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송사)] ---- ||<-2> '''장문태자(莊文太子)[br]{{{+1 趙愭 | 조기}}}''' || || '''시호''' ||소성태자(莊文太子) || || '''작위''' ||등왕(鄧王) || || '''성''' ||조(趙) || || '''이름''' ||유(愉) → 기(愭) || || '''생몰''' ||1144년 ~ 1167년 || || '''부모''' ||[[효종(송)|효종]][br]모후 [[성목황후]] || || '''정실''' ||광국부인(廣國夫人) 전씨(錢氏) || || '''형제''' ||위혜헌왕(魏惠憲王) 조개(趙愷)[br][[광종(송)|광종]](光宗) 조돈(趙惇)[br]소도숙왕(邵悼肅王) 조각(趙恪) || [목차] [clearfix] == 개요 == [[남송]]의 황족으로 남송의 11대 황제 [[효종(송)|효종]] 조신의 아들이었다. == 생애 == 1144년, 효종의 장남으로 태어났고 어머니는 [[성목황후]]였다. 성목황후는 효종이 즉위하기 전에 황후가 되지 못하고 죽었기 때문에 효종이 즉위한 뒤 황후로 추존되었다. 조기는 초명이 유(愉)였고 우내솔부부솔(右內率府副率)로 보임되었으며, 뒤에 기(愭)라는 이름을 받고 우감문위대장군(右監門衛大將軍), 영주자사(榮州刺史)로 제수되었다. 효종이 황자가 되자, 조기는 기주방어사(蘄州防禦使)로 임명되었다. 1162년, 효종이 [[고종(송)|고종]]으로부터 양위를 받아 즉위하면서 조기는 소보(少保), 영흥군절도사(永興軍節度使)로 제수되고 등왕(鄧王)에 봉해졌다. 본래 황자가 궁을 나와 왕으로 책봉되면 2개 진의 절도사를 겸임한 뒤 사공이 더해졌으나, 조기는 방어사에서 소보로 승진했다. 1165년, 황태자가 되고 광국부인(廣國夫人) 전씨(錢氏)를 태자비로 들였다. 효종이 조기의 호위병을 더 늘리려고 하자, 조기는 이를 거부했다. 또한 조기는 매달 받는 잡물을 기부하려고 하여 효종은 이를 윤허하였다. 그러나 조기는 뒤에 병에 걸렸는데 의사가 약을 잘못 처방해서 조기의 병세가 더욱 악화되었다. 태상황인 고종과 효종이 직접 조기의 병세를 살피고 또 천하에 대사면을 단행하며 조기의 병이 낫기를 기도했으나 조기는 3일 뒤에 사망했다. 조기의 아들인 조정(趙挺)은 전씨의 소생으로 돌이 지난 나이에 복주관찰사(福州觀察使)로 제수되고 영국공(榮國公)으로 책봉되었지만 1173년에 사망하여 무당군절도사(武當軍節度使)로 추증되고 예국공(豫國公)으로 추봉되었다. [[분류:송나라/인물]][[분류:1144년 출생]][[분류:1167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