 최악의 팀 상황 속 가장 뛰어난 활약을 펼쳤으나, 연봉을 최소화해서 탱킹을 하려는 팀의 사정과 맘물려 2019년 11월 28일 웨이버 공시 되었다. 이후 12월 2일 2019년 드래프트에서 [[마이애미 말린스]]의 14라운드 지명을 받은 좌완 유망주 [[이스턴 루카스]]를 상대로 [[마이애미 말린스]]에 1:1 트레이드되었다. === [[마이애미 말린스]] === === [[토론토 블루제이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villar.jpg|width=100%]]}}} || 트레이드 마감을 앞두고 류현진을 필두로 가을야구를 향해 달리는 중인 블루제이스로 트레이드되었다. 주전 유격수 [[보 비솃]]의 공백을 메우고 비솃의 복귀 이후엔 [[3루수]]로 옮겨 [[트래비스 쇼]]나 [[조 패닉]], [[산티아고 에스피날]] 등 타격에 약점이 있는 선수들을 대체할 계획으로 보인다. 이적 후 곧장 마이애미를 상대로 2루수로 선발 출장해 멀티 히트를 치나 수비와 주루에서 어이없는 모습을 몇 차례 보여줬다. 2020년 시즌 FA를 앞두고 성적 타율 .232, 출루율 .301, 장타율 .292라는 부진한 성적을 거두었다. === [[뉴욕 메츠]]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메츠비야.webp|width=100%]]}}} || 2021 시즌 성적은 .249 .322 .416 18홈런 14도루 WAR 1.7로 3.55M라는 연봉 대비 나름 쏠쏠한 활약을 보여주었다. 메츠 타선이 전체적으로 망가졌기에 더 돋보인 활약. 다만 도루 성공률이 66.6%에 그친 것은 흠이다. 시즌 후 FA가 되었다. 나름 홈런과 도루 갯수가 많은 베테랑 내야 유틸리티 플레이어이기 때문에 어딘가에서는 분명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시카고 컵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컵스비야.jpg|width=100%]]}}} || 1년 총 600만 달러에 컵스와 계약했다. 46경기 166타석에 나와 OPS .598 fWAR -0.6을 기록하는 등 부진해 6월 24일 지명할당되었고 이후 방출되었다. ===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 7월 2일, 에인절스와 1년 메이저 계약을 맺었다. [[https://twitter.com/hgomez27/status/1543072848113278976?s=21&t=9qEPJ0c-FCxoun6L2jy0zg|#]] 에인절스에서는 13경기 54타석 OPS .451 fWAR -0.4를 기록하며 컵스 시절보다 더 부진해 7월 24일 지명할당되었다. == 수상 내역 == * [[내셔널 리그]] 도루 1위 (2016) == 연도별 성적 == == 기타 == * 2016년에 도루왕 경쟁을 한 [[빌리 해밀턴(1990)|빌리 해밀턴]]과 똑같이 우투양타이다. [각주] [[분류:도미니카 공화국의 야구 선수]][[분류:1991년 출생]][[분류:2013년 데뷔]][[분류:라베가 주 출신 인물]][[분류:내야수]][[분류:우투양타]][[분류:스위치 히터]][[분류:휴스턴 애스트로스/은퇴, 이적]][[분류:밀워키 브루어스/은퇴, 이적]][[분류:볼티모어 오리올스/은퇴, 이적]][[분류:마이애미 말린스/은퇴, 이적]][[분류:토론토 블루제이스/은퇴, 이적]][[분류:뉴욕 메츠/은퇴, 이적]][[분류:시카고 컵스/은퇴, 이적]][[분류: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은퇴, 이적]][[분류:2017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참가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