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902년 출생]][[분류:금산군 출신 인물]][[분류:함안 조씨]][[분류:1951년 사망]][[분류:건국포장]][[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명이인, rd1=조기수)] ||<-2> {{{#!wiki style="margin: -6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1 조기수}}}[br]趙岐壽'''}}} || ||<|2> '''출생''' ||[[1902년]] [[8월 3일]] || ||[[전라북도]] 진산군 일남면 곡남리[br](현 [[충청남도]] [[금산군]] 복수면 곡남리)|| || '''사망''' ||[[1951년]] [[10월 10일]] || || '''본관''' ||[[함안 조씨]]|| || '''이명''' ||김덕삼(金德三) || || '''서훈''' ||건국포장 추서||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 생애 == 1902년 8월 3일 전라북도 진산군 일남면(현 충청남도 금산군 복수면) 곡남리에서 태어났다. 이후 [[대전광역시|대전군]]으로 이주하여 본정2정목(현 [[동구(대전)|동구]] [[인동(대전)|인동]])에 거주했다. 그는 1924년 3월 [[서산공립보통학교]](현 [[서산초등학교]])를 졸업한 후 사카이 도시히코(堺利彦)의 『사회주의대의』·『프롤레타리아사회학』·『경제학』·『무산청년독본』 등의 사상서를 구독 및 연구하는 등 사회운동을 전개해 나갔다. 1925년 10월 30일 조기수는 '전북청년연합토론대회' 대표간담회에 참석하여 전북청년연맹(全北靑年聯盟)을 창립하고 조직부 책임을 맡았다. 이 연맹은 2년 뒤인 1927년 10월 30일 조선청년총동맹 전북연맹으로 변경되었다. 1926년 12월 하순경 이평권(李平權)의 권유로 고려공산청년회에 가입하고 고려공산청년회 제4차 지방조직의 전북지역 여산 조직원으로 활동하였다. 1928년 4월 15일 금산청년동맹 회관에서 열린 금산청년동맹 제1회 정기대회에서 집행위원으로 선출되어 활동하다가 1928년 8월 24일 제3차 [[조선공산당]] 전라남·북도지부 관련자로 경기도 경찰부에 체포되었다. 그는 1930년 12월 22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소위 [[치안유지법]] 위반으로 징역 2년형(미결구류 500일 통산)을 언도받고 [[서대문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른 후, 1931년 8월 10일 출옥하였다. 출옥 후인 1934년 5월 6일 공안을 방해한 혐의로 금산경찰서에 검속되었다가 그해 5월 8일에 석방되었다. 석방 후에는 조용히 지내다가 [[8.15 광복]]을 맞았으며, 1951년 10월 10일 별세하였다. == 기타 == 2006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건국포장이 추서되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조기수 , version=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