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일본의 주요선거)] ||<-5><:>{{{#ffffff,#dddddd {{{+1 '''대일본제국 제6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 ||<-5><:>{{{#!wiki style="margin: -7px -12px" ||<:>{{{-2 [[1898년]] [[3월 15일]]}}}[br][[제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5회 중원선]]||<:>→||<:>{{{-2 [[1898년]] [[8월 10일]]}}}[br]'''6회 중원선'''||<:>→||<:>{{{-2 [[1902년]] [[8월 10일]]}}}[br][[제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7회 중원선]]||}}}|| ||<:>{{{#2D3865,#CFA547 '''투표율'''}}}||<-4>79.91% {{{-3 {{{#4b5eaa ▼ 7.59%p}}}}}}|| ||<-5><:>{{{#ffffff,#dddddd '''선거 결과'''}}}|| ||<-5><:>{{{#!wiki style="margin: -5px 0px"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width=100%]]}}}|| ||<:><-2>'''회파'''||<:>'''득표수'''||<:>'''의석수'''||<:>'''비율'''|| ||<-2><:>[[헌정당|[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EC8181,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헌정당)]]]||<|7><:>(자료 없음)||<:>'''244석'''||<:>'''81.33%'''|| ||<-2><:>[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9B95C9, 사이즈=.9em, 글자색=#000000, 내용=국민협회)]||<:>'''21석'''||<:>'''7.00%'''|| ||<-2><:>[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00FF00, 사이즈=.9em, 글자색=#000000, 내용=일길구락부)]||<:>'''9석'''||<:>'''3.00%'''|| ||<-2><:>[[무소속|[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808080,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무소속)]]]||<:>'''26석'''||<:>'''8.68%'''|| [목차] == 개요 == 1898년 8월 10일, 일본에서 개최된 중의원 의원 총선거이다. 투표율은 79.91%를 기록했다. == 진행 == == 결과 == === 전국 결과 === || 정당 || 당수 || 의석수 || 비율 || 증감 || || 헌정당 || [[오쿠마 시게노부]] || 244석 || 81.33% || 신생 정당[* 입헌자유당, 진보당 두 민당이 합당하여 수립한 정당이다.] || || 국민협회 || [[시나가와 야지로]] || 21석 || 7.00% || -8석 || || 일길구락부 || 알수 없음 || 9석 || 3.00% || 신생 정당 || || 무소속 || - || 26석 || 8.68% || +3석 || === 지역별 결과 === ==== 도호쿠 ==== * 아오모리: 헌정당 4 * 이와테: 헌정당 5 * 아키타: 헌정당 4, 무소속 1 * 미야기: 헌정당 5 * 야마가타: 헌정당 6 * 후쿠시마: 헌정당 7 ==== 호쿠리쿠 ==== * 도야마: 헌정당 5 * 이시카와: 헌정당 6 * 후쿠이: 헌정당 4 헌정당이 가장 높은 지지를 받았던 곳이며 총 의석의 100%를 가져갔다. ==== 고신에쓰 ==== * 니가타: 헌정당 13 * 야마나시: 헌정당 3 * 나가노: 헌정당 7, 무소속 1 호쿠리쿠와 마찬가지로 무소속 1명을 제외하면 헌정당이 싹쓸이했다. ==== 간토 ==== * 군마: 헌정당 5 * 도치기: 헌정당 5 * 이바라키: 헌정당 8 * 도쿄: 헌정당 12, 일길구락부 1, 무소속 1 * 가나가와: 헌정당 4, 무소속 1 * 사이타마: 헌정당 8 * 치바: 헌정당 8, 무소속 1 ==== 도카이 ==== * 기후: 헌정당 4, 국민협회 2, 무소속 1 * 시즈오카: 헌정당 8 * 아이치: 헌정당 7, 일길구락부 3, 국민협회 1 일길구락부가 꽤 선전했던 지역이며 국민협회도 전체적인 추세와는 달리 괜찮은 성적을 거뒀다. ==== 간사이 ==== * 오사카: 헌정당 4, 국민협회 1, 일길구락부 1, 무소속 4 * 나라: 헌정당 4 * 교토: 헌정당 5, 일길구락부 2 * 와카야마: 헌정당 5 * 미에: 헌정당 7 * 시가: 헌정당 5 * 효고: 헌정당 12 ==== 주코쿠 ==== * 돗토리: 헌정당 3 * 시마네: 헌정당 2, 일길구락부 2, 무소속 2 * 오카야마: 헌정당 8 * 히로시마: 헌정당 7, 무소속 2, 국민협회 1 * 야마구치: 국민협회 7 보수의 왕국 야마구치 답게 비민권파인 국민협회가 7석 전부를 차지했다. ==== 시코쿠 ==== * 도쿠시마: 헌정당 4, 무소속 1 * 가기와: 헌정당 4, 무소속 1 * 에히메: 헌정당 7 * 고치: 헌정당 4 ==== 규슈 ==== * 후쿠오카: 헌정당 9 * 사가: 헌정당 4 * 나가사키: 헌정당 5, 국민협회 1, 무소속 1 * 구마모토: 국민협회 6, 헌정당 1, 무소속 1 * 오이타: 헌정당 3, 국민협회 2, 무소속 1 * 미야자키: 헌정당 3 * 가고시마: 무소속 7 == 주요 당선자 == === 헌정당 === ==== 구 입헌자유당 출신 ==== * 가타오카 겐키지(片岡 健吉, '''의장'''): 고치 3구 * 고쿠라 노부치카(小倉 信近, 후쿠시마 현지사, 미에 현지사, 군마 현지사, 사법성 관방장관): 야마가타 2구 ==== 구 진보당 출신 ==== * [[오자키 유키오]](尾崎 行雄, 문부대신, 후일 사법대신, 최다선 의원으로 의회 정치의 아버지라 불림): 미에 5구 * '''[[이누카이 츠요시]]'''(犬養毅, '''일본 제29대 총리'''): 오카야마 3구 * 타나카 쇼조(田中 正造, [[아시오 광독 사건]] 참조.) === 국민협회 === * 오오카 요쿠조(大岡育造, 후일 중의원 의장, 문부대신): 야마구치 3구 * 와다 히코지로(和田彦次郎, 농상무차관): 히로시마 4구 === 일길구락부 === === 무소속 === * 하세바 쥰타카(長谷場 純孝, 후일 중의원 의장, 문부대신): 가고시마 3구 [[분류:일본의 정치]][[분류:일본의 선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