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파일:칸 영화제 워드마크 화이트.svg|width=220]] || ||<-5> [[칸 영화제|[[파일:칸 영화제 심볼.svg|width=200&theme=light]][[파일:칸 영화제 심볼 화이트.svg|width=200&theme=dark]]]] || ||<-5> || || [[제75회 칸 영화제|{{{#fff,#000 '''제75회'''}}}]][br]'''([[2022년|{{{#fff,#000 2022년}}}]])''' || {{{+1 → }}} || '''제76회'''[br]'''([[2023년|{{{#fff,#000 2023년}}}]])''' || {{{+1 → }}} || [[제77회 칸 영화제|{{{#fff,#000 '''제77회'''}}}]][br]'''([[2024년|{{{#fff,#000 2024년}}}]])''' || ||<-5> || [include(틀:칸 영화제)]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left, #b5b5b5, #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칸 영화제|[[파일:칸 영화제 심볼.svg|width=70]]]]}}} {{{+2 '''제76회 칸 영화제'''}}}[br]'''76{{{-2 e}}} Festival de Cannes'''[br]'''76{{{-2 th}}} Festival de Cannes'''}}}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제76회 칸 포스터.jpg|width=100%]]}}} || ||<-2> '''▲ 공식 포스터'''[* 포스터의 주인공은 배우 [[카트린 드뇌브]]] || || '''개최기간''' ||[[2023년]] [[5월 16일]] ~ [[5월 27일]] || || '''개최장소''' ||[include(틀:국기, 국명=프랑스)] [[칸(프랑스)|칸]] 팔레 데 페스티발[br]Palais des Festivals et des Congrès || || '''호스트''' ||키아라 마스트로야니[* 포스터 주인공인 배우 [[카트린 드뇌브]]와 [[마르첼로 마스트로야니]]의 딸이며, 2019년 칸 영화제 주목할 만한 시선 부문 여우주연상 수상자이다.]|| || '''심사위원장''' ||[[루벤 외스틀룬드]] || || '''개막작''' ||《[[잔 뒤 바리]]》 || || '''폐막작''' ||《[[엘리멘탈(애니메이션)|엘리멘탈]]》 || || '''황금종려상''' ||《[[추락의 해부]]》 || || '''홈페이지''' ||[[https://www.festival-cannes.com/en/|공식홈페이지]] / [[https://www.quinzaine-realisateurs.com/en/|감독주간]] / [[https://www.semainedelacritique.com/en|비평가주간]] || [목차] [clearfix] == 개요 == [[2023년]] '''제76회 칸 영화제'''는 2023년 5월 16일부터 27일까지 개최된다. 스웨덴의 영화 감독 [[루벤 외스틀룬드]]가 경쟁부문의 심사위원장을 맡았다. 개막작은 [[마이웬]] 감독의 〈[[잔 뒤 바리]]〉, 폐막작은 피터 손 감독의 〈[[엘리멘탈(애니메이션)|엘리멘탈]]〉이 선정되었다. == 심사위원 == === 경쟁부문 === * '''[[루벤 외스틀룬드]]''' - '''심사위원장''', [[스웨덴]]의 영화 감독, 각본가 * [[쥘리아 뒤쿠르노]] - [[프랑스]]의 영화 감독, 각본가 * 다미안 시프론[* '와일드 테일즈: 참을 수 없는 순간'으로 [[제67회 칸 영화제]] 경쟁 부문에 초청받은 바 있다.] - [[아르헨티나]]의 영화 감독, 각본가 * 룽가노 니오니[* '나는 마녀가 아니다'로 [[제71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영국데뷔작 상을 수상했다.] - [[잠비아]], [[웨일스]]의 영화 감독 * 드니 메노셰[* [[바스터즈: 거친 녀석들]], [[아직 끝나지 않았다]], [[신의 은총으로]], [[피터 본 칸트]] 등의 작품에 출연했다.] - [[프랑스]]의 배우 * 마리암 투자니[* [[아담(2019년 영화)|아담]]으로 [[제72회 칸 영화제]] 주목할 만한 시선 부문에 초청받은 바 있다.] - [[모로코]]의 영화 감독, 배우 * 아티크 라히미 - [[프랑스]], [[아프가니스탄]]의 작가, 영화 제작자 * [[브리 라슨]] - [[미국]]의 배우, 영화 감독, 가수 * [[폴 다노]] - [[미국]]의 배우, 영화 감독, 가수, 영화 제작자 === 주목할 만한 시선 === * '''[[존 C. 라일리]]''' - '''심사위원장''', [[미국]]의 배우, 코미디언, 각본가 * 알리스 위노쿠르[* '무스탕: 랄리의 여름' 각본, '매릴랜드', '프록시마 프로젝트' 감독.] - [[프랑스]]의 영화 감독 * 에밀리 드켄[* [[로제타(영화)|로제타]]로 데뷔해 [[칸 영화제/여우주연상]]을 수상했으며, [[러브 어페어: 우리가 말하는 것, 우리가 하는 것]], [[클로즈(영화)|클로즈]] 등의 작품에 출연했다.] - [[벨기에]]의 배우 * [[파울라 베어]] - [[독일]]의 배우 * 데이비 추[* [[리턴 투 서울]] 감독.] - [[캄보디아]], [[프랑스]]의 영화 감독 === 황금카메라 === * '''아나이스 드무스티에''' - '''심사위원장''', 프랑스의 배우 * [[라파엘 페르소나]] - 프랑스의 배우 * 나탈리 뒤랑 - 프랑스의 촬영 감독 * 미카엘 부슈 - 프랑스의 영화각본가, 감독 * 소피 프릴레 - 프랑스의 영화프로듀서 * 니콜라 마르카데 - 영화지 Les Fiches du cinéma 편집장 === 라 시네프 및 단편 영화 === * '''엔예디 일디코'''[* [[우리는 같은 꿈을 꾼다]] 감독.] - '''심사위원장''', [[헝가리]]의 영화 감독 겸 각본가 * 애나 릴리 아미푸르[* 배우 [[전종서]]의 할리우드 데뷔작인 [[모나리자와 블러드 문]] 감독.] - [[이란]], [[미국]]의 영화감독 겸 각본가 * 샤를로트 르봉[* 영화 [[이브 생로랑]], [[하늘을 걷는 남자]] 등의 주연으로 알려져 있다.] - [[캐나다]]의 배우 겸 영화감독 * 카리자 투레 - [[프랑스]]의 배우 * 슐로미 엘카베츠 - [[이스라엘]]의 영화감독, 각본가, 배우, 제작자 === 독립 부문 === ==== 국제비평가주간 ==== * '''오드리 디완'''[* [[레벤느망]] 감독.] - '''심사위원장''', [[프랑스]]의 영화 감독 * [[프란츠 로고스키|프란츠 로고브스키]] - [[독일]]의 배우 * 후이 포사스 - [[포르투갈]]의 촬영감독 * 킴 유타니 - [[선댄스 영화제]] 프로그래머 * 미나크시 셰데 - [[인도]]의 언론인 ==== 다큐멘터리상 ==== ==== 퀴어종려상 ==== == 공식부문 상영작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annesselectionofficielle.jpg|width=100%]]}}} || === 경쟁부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annescompetition.jpg|width=100%]]}}} || ||
{{{#e5d85c '''제목'''}}} || {{{#e5d85c '''원제'''}}} || {{{#e5d85c '''감독'''}}} || {{{#e5d85c '''국가'''}}} || || 클럽 제로 || ''Club Zero'' || 예시카 하우스너[* [[제72회 칸 영화제]] 경쟁 부문 초청작 '리틀 조' 감독.] ||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width=25]] [[오스트리아]], [[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영국]],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독일]],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파일:덴마크 국기.svg|width=25]] [[덴마크]] || || [[더 존 오브 인터레스트]] || ''The Zone of Interest'' || [[조나단 글레이저]][* [[언더 더 스킨]] 감독.] || [[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영국]], [[파일:폴란드 국기.svg|width=25]] [[폴란드]],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 || [[사랑은 낙엽을 타고]] || ''Kuolleet lehdet'' || [[아키 카우리스마키]] || [[파일:핀란드 국기.svg|width=25]] [[핀란드]] || || [[올파의 딸들|포 도터스]] || ''Les Filles d'Olfa'' || 카우타르 벤 하니야[* [[피부를 판 남자]] 감독.]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파일:튀니지 국기.svg|width=25]] [[튀니지]],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독일]],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width=25]] [[사우디아라비아]] || || [[애스터로이드 시티]] || ''Asteroid City'' || [[웨스 앤더슨]]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 || [[추락의 해부]][*QP] || ''Anatomie d’Une Chute'' || [[쥐스틴 트리에]]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괴물(일본 영화)|괴물]][*QP] || ''怪物'' || [[고레에다 히로카즈]]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일본]] || || [[찬란한 내일로]] || ''Il sol dell'avvenire'' || [[난니 모레티]]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이탈리아]] || || [[키메라(2023)|키메라]] || ''La Chimera'' || [[알리체 로르바케르]]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이탈리아]],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파일:스위스 국기.svg|width=25]] [[스위스]] || || 마른 풀에 관하여 || ''Kuru Otlar Üstüne'' || [[누리 빌게 제일란]]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width=25]] [[튀르키예]],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독일]] || || 라스트 썸머 || ''L'été dernier'' || [[카트린느 브레야]]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프렌치 수프]] || ''La Passion De Dodin Bouffant'' || [[트란 안 훙]]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납치(2023)|납치]] || ''Rapito'' || [[마르코 벨로키오]]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이탈리아]],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독일]] || || [[메이 디셈버]] || ''May December'' || [[토드 헤인즈]]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 || 선동가 || ''Firebrand'' || 카림 아이노우즈[* '인비저블 라이프'로 [[제72회 칸 영화제]] 주목할만한 시선 대상을 수상했다.] || [[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영국]] || || [[나의 올드 오크]] || ''The Old Oak'' || [[켄 로치]] || [[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25]] [[벨기에]] || || [[바넬과 아다마]] [*Cdo] || ''Banel et Adama'' || 라마타 툴라예 사이 || [[파일:말리 국기.svg|width=25]] [[말리]], [[파일:세네갈 국기.svg|width=25]] [[세네갈]],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퍼펙트 데이즈]] || ''Perfect Days'' || [[빔 벤더스]]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일본]] || || [[청춘(봄)]] || ''Jeunesse'' || [[왕빙]]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width=25]] [[룩셈부르크]],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25]] [[네덜란드]] || || 검은 파리들 || ''Black Flies'' || 장 스테판 소베르[* [[제70회 칸 영화제]] 비경쟁 부문 초청작 '여명의 기도' 감독.]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 || 귀환[*QP] || ''Le Retour'' || 카트린 코르시니[* [[임파서블 러브]] 감독.]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Cdo] 표시는 황금카메라상(데뷔영화 상) 수상 자격에 부합되는 작품들이다. * [*QP] 표시는 퀴어종려상 수상 자격에 부합되는 작품들이다. === 주목할 만한 시선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annesuncertainregard.jpg|width=100%]]}}} || ||
{{{#e5d85c '''제목'''}}} || {{{#e5d85c '''원제'''}}} || {{{#e5d85c '''감독'''}}} || {{{#e5d85c '''국가'''}}} || || 비행자들 || ''Los Delincuentes'' || 로드리고 모레노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25]] [[아르헨티나]] || || 하우 투 해브 섹스[*Cdo][*QP] || ''How to Have Sex'' || 몰리 매닝 워커 || [[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영국]], [[파일:그리스 국기.svg|width=25]] [[그리스]] || || 굿바이 줄리아[*Cdo] || ''Goodbye Julia'' || 모하메드 코르도파니 ||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width=25]] [[수단 공화국]] || || 부리티 꽃 || ''Crowrã'' || 주앙 살라비자, 르네 네이더 메소라 || [[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25]] [[포르투갈]],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5]] [[브라질]] || || 단순한 실뱅처럼[*QP] || ''Simple Comme Sylvain'' || 모니아 초크리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캐나다]],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그 모든 거짓말의 어머니 || ''Kadib Abyad'' || 아스매 엘 무디르 || [[파일:모로코 국기.svg|width=25]] [[모로코]], [[파일:카타르 국기.svg|width=25]] [[카타르]],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width=25]]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이집트 국기.svg|width=25]] [[이집트]] || || 정착민들[*Cdo] || ''Los Colonos'' || 펠리페 갈베스 || [[파일:칠레 국기.svg|width=25]] [[칠레]],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25]] [[아르헨티나]],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파일:덴마크 국기.svg|width=25]] [[덴마크]], [[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영국]] || || 오멘[*Cdo] || ''Augure'' || 발로지 트시아니 || [[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25]] [[벨기에]],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25]] [[네덜란드]],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width=25]] [[콩고 민주 공화국]],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width=25]] [[남아프리카 공화국]] || || 연동 || ''燃冬'' || 안소니 천 || [[파일:중국 국기.svg|width=25]] [[중국]] || || 로잘리[*QP] || ''Rosalie'' || 스테파니 디주스토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살렘 || ''Salem'' || 장 베르나르 말린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뉴 보이 || ''The New Boy'' || 워릭 손턴[* '삼손과 데릴라'로 [[제62회 칸 영화제]] 황금카메라상을 수상했다.] || [[파일:호주 국기.svg|width=25]] [[호주]] || || 차라리 겨울 잠을 자고 싶어[*Cdo] || ''If Only I Could Hibernate'' || 졸야르갈 푸레브다쉬 || [[파일:몽골 국기.svg|width=25]] [[몽골]],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파일:스위스 국기.svg|width=25]] [[스위스]], [[파일:카타르 국기.svg|width=25]] [[카타르]] || || [[화란(영화)|화란]][*Cdo] || ''화란'' || 김창훈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대한민국]] || || 지구의 시 || ''Terrestrial Verses'' || 알리 아스가리, 알리레자 하타미 || [[파일:이란 국기.svg|width=25]] [[이란]] || || 잃을 게 없다[*Cdo] || ''Rien à Perdre'' || 델핀 들로제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무리들[*Cdo] || ''Les Meutes'' || 카말 라즈라크 || [[파일:모로코 국기.svg|width=25]] [[모로코]],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25]] [[벨기에]], [[파일:카타르 국기.svg|width=25]] [[카타르]],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width=25]] [[사우디아라비아]] || || 애니멀 킹덤[*개막작] || ''La Regne Animal'' || 토마스 카일리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강변의 착오 || ''河边的错误'' || 웨이슈준 || [[파일:중국 국기.svg|width=25]] [[중국]] || || 밤[*폐막작] || ''Une Nuit'' || 알렉스 뤼츠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25]] [[벨기에]] || * [*Cdo] 표시는 황금카메라상(데뷔영화 상) 수상 자격에 부합되는 작품들이다. * [*QP] 표시는 퀴어종려상 수상 자격에 부합되는 작품들이다. === 비경쟁부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anneshorscompetition.jpg|width=100%]]}}} || ||
{{{#e5d85c '''제목'''}}} || {{{#e5d85c '''원제'''}}} || {{{#e5d85c '''감독'''}}} || {{{#e5d85c '''국가'''}}} || || [[킬러스 오브 더 플라워 문]] || ''Killers of the Flower Moon'' || [[마틴 스코세이지]]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 || [[인디아나 존스: 운명의 다이얼]] || ''Indiana Jones and the Dial of Destiny'' || [[제임스 맨골드]]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 || [[거미집(영화)|거미집]] || ''거미집'' || [[김지운]]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대한민국]] || || 사제 피에르 - 전투 생활 || ''L'abbé Pierre - Une Vie De Combats'' || 프레데리크 텔리에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잔 뒤 바리]][*개막작] || ''Jeanne du Barry'' || [[마이웬]]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엘리멘탈(애니메이션)|엘리멘탈]][*폐막작] || ''Elemental'' || 피터 손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 ||<-4> {{{#e5d85c '''TV 시리즈'''}}} || || [[더 아이돌]][*QP][* 에피소드 두 편을 영화 형식으로 공개] || ''The Idol'' || 샘 레빈슨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 ||<-4> {{{#e5d85c 심야 상영}}} || || 알제의 왕 || ''OMAR LA FRAISE'' || 엘리아스 벨케다르 || [[파일: 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케네디 || ''KENNEDY'' || 아누락 카시압 || [[파일: 인도 국기.svg|width=25]] [[인도]] || || 살생제 || ''ACIDE'' || 쥐스트 필리포 || [[파일: 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힙노틱 || ''Hypnotic'' || [[로버트 로드리게스]]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 || [[탈출: PROJECT SILENCE]] || ''탈출: PROJECT SILENCE'' || [[김태곤(영화감독)|김태곤]]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대한민국]] || * [*QP] 표시는 퀴어종려상 수상 자격에 부합되는 작품들이다. === 칸 프리미어 === ||
{{{#e5d85c '''제목'''}}} || {{{#e5d85c '''원제'''}}} || {{{#e5d85c '''감독'''}}} || {{{#e5d85c '''국가'''}}} || || 사랑한 시간[*QP] || ''Le Temps d'Aimer'' || 카텔 퀼레베레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25]] [[벨기에]] || || [[클로즈 유어 아이즈]] || ''Cerrar los ojos'' || [[빅토르 에리세]] ||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5]] [[스페인]],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25]] [[아르헨티나]] || || 피에르와 마르뜨 보나르 || ''Bonnard, Pierre & Marthe'' || 마르탱 프로보스트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목(영화)|목]][*QP] || ''首'' || [[기타노 다케시]]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일본]] || || 밤에 길을 잃다 || ''Perdidos en la Noche'' || 아마트 에스칼란테 || [[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25]] [[멕시코]],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독일]],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25]] [[네덜란드]], [[파일:덴마크 국기.svg|width=25]] [[덴마크]] || || 사랑과 숲 || ''L'amour et les forêts'' || 발레리 돈젤리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유레카 || ''Eureka'' || [[리산드로 알론소]]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25]] [[아르헨티나]],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파일: 포르투갈 국기.svg|width=25]] [[포르투갈]],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독일]], [[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25]] [[멕시코]] || * [*QP] 표시는 퀴어종려상 수상 자격에 부합되는 작품들이다. === 특별 상영 === ||
{{{#e5d85c '''제목'''}}} || {{{#e5d85c '''원제'''}}} || {{{#e5d85c '''감독'''}}} || {{{#e5d85c '''국가'''}}} || || 유령들의 초상 || ''Retratos Fantasmas'' || 클레베르 멘돈사 필류[* '아쿠아리우스', [[바쿠라우]] 감독.] ||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5]] [[브라질]] || || 빔 벤더스의 안젤름 3D || ''Anselm'' || [[빔 벤더스]] ||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독일]] || || 점령된 도시 || ''Occupied City'' || [[스티브 맥퀸(영화 감독)|스티브 맥퀸]]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25]] [[네덜란드]], [[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영국]] || || 맨 인 블랙 || ''Man in Black'' || [[왕빙]]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영국]] || || 리틀 걸 블루 || ''Little Girl Blue'' || 모나 아샤슈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빵과 장미 || ''Bread and Roses'' || 사흐라 마니 || [[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국기.svg|width=25]] [[아프가니스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width=25]] [[파키스탄]] || || 마거리트의 정리 || ''Le Théorème de Marguerite'' || 아나 노비옹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파일:스위스 국기.svg|width=25]] [[스위스]] || || 로봇 드림[*아동용상영작] || ''Robot Dreams'' || 파블로 베르헤르 ||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5]] [[스페인]],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이상한 삶의 방식[*단편][*QP] || ''Strange Way of Life'' || [[페드로 알모도바르]] ||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5]] [[스페인]],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 || 불의 딸들[*단편] || ''Filles Du Feu'' || [[페드로 코스타]] || [[파일: 포르투갈 국기.svg|width=25]] [[포르투갈]] || * [*QP] 표시는 퀴어종려상 수상 자격에 부합되는 작품들이다. === 라 시네프 === ||
{{{#e5d85c '''제목'''}}} || {{{#e5d85c '''원제'''}}} || {{{#e5d85c '''감독'''}}} || {{{#e5d85c '''국가'''}}} || || 인사이드 더 스킨[*QP] || ''Daroone Poust'' || 샤파흐 아보사바 & 마리암 마흐디예 (Karnameh Film School) || [[파일:이란 국기.svg|width=25]] [[이란]] || || 보리스 존슨 죽이기 || ''Killing Boris Johnson'' || 무사 앨더슨-클라크 (NFTS) || [[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영국]] || || 네헤미치 || ''Nehemich'' || 유다지트 바수 (FTII) || [[파일:인도 국기.svg|width=25]] [[인도]] || || 이모젠 || ''Imogene'' || 케이티 블레어 ([[컬럼비아 대학교|Columbia University]])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 || 알 토라 || ''Al Toraa''' || 자드 차히네 (High Cinema Institute) || [[파일:이집트 국기.svg|width=25]] [[이집트]] || || 어느 화창한 날 || ''A Bright Sunny Day'' || 허위펑 ([[컬럼비아 대학교|Columbia University]])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 || 홀 || ''Hole'' || 황혜인 ([[한국영화아카데미|KAFA]])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대한민국]] || || 타인의 목소리 || ''La Voix Des Autres'' || 파티마 카시 (La Fémis)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엘렉트라 || ''Electra'' || 다리아 카슈에바 (FAMU) || [[파일:체코 국기.svg|width=25]] [[체코]] || || 트렌크 드알바 || ''Trenc D'Alba'' || 안나 야르게스 (ESCAC) ||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5]] [[스페인]] || || 노르웨이의 소산 || ''Norwegian Offspring'' || 말레네 에밀리에 링슈타트 (Den Danske Filmskole) || [[파일:덴마크 국기.svg|width=25]] [[덴마크]] || || 8일째 || ''Osmý Den'' || 페트르 필립추크 (FAMU) || [[파일:체코 국기.svg|width=25]] [[체코]] || || 이씨 가문의 형제들 || ''이씨 가문의 형제들'' || 서정미 ([[한국예술종합학교|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대한민국]] || || 토양 || ''Solos'' || 페드로 바르가스 (FAAP) ||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5]] [[브라질]] || || 달 || ''Ayyur'' || 지네브 와크림 (ÉSAV Marrakech) || [[파일:모로코 국기.svg|width=25]] [[모로코]] || || 시계인 || ''Uhrmenschen'' || 위하오 (Filmuniversität Babelsberg KONRAD WOLF) ||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독일]] || * [*QP] 표시는 퀴어종려상 수상 자격에 부합되는 작품들이다. === 단편 영화 === ||
{{{#e5d85c '''제목'''}}} || {{{#e5d85c '''원제'''}}} || {{{#e5d85c '''감독'''}}} || {{{#e5d85c '''국가'''}}} || || 암캐 || ''La Perra'' || 카를라 멜로 감페르트 || [[파일:콜롬비아 국기.svg|width=25]] [[콜롬비아]], [[파일: 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원래대로 || ''As It Was'' || 아나스타시아 솔로네비치 & 다미안 코커르 || [[파일:폴란드 국기.svg|width=25]] [[폴란드]],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25]] [[우크라이나]] || || 젖가슴 || ''Tits'' || 에이빈드 랜드스빅 || [[파일:노르웨이 국기.svg|width=25]] [[노르웨이]] || || 27[*QP] || ''27'' || 플로라 안나 부다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파일:헝가리 국기.svg|width=25]] [[헝가리]] || || 내 어머니의 성 || ''Le Sexe De Ma Mère'' || 프랑시스 카니트로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밤이긴 하지만 || ''Aunque Es De Noche'' || 기예르모 가르시아 로페즈 ||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5]] [[스페인]],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네버엔딩 코미디 속 바스리와 살마 || ''Basri & Salma in a Never-Ending Comedy'' || 코지 리잘 ||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width=25]] [[인도네시아]] || || 푸프 || ''Poof'' || 마거릿 밀러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 || 이 모든 것 중 아무것도 || ''Nada De Todo Esto'' || 파트리코 마르티네즈 & 프란시스코 칸톤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25]] [[아르헨티나]],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5]] [[스페인]] || || 사나운 소환 || ''Wild Summon'' || 카르니 아리엘리 & 사울 프리드 || [[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영국]] || || 약간 || ''Fár'' || 군누르 마르틴스도티르 슐뤼터 ||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width=25]] [[아이슬란드]] || * [*QP] 표시는 퀴어종려상 수상 자격에 부합되는 작품들이다. === 칸 클래식 === === 해변의 영화관 === == 독립부문 상영작 == === 감독주간 === ||
{{{#e5d85c '''제목'''}}} || {{{#e5d85c '''원제'''}}} || {{{#e5d85c '''감독'''}}} || {{{#e5d85c '''국가'''}}} || ||<-4> {{{#e5d85c 극영화}}} || || 더 골드만 케이스[*개막작] || ''LE PROCÉS GOLDMAN'' || 세드리크 칸 || [[파일: 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아브라함 계곡[* 30주년 특별상영] || ''VAL ABRAÃO'' || [[마누에우 드 올리베이라]] || [[파일: 포르투갈 국기.svg|width=25]] [[포르투갈]] || || 아그라 || ''AGRA'' || 카누 벨 || [[파일: 인도 국기.svg|width=25]] [[인도]] || || 또 다른 로렌스 || ''L’AUTRE LAURENS'' || 클로드 슈미츠 || [[파일: 벨기에 국기.svg|width=25]] [[벨기에]] || || 노란 누에고치 껍데기 속[*Cdo] || ''BÊN TRONG VỎ KÉN VÀNG'' || 팜 티엔 안 || [[파일: 베트남 국기.svg|width=25]] [[베트남]] || || 블랙버드 블랙버드 블랙베리 || ''BLACKBIRD BLACKBIRD BLACKBERRY'' || 엘레네 나베리아니 || [[파일: 조지아 국기.svg|width=25]] [[조지아]] || || 기품[*Cdo] || ''Блажь'' || 일리야 포볼로스키 || [[파일: 러시아 국기.svg|width=25]] [[러시아]] || || 코난[*QP] || ''CONANN'' || 베르트랑 만디코 || [[파일: 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창조물 || ''CREATURA'' || 엘레나 마르틴 || [[파일: 스페인 국기.svg|width=25]] [[스페인]] || || 사막 || ''DÉSERTS'' || 파우지 벤사이디 || [[파일: 모로코 국기.svg|width=25]] [[모로코]] || || 불꽃 속으로 || ''IN FLAMES'' || 자라르 칸 || [[파일: 파키스탄 국기.svg|width=25]] [[파키스탄]] || || 리그 || ''LÉGUA'' || 필리파 레이스, 조아오 밀러 구에라 || [[파일: 포르투갈 국기.svg|width=25]] [[포르투갈]] || || 공드리의 솔루션북 || ''LE LIVRE DES SOLUTIONS'' || [[미셸 공드리]] || [[파일: 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맘바르 피에레트 || ''MAMBAR PIERRETTE'' || 로시네 음바캄 || [[파일: 벨기에 국기.svg|width=25]] [[벨기에]] || || 불의 수수께끼[*Cdo] || ''RIDDLE OF FIRE'' || 웨스톤 라줄리 || [[파일: 캐나다 국기.svg|width=25]] [[캐나다]] || || 무언가를 할 수 있는 시간이 지났다는 느낌[*Cdo] || ''THE FEELING THAT THE TIME FOR DOING SOMETHING HAS PASSED'' || 조안나 아르노 || [[파일: 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 || 달콤한 동녘[*Cdo] || ''THE SWEET EAST'' || 숀 프라이스 윌리엄스 || [[파일: 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 || 한 왕자[*QP] || ''UN PRINCE'' || 피에르 크레톤 || [[파일: 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블루 송[*Cdo][*QP] || ''小白船'' || 겅쯔한 || [[파일: 중국 국기.svg|width=25]] [[중국]] || || [[우리의 하루]][*폐막작] || ''우리의 하루'' || [[홍상수]] || [[파일: 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대한민국]] || * [*Cdo] 표시는 황금카메라상(데뷔영화 상) 수상 자격에 부합되는 작품들이다. * [*QP] 표시는 퀴어종려상 수상 자격에 부합되는 작품들이다. === 비평가주간 === ||
{{{#e5d85c '''제목'''}}} || {{{#e5d85c '''원제'''}}} || {{{#e5d85c '''감독'''}}} || {{{#e5d85c '''국가'''}}} || || 클레오의 세계[*개막작] || ''ÀMA GLORIA'' || 마리 아마추켈리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빈센트 머스트 다이[*Cdo] || ''VINCENT DOIT MOURIR'' || 스테판 카스탕 || [[파일: 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지나간 사랑의 증후군 || ''LE SYNDROME DE AMOURS PASSÉES'' || 앤 시롯, 라파엘 발로니 || [[파일: 벨기에 국기.svg|width=25]] [[벨기에]], [[파일: 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호랑이 소녀[*Cdo] || ''TIGER STRIPES'' || 아만다 넬 유 || [[파일: 말레이시아 국기.svg|width=25]] [[말레이시아]], [[파일: 태국 국기.svg|width=25]] [[태국]], [[파일: 싱가포르 국기.svg|width=25]] [[싱가포르]], [[파일: 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파일: 독일 국기.svg|width=25]] [[독일]], [[파일: 인도네시아 국기.svg|width=25]] [[인도네시아]], [[파일: 카타르 국기.svg|width=25]] [[카타르]] || || 파워 앨리[*Cdo][*QP] || ''LEVANTE'' || 릴라 알라 || [[파일: 브라질 국기.svg|width=25]] [[브라질]], [[파일: 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파일: 우루과이 국기.svg|width=25]] [[우루과이]] || || [[잠(영화)|잠]][*Cdo] || ''잠'' || [[유재선]] || [[파일: 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대한민국]] || || 황홀경[*Cdo] || ''LE RAVISSEMENT'' || 이리스 칼텐백 || [[파일: 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잃어버린 나라 || ''LOST COUNTRY'' || 블라디미르 페리시치 || [[파일: 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파일: 세르비아 국기.svg|width=25]] [[세르비아]], [[파일: 룩셈부르크 국기.svg|width=25]] [[룩셈부르크]], [[파일: 크로아티아 국기.svg|width=25]] [[크로아티아]] || || 인샬라 어 보이[*Cdo] || ''ان شاء الله ولد'' || 아마드 알 라시드 || [[파일: 요르단 국기.svg|width=25]] [[요르단]], [[파일: 아랍에미리트 국기.svg|width=25]] [[아랍에미리트]], [[파일: 카타르 국기.svg|width=25]] [[카타르]], [[파일: 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집안에 비가 내린다[*Cdo] || ''IL PLEUT DANS LA MAISON'' || 팔로마 세르몬-다이 || [[파일: 벨기에 국기.svg|width=25]] [[벨기에]], [[파일: 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노 러브 로스트[*폐막작] || ''LA FILLE DE SON PÉRE'' || 에르완 레 뒥 || [[파일: 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Cdo] 표시는 황금카메라상(데뷔영화 상) 수상 자격에 부합되는 작품들이다. * [*QP] 표시는 퀴어종려상 수상 자격에 부합되는 작품들이다. == 수상 == === 공식부문 === '''<경쟁부문>''' * '''[[칸 영화제/황금종려상|황금종려상]] : [[추락의 해부]] ([[쥐스틴 트리에]])''' * '''[[칸 영화제/그랑프리|그랑프리(심사위원대상)]] : [[더 존 오브 인터레스트]] ([[조나단 글레이저]])''' * '''[[칸 영화제/심사위원상|심사위원상]] : [[사랑은 낙엽을 타고]] ([[아키 카우리스마키]])''' * '''[[칸 영화제/감독상|감독상]] : [[트란 안 홍]] ([[프렌치 수프]])''' * '''[[칸 영화제/각본상|각본상]] : [[괴물(일본 영화)|괴물]] ([[사카모토 유지]])''' * '''[[칸 영화제/남우주연상|남우주연상]] : [[야쿠쇼 코지]] ([[퍼펙트 데이즈]])''' * '''[[칸 영화제/여우주연상|여우주연상]] : 메르베 디즈다르 (마른 풀에 관하여) ''' '''<주목할 만한 시선>''' * '''주목할 만한 시선 상 : 하우 투 해브 섹스 (몰리 매닝 워커)''' * '''주목할 만한 시선 심사위원상 : 무리들 (카말 라즈라크)''' * '''주목할 만한 시선 감독상 : 아스매 엘 무디르 (모든 거짓말의 어머니)''' * '''주목할만한 시선 프리덤 상 : 굿바이 줄리아 (모하메드 코르도파니)''' * '''주목할 만한 시선 앙상블 상: 부리티 꽃 (주앙 살라비자, 르네 네이더 메소라 감독) 의 감독, 캐스트, 크루 전원''' * '''주목할만한 시선 뉴 보이스 상 : 오멘 (발로지 트시아니)''' '''<황금카메라>''' * '''황금카메라상 : 팜 티엔 안 (노란 고치 껍질 안에서)''' '''<단편 영화>''' * '''단편 황금종려상 : 27 (플로라 안나 부다)''' * '''특별 언급 : 약간 (군누르 마르틴스도티르 슐뤼터)''' '''<라 시네프>''' * '''1등상 : 노르웨이의 소산 (말레네 에밀리에 링슈타트)''' * '''2등상 : 홀 (황혜인)''' * '''3등상 : 달 (지네브 와크림)''' '''<명예황금종려상>''' * '''명예황금종려상(공로상) : [[마이클 더글러스]], [[해리슨 포드]]''' === 독립부문 === '''<국제영화비평가연맹(FIPRESCI)상>''' * [[더 존 오브 인터레스트]] ([[조나단 글레이저]]) - 경쟁 부문 * 정착민들 (펠리페 갈베스) - 주목할만한 시선 부문 * 파워 앨리 (릴라 알라) - 독립부문 (데뷔작) '''<에큐메니컬 상>''' * 에큐메니컬 상: [[퍼펙트 데이즈]] ([[빔 벤더스]]) '''<국제비평가주간>''' * 심사위원대상: 호랑이 소녀 (아만다 넬 유) * 프렌치 터치 심사위원상: 집안에 비가 내린다 (팔로마 세르몬-다이) * 루이 로드레 재단 떠오르는 스타상: 조반 지니치 (잃어버린 나라) * 라이츠 씨네 단편 발굴상: 볼레로 (난스 라보르드-주르다) * Gan 재단 배급상: 인샬라 어 보이 (아마드 알 라시드) * SACD 상: 이리스 칼텐백 (황홀경) * [[카날+]] 단편 상: 볼레로 (난스 라보르드-주르다) '''<감독주간>''' * 유럽 작품 유로파 시네마 라벨 상: 창조물 (엘레나 마르틴) * 프랑스어 작품 SACD 상: 한 왕자 (피에르 크레톤) * 황금 마차상: 슐레이만 시세 '''<다큐멘터리상>''' * 다큐멘터리상: [[올파의 딸들|포 도터스]] (카우터르 벤 하니야), 그 모든 거짓말의 어머니 (아스매 엘 무디르) '''<프랑수아 살레상>''' * 프랑수아 살레 상: [[올파의 딸들|포 도터스]] (카우터르 벤 하니야) '''<시민상>''' * 시민 상: [[올파의 딸들|포 도터스]] (카우터르 벤 하니야) '''<영화 예술과 에세이 상>''' * AFCAE 아트하우스 영화상: [[키메라(2023)|키메라]] ([[알리체 로르바케르]]) * 특별언급상: [[사랑은 낙엽을 타고]] ([[아키 카우리스마키]]) '''<퀴어 종려상>''' * 퀴어 종려상: [[괴물(일본 영화)|괴물]] ([[고레에다 히로카즈]]) * 단편 퀴어 종려상: 볼레로 (난스 라보르드-주르다) '''<개 종려상>''' * 개 종려상: 메시[* 시상식 당시 직접 참석하지 못하고 다른 개가 대리수상하였다.](추락의 해부학) * 심사위원대상: 알마 ([[사랑은 낙엽을 타고]]) * 개의 순간: [[키메라(2023)|키메라]] * 장려상: 수지 (빈센트 머스트 다이) * 평생공로상: [[켄 로치]] * 도그매니태리안 종려상: [[이사벨라 로셀리니]] '''<칸 사운드트랙 상>''' * 칸 사운드트랙 상: 미카 레비 ([[더 존 오브 인터레스트]]) '''<트로페 [[쇼파드]] 상>''' * 남자 수상자: 대릴 맥코맥 * 여자 수상자: 나오미 애키 == 이모저모 == * [[2013년]] [[제66회 칸 영화제]] 이후로 10년 만에 공동 수상이 없는 시상식이 되었다. * [[왕빙]]의 '청춘'은 [[바시르와 왈츠를]] 이후 15년만에 다큐멘터리 경쟁 초청작이 되었다. * [[조니 뎁]]이 [[잔 뒤 바리]] 영화로 포토콜 행사에 참여했을 때, "[[할리우드]]에서 보이콧 당했냐"는 질문에 자신은 더이상 할리우드가 필요하지 않다는 답변을 해 화제가 됐다.[[https://www.news1.kr/articles/?5050324|국내 기사]] 여기다 [[마이웬]]이 개막 전 전 남편 [[뤽 베송]] 성폭력 보도를 이유로 언론인을 폭행해 논란이 되었다. * 조니 뎁의 영화가 상영된단 이유로 페미니즘 단체에서 칸 영화제를 보이콧하고 나섰다. 트위터에선 #CannesYouNot 해시태그를 걸고 있다. 한 기자는 경쟁부문 심사위원으로 참석한 [[브리 라슨]]에게 이 같은 상황을 언급하면서[* 영화와 아무 상관없는 브리 라슨의 미투운동 지지 전력과 조니 뎁의 사생활을 억지로 엮으며 질문했다.] 조니 뎁의 영화를 볼 계획이 있는지 물었는데, 브리 라슨은 굉장히 당황해하며 "지금 저에게 묻는 건가요? 그게 저와 무슨 상관인지 모르겠네요. 본다면 보겠지만, 만약에 영화를 봐도 영화를 어떻게 느낄지 잘 모르겠네요."라고 사실상 답변을 거부했다.[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Variety/status/1658480088286130181, 크기=20)] 이후 [[폴 다노]]에 의하면 심사위원들이 조니 뎁의 영화를 봤다고 한다.[[https://www.nytimes.com/2023/05/17/movies/brie-larson-johnny-depp-cannes.html|#]] * 상술한 조니 뎁 초청논란에 대하여 배우 [[아델 에넬]]은 은퇴를 발표하며 "칸 영화제가 성폭력범들을 축하한다"며 강하게 비판했다. 이에 대해 집행위원장 티에리 프레모는 표현의 자유를 언급하며 동의할 수 없단 입장을 표명했다.[[https://variety.com/2023/film/global/cannes-theirry-fremaux-johnny-depp-backlash-1235612814/|#]] * 여기다 경쟁에 오른 [[카트린 코르시니]]의 귀환 같은 경우, 미성년자 자위 장면 촬영[* 이 장면은 결국 삭제되었다고 한다.] 및 감독의 촬영 스태프에게 폭언 및 부당 대우, 스태프 간 성추행 폭로가 터져 해당 스태프들이 항의 시위에 나서는 등[* 코르시니는 의혹을 부정했다.] 전반적으로 어수선한 분위기다. 이 때문에 칸 시 곳곳에서 칸 영화제 및 프랑스 영화계를 비판하는 포스터가 붙었다. * [[빅토르 에리세]] 신작 '[[클로즈 유어 아이즈]]'가 티에리 프레모에게 아무 언질 없이 경쟁이 아닌 칸 프리미어에 초청되자 에리세가 항의하고 시사회에 불참했다. 당시 '눈을 감아요'는 감독주간 및 베니스 영화제, 로카르노 영화제 초청 오퍼가 들어와 있었다고 한다. [[https://elpais.com/cultura/2023-05-24/carta-abierta-de-victor-erice-sobre-el-festival-de-cannes.html?utm_medium=social&utm_campaign=echobox&utm_source=Twitter&ssm=TW_CM#Echobox=1684906560-1|출처]] * 경쟁 부문 상영작인 예시카 하우스너 감독의 클럽 제로 상영 중 관객의 야유가 나왔다고 한다. * [[남우주연상]]을 [[야쿠쇼 코지]]가 수상함에 따라 지난해 수상자인 [[송강호]]에 이어 2년 연속 아시아 배우가 수상했다. 특이하게도 두 배우 모두 외국 감독이 배우 출신국에서 제작한 영화로 연기상을 수상했다. [[분류:칸 영화제]][[분류:2023년 행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