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white 역대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시상식}}}''' || || [[제70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 → || '''제71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 → || [[제72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 [목차] == 개요 == [include(틀:영상 정렬, url=VIFpBhbHfI0)] [[2018년]] [[2월 18일]]에 로열 앨버트 홀에서 개최된 [[BAFTA#s-2.1|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시상식]] (BAFTA Film Awards). MC는 배우 조애나 럼리(Joanna Lumley)가 맡았다. 이때 [[김민희(1982)|김민희]], [[김태리]] 주연의 [[박찬욱]] 감독 영화 <[[아가씨(영화)|아가씨]]>가 [[대한민국]] 영화 최초로 BAFTA 비영어영화상에 노미네이트 되었다. 이후 최종 수상까지 하여 한국 영화 최초의 BAFTA 비영어영화상 수상작이 되었다.[* 다만 <아가씨> 팀이 시상식에 참석하지 않았기 때문에 수상 소감 없이 넘어갔다. [[https://www.youtube.com/watch?v=xZyQIaGQjtA&t=7017s|수상 발표 영상]]] == 수상작 및 후보작 == 다수 부문 노미네이트 된 작품들은 다음과 같다. * 12개 부문 노미네이트 (최다) - <[[셰이프 오브 워터: 사랑의 모양]]>[* 작품 / '''감독''' / 여우주연 / 여우조연 / 각본 / 촬영 / 편집 / '''음악''' / 음향 / 특수시각효과 / '''미술''' / 의상] * 9개 부문 노미네이트 - <[[쓰리 빌보드]]>[*최다수상 '''작품''' / 감독 / '''여우주연''' / '''남우조연''' / '''각본''' / 촬영 / 편집 / '''영국영화'''], <[[다키스트 아워]]>[* 작품 / '''남우주연''' / 여우조연 / 촬영 / 음악 / 미술 / 분장 / 의상 / 영국영화] * 8개 부문 노미네이트 - <[[블레이드 러너 2049]]>[* 감독 / '''촬영''' / 편집 / 음악 / 미술 / 분장 / 음향 / '''특수시각효과'''], <[[덩케르크(영화)|덩케르크]]>[* 작품 / 감독 / 촬영 / 편집 / 음악 / '''음향''' / 미술 / 특수시각효과] * 5개 부문 노미네이트 - <[[아이, 토냐]]>[* 여우주연 / '''여우조연''' / 각본 / 분장 / 의상] * 4개 부문 노미네이트 - <[[콜 미 바이 유어 네임]]>[* 작품 / 감독 / 남우주연 / '''각색'''], <[[팬텀 스레드]]>[* 남우주연 / 여우조연 / 음악 / '''의상'''] * 3개 부문 노미네이트 - <[[필름스타 인 리버풀]]>[* 여우주연 / 남우주연 / 각색], <[[레이디 버드]]>[* 여우주연 / 여우조연 / 각본], <[[패딩턴 2]]>[* 남우조연 / 각색 / 영국영화] === 작품상 === [include(틀:영상 정렬, url=OhpBb-OjaQg)] ||
{{{#ffffff,#2d2f34 '''작품''' }}} || {{{#ffffff,#2d2f34 '''제작자''' }}} || || '''[[쓰리 빌보드]]''' || '''그레이엄 브로드벤트[br]피트 처닌[br][[마틴 맥도나]]''' || || [[덩케르크(영화)|덩케르크]] || [[크리스토퍼 놀란]][br]엠마 토머스 || || [[셰이프 오브 워터: 사랑의 모양]] || [[기예르모 델 토로]][br]J. 마일스 데일 || || [[콜 미 바이 유어 네임]] || 에밀리에 조제스[br][[루카 구아다니노]][br]마르코 모라비토[br]피터 스피어스 || || [[다키스트 아워]] || 팀 베번[br]리사 브루스[br]에릭 펠너[br]안소니 맥카튼[br]더글러스 어번스키 || <[[쓰리 빌보드]]>가 수상하였다. 시상자는 [[다니엘 크레이그]]. === 감독상 === [include(틀:영상 정렬, url=UGHim_jC_jU)] ||
{{{#ffffff,#2d2f34 '''감독''' }}} || {{{#ffffff,#2d2f34 '''작품''' }}} || || [[크리스토퍼 놀란]] || [[덩케르크(영화)|덩케르크]] || || '''[[기예르모 델 토로]]''' || '''[[셰이프 오브 워터: 사랑의 모양]]''' || || [[드니 빌뇌브]] || [[블레이드 러너 2049]] || || [[루카 구아다니노]] || [[콜 미 바이 유어 네임]] || || [[마틴 맥도나]] || [[쓰리 빌보드]] || <셰이프 오브 워터:사랑의 모양>의 기예르모 델 토로가 수상하였다. 시상자는 [[나오미 해리스]]와 [[패트릭 스튜어트]]. === 여우주연상 === [include(틀:영상 정렬, url=0pHKYPpnEv4)] ||
{{{#ffffff,#2d2f34 '''배우''' }}} || {{{#ffffff,#2d2f34 '''작품''' }}} || || '''[[프란시스 맥도맨드]]''' || '''[[쓰리 빌보드]]''' || || [[시얼샤 로넌]] || [[레이디 버드]] || || [[아네트 베닝]] || [[필름스타 인 리버풀]] || || [[샐리 호킨스]] || [[셰이프 오브 워터: 사랑의 모양]] || || [[마고 로비]] || [[아이, 토냐]] || <쓰리 빌보드>에서 아이를 잃은 어머니 역할로 열연한 프란시스 맥도맨드가 수상하였다. 시상자는 [[추이텔 에지오포]][* 제67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에서 <[[노예 12년(영화)|노예 12년]]>으로 남우주연상을 받았다.]. === 남우주연상 === [include(틀:영상 정렬, url=AvfdpEGBPms)] ||
{{{#ffffff,#2d2f34 '''배우''' }}} || {{{#ffffff,#2d2f34 '''작품''' }}} || || [[대니얼 칼루야|다니엘 칼루야]] || [[겟 아웃(영화)|겟 아웃]] || || [[다니엘 데이 루이스]] || [[팬텀 스레드]] || || [[제이미 벨]] || [[필름스타 인 리버풀]] || || [[티모시 샬라메]] || [[콜 미 바이 유어 네임]] || || '''[[게리 올드만]]''' || '''[[다키스트 아워]]''' || <다키스트 아워>에서 [[윈스턴 처칠]] 전 영국 수상 역을 맡아 열연한 게리 올드만이 수상하였다. 시상자는 [[셀마 헤이엑]]. === 여우조연상 === [include(틀:영상 정렬, url=Br1cTp23gmU)] ||
{{{#ffffff,#2d2f34 '''배우''' }}} || {{{#ffffff,#2d2f34 '''작품''' }}} || || '''앨리슨 재니''' || '''[[아이, 토냐]]''' || || [[크리스틴 스콧 토머스]] || [[다키스트 아워]] || || 로리 멧카프 || [[레이디 버드]] || || 레슬리 맨빌 || [[팬텀 스레드]] || || [[옥타비아 스펜서]] || [[셰이프 오브 워터: 사랑의 모양]] || 앨리슨 재니가 수상하였다. 시상자는 [[브라이언 크랜스턴]]. === 남우조연상 === [include(틀:영상 정렬, url=Olj4vrAwPE0)] ||
{{{#ffffff,#2d2f34 '''배우''' }}} || {{{#ffffff,#2d2f34 '''작품''' }}} || || [[휴 그랜트]] || [[패딩턴 2]] || || [[우디 해럴슨]] || [[쓰리 빌보드]] || || [[윌렘 대포]] || [[플로리다 프로젝트]] || || [[크리스토퍼 플러머]] || [[올 더 머니]] || || '''[[샘 록웰]]''' || '''[[쓰리 빌보드]]''' || [[샘 록웰]]이 수상하였다. 시상자는 [[루피타 뇽오]]. === 기타 부문 수상 === 각본상: <[[쓰리 빌보드]]> 각색상: <[[콜 미 바이 유어 네임]]>[* [[제임스 아이보리]]가 수상해, 역대 최고령 수상자가 됐다.] 비영어영화상: <[[아가씨(영화)|아가씨]]> 영국영화상: <[[쓰리 빌보드]]> 촬영상: <[[블레이드 러너 2049]]> 편집상: <[[베이비 드라이버]]> 음악상: <[[셰이프 오브 워터: 사랑의 모양]]> 음향상: <[[덩케르크(영화)|덩케르크]]> 특수시각효과상: <[[블레이드 러너 2049]]> 미술상: <[[셰이프 오브 워터: 사랑의 모양]]> 분장상: <[[다키스트 아워]]> 의상상: <[[팬텀 스레드]]> 장편애니메이션상: <[[코코(애니메이션)|코코]]> 다큐멘터리상: <[[아이 엠 낫 유어 니그로]]> 영국데뷔작상: <나는 마녀가 아니다> 영국단편영화상: <카우보이 데이브> 영국단편애니메이션상: <폴스 아파트> 라이징스타상: [[대니얼 칼루야|다니엘 칼루야]][* [[플로렌스 퓨]], [[티모시 샬라메]], [[테사 톰슨]], 조쉬 오코너를 제치고 수상하였다.] 평생공로상: [[리들리 스콧]] 영국인공로상: 내셔널 필름 앤드 텔레비전 스쿨 [[분류:영국 아카데미 영화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