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케네디 가문]][[분류:1980년 출생]][[분류:보스턴 출신 인물]][[분류:미국의 정치인 자녀]][[분류:스탠퍼드 대학교 출신]][[분류:하버드 대학교 로스쿨 출신]][[분류:미국의 남성 정치인]][[분류:미국의 외교관]]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14388%, #214388%, #214388%, #214388)" '''{{{#white 미합중국 북아일랜드 경제 특사[br]{{{+1 조셉 패트릭 케네디 3세}}}[br]Joseph Patrick Kennedy III}}}'''}}}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800px-Joe_Kennedy_III,_official_portrait,_116th_Congress.jpg|width=100%]]}}} || ||<|2> '''{{{#fff 출생}}}''' ||[[1980년]] [[10월 4일]] ([age(1980-10-04)]세) || ||[[미국]] [[매사추세츠 주]] [[보스턴]] || || '''{{{#fff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fff 정당}}}''' ||[include(틀:민주당(미국))] || || '''{{{#fff 학력}}}''' ||[[스탠퍼드 대학교]] {{{-1 ([[경영학]] / [[학사|B.S.]])}}}[br][[하버드 대학교]] [[로스쿨]] {{{-1 ([[법학]] / [[박사|J.D.]])}}} || || '''{{{#fff 종교}}}''' ||[[가톨릭]] || || '''{{{#fff 가족}}}''' ||[[아버지]] [[조 케네디 2세]] [[작은아버지]] [[로버트 F. 케네디 주니어]] [[친할아버지]] [[로버트 F. 케네디]] [[고모]] [[https://ko.wikipedia.org/wiki/%EB%A1%9C%EB%A6%AC_%EC%BC%80%EB%84%A4%EB%94%94|로리 엘리자베스 캐서린 케네디]], [[https://en.wikipedia.org/wiki/Kathleen_Kennedy_Townsend|캐슬린 케네디]] [[큰할아버지|큰친할아버지]] [[존 F. 케네디]] [[친할머니]] [[https://en.wikipedia.org/wiki/Ethel_Kennedy|에델 케네디]] [[증조할아버지|친증조할아버지]] [[조셉 패트릭 케네디]] [[증조할머니|친증조할머니]] [[https://en.wikipedia.org/wiki/Rose_Kennedy|로즈 케네디]]\ [[작은할아버지|작은친할아버지]] [[테드 케네디]] [[작은할아버지|작은친할머니]] [[https://en.wikipedia.org/wiki/Joan_Bennett_Kennedy|조안 케네디]] [[오촌|친당숙]] [[패트릭 케네디]][* 작은친할아버지 [[테드 케네디]]의 작은아들] [[오촌|친당고모]] [[https://en.wikipedia.org/wiki/Kara_Kennedy|카라 케네디]][* 작은친할아버지 [[테드 케네디]]의 딸], [[캐롤라인 케네디]][* 큰친할아버지 [[존 F. 케네디]]의 딸] [[오촌|친당고모부]] [[https://en.wikipedia.org/wiki/Edwin_Schlossberg|애드윈 슐로스버그]][* 큰친할아버지 [[존 F. 케네디]]의 사위]|| || '''{{{#fff 경력}}}''' ||'''연방하원의원 {{{-2 (2013~2021 / 매사추세츠 4구 )}}}''' [br] ''' 미합중국 북아일랜드 경제 특사 {{{-2 (2022~)}}}''' || || '''{{{#fff 서명}}}'''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 border-radius: 4px;" [[파일:Joe_Kennedy_III_signature.jpg|width=150]]}}}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합중국]]의 [[정치인]]으로 2013년부터 2021년까지 [[매사추세츠]] 연방 하원의원 직을 지냈다. 매사추세츠 연방 하원의원을 지낸 [[조 케네디 2세|조셉 P. 케네디 2세]]의 아들[* J.P 케네디 주니어는 1915년생이고 1944년에 세상을 떠났다. ] 이자 미합중국 법무장관이자 [[존 F. 케네디]] 대통령의 동생인 [[로버트 F. 케네디]]의 손자다. == 생애 == === 연방하원의원 === === [[2020년 미국 상원의원 선거|2020년 매사추세츠 연방 상원의원 선거]] 출마 === 2019년 8월 26일, 매사추세츠 연방 상원의원 선거에 출마해 현역 [[에드 마키]] 연방 상원의원과 맞붙겠다고 선언했다. 만약 조 케네디가 승리한다면 [[에드워드 케네디]]가 [[2009년]] 작고한 이후 11년만에 [[케네디 가문]]이 [[매사추세츠]]의 연방 상원의원 직을 차지하게 된다.[[https://www.bostonherald.com/2019/08/26/joe-kennedy-iii-announces-hes-considering-a-u-s-senate-run/|#]] [[낸시 펠로시]] 연방 하원의장, [[척 슈머]] 연방 상원 민주당 원내대표 등 당 지도부의 지지를 받으면서 2020년 중반까지 큰 격차로 경선 지지율 1위를 내달리며 승리를 앞둔듯 했지만, 7월말을 기점으로 상황이 변하기 시작한다. 마키와 함께 매사추세츠를 무대로 활동하는 [[엘리자베스 워런]] 연방 상원의원이 마키 의원에 대한 지지를 선언했고, 뒤이어 [[알렉산드리아 오카시오코르테스|AOC]] 등 당내 소장파 진보 의원들 역시 마키에 대한 지지를 연이어 선언하면서 지지율이 역전된 것. 결국 [[2020년]] [[9월 1일]], 경선 개표 결과 조 케네디 3세 후보가 44.5% 득표에 그쳐 55.4%를 득표한 [[에드 마키]] 의원에게 패하고 말았다. 매사추세츠 주에서 열린 민주당 경선에서 케네디 가문의 정치인이 패한건 이때가 처음이다.[[https://www.politico.com/news/2020/09/01/massachusetts-primary-markey-kennedy-407078|#]] 패인으로 꼽힌건 역시 [[명분]] 문제로 꼽힌다. 에드 마키 의원이 [[공화당(미국)|공화당]] 의원이거나, 민주당 내에서 평판이 좋지 않은 의원이었다면 케네디 의원이 얼마든지 승리를 점쳐볼 수 있었겠지만, 마키 의원 본인은 부모님이 우유 배달부를 했는데도 [[보스턴 칼리지]]라는 명문 대학을 졸업해 변호사가 되었고 본인도 대학을 다니면서 학비를 마련하기 위해 [[아이스크림]] 장사까지 해본 말하자면 [[입지전적]]인 인물이었다. 참전용사는 아니지만 [[베트남 전쟁]] 시기 징집령에 응해 예비군에서 사병으로 일했다. 거기다 마키가 40년 넘게 정계에서 활동하면서 [[기후변화]] 대응에 앞장서 민주당 내에서 평판이 좋은 정치인이었으므로 당내 진보파들과 청년 지지층이 일단 케네디 쪽보다는 마키 의원 쪽의 손을 들어주게 된 것. === 첫 연방상원의원 후보 경선 이후 === 지역 사회 조직화를 위한 [[https://www.bostonglobe.com/2021/01/27/metro/after-senate-defeat-joe-kennedy-iii-plots-new-path-politics/|Project Groundwork을 설립해 활동]]하면서 정치 행보를 이어나가고 있고, [[CNN]]에 민주당 측 패널로 여러차례 출연하기도 했다. [[2021년]] [[6월 4일]]에는 [[조 바이든]] 대통령으로부터 백악관 연수생을 위한 대통령 위원회(President’s Commission on White House Fellowships)의 위원으로 임명되었다.[[https://www.whitehouse.gov/briefing-room/statements-releases/2021/06/04/president-biden-appoints-members-to-presidents-commission-on-white-house-fellowships/|#]] [[2022년 미국 중간선거]]를 앞두고 매사추세츠 주지사 선거 후보군으로 거론되었으나, 실제 출마하지는 않았다. 중간선거가 민주당의 선방으로 끝난 직후 미합중국 북아일랜드 경제 특사로 임명되어 2022년 12월 19일부터 재임하였다.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미합중국 연방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fff '''연도'''}}} || {{{#fff '''선거 종류'''}}} || {{{#fff '''선거구'''}}} || {{{#fff '''소속 정당'''}}} || {{{#fff '''득표수 (득표율)'''}}} || {{{#fff '''당선 여부'''}}} || {{{#fff '''비고'''}}} || || 2012 || [[2012년 미국 양원/주지사 선거|미국 연방하원의원 선거]] ||<|4> [[매사추세츠]] 4구 ||<|4> [include(틀:민주당(미국))] || '''221,303 (61.07%)''' || '''당선 (1위)''' || '''초선''' || || 2014 || [[2014년 미국 중간선거|미국 연방하원의원 선거]] || '''184,158 (97.91%)''' || '''당선 (1위)''' || '''재선''' || || 2016 || [[2016년 미국 양원/주지사 선거|미국 연방하원의원 선거]] || '''265,823 (70.10%)''' || '''당선 (1위)''' || '''3선''' || || 2018 || [[2018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미국 연방하원의원 선거]] || '''245,289 (97.72%)''' || '''당선 (1위)''' || '''4선''' || == 여담 == * 케네디 가문의 일원답게, 하원 의원 재직 기간 도중에는 순자산 '''4,300만 달러'''[* 한화 약 600억원]로, 가장 부유한 하원의원으로 기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