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사건사고)] [목차] == 개요 == [[토모즈루 사건]]처럼 [[일본 제국 해군]]의 '조약의 한계까지 함의 성능을 추구한다'는 과도한 개함우월주의로 벌어진 해양사고. == 사고원인 == [[일본]] [[해군]]은 1934년에 일어난 [[어뢰정|수뢰정]] 토모즈루의 전복사건을 계기로 보유 함정의 복원성 개선공사에 착수해 이를 마무리지었다. 그리고 [[런던 해군 군축조약]]이 발효되면서 국제정세가 악화되자 [[해군력]]의 확충에 매우 분주했다. 제4[[함대]]는 4년에 한 번 있는 대연습에서 가상적군 역할을 맡게 되었다. 1935년 9월 26일에 해군연습을 위해서 임시로 편성된 제4함대의 [[함대사령관|사령관]] 마쓰시타 하지메(松下元) 해군 [[중장]]은 이와테 현(岩手県) 동쪽 해협 250해리에서 9월 24일부터 25일에 걸쳐 [[보급]][[부대]], 수뢰[[전대]], 주력부대, [[잠수함|잠수]]전대를 하코다테 항에서 출발시켰다. 25일 당시 제7호 태풍은 이미 일본을 벗어나 북쪽으로 향하고 있었기 때문에 훈련에는 큰 차질이 없을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그런데 25일 22시에 새로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는 태풍이 일본을 지나가게 되었다. 다만 그래도 기후에는 큰 영향이 없을 것이라는 것이 공식적인 기상예보였다. 그리고, 9월 26일 오전 6시의 기상예보로 '''25일의 기상예보가 틀렸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원래 예측과 달리 정오 무렵에는 함대가 태풍의 영향을 받게 될 상황이 된 것. 이 때문에 함대를 회항시키려 했지만, 이미 해상의 상황은 악화되어 있던 상태라 무리해서 항해하다가는 잘못하면 [[함선]]끼리 충돌을 일으킬 수도 있고, 이미 약 20m/s의 속도로 진행중인데다 점점 더 성장하는 태풍의 영향을 벗어나기 힘들겠다고 판단한 해군은 결국 훈련을 계속했다. 14시 30분경, '''제4함대는 약 40m/s의 속력으로 돌진하는 태풍 속으로 진입하였고, 이 때 파도 높이는 약 14m에서 18m 사이였다.''' 이 때문에 [[경항공모함]] [[류죠]], [[호쇼]]의 [[함교]] 유리창이 파손되었으며, 15m의 파도를 맞은 [[구축함]] 하츠유키와 유우기리는 함체가 절단되어 함수가 뜯겨나갔다. == 피해 == 참가함 41척 중 반 수에 해당하는 19척이 피해를 입었다. 특히 최신예 [[후부키급 구축함|후부키(吹雪)형 구축함]] 2척은 파랑에 의해 함교 부근에서 앞 함수부분이 절단되는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 이때 절단된 함수에는 [[수병]]들이 남아있었지만 구조가 곤란하고 그 부분의 [[통신]]실에 있던 [[암호]]표가 표류해서 다른 나라에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포격으로 처분했다고 한다. 당시의 함대 편성은. * 중순양함 : [[묘코급 중순양함|묘코급]] 4 척 * 경순양함 : [[모가미급 중순양함|모가미급]] 2척 포함 총 9척 * 항공모함 : [[호쇼(항공모함)|호쇼]] , [[류조(항공모함)|류조]] * 잠수모함 : [[타이게이]] * 구축함 : [[카미카제급 구축함|카미카제급]], [[무츠키급]], [[후부키급 구축함|후부키급]] 피해결과는 다음과 같다. * 후부키급 구축함 하츠유키, 유기리는 함교 부근에서 함체가 절단. * 무츠키급 구축함 무츠키, 키쿠즈키, 미카즈키, 카미카제급 아사나기는 함교 대파. * 항공모함 호쇼는 전방 비행갑판 대파. * 항공모함 류죠는 함교 파손. * 중순양함 묘코는 선체 중앙부 리벳이 뜯겨져나감. * 경순양함 모가미는 함수부 외판이 떨어져나가고 균열 발생. * 잠수모함 타이게이는 선체중앙 및 함교 전방 상부외판에 대형 균열이 발생. * 기타 다수의 구축함이 손상되고 하츠유키의 절단된 함수 부분에 있던 승조원들을 포함, 사망 및 실종자 54명 == 원인 == * 당시 세계적으로 상정된 '악천후의 파도'는 파고 / 파장의 비율이 1/20 파도이었지만, 제4함대가 마주친 파도는 각 함의 관측에 따르면 1/10에 도달하는 등 당시 함체 설계 강도를 훨씬 넘는 폭풍이었다. * 군축조약에 의해 보유 함정 제한을 받은 일본 해군은 규정의 배수량 내에서 전투력을 끌어올리기 위해 군함에 과무장을 장비하게 되었다. 그 결과는 당연하게도 선체 강도의 하락이었다. * 같은 해 7월 함체 이상 보고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훈련을 강행했다. == 결과 == 전 해에 일어난 [[토모즈루 사건]]과 함께 군축조약 아래에서 건조된 전 함정을 검사한 후 거의 모든 함선이 개조를 받게 되었다. 주요 대책은 선체 강도 확보를 위한 보강 공사 및 경량화를 위한 무장의 일부 철거했고 또한 사건 이후에는 설계 단계부터 1/10 이상의 파도에도 견딜 수 있도록 선체 설계를 진행했다. [[분류:일본 해군/사건사고]][[분류:1935년 해상사고]][[분류:쇼와 시대(전전)/해상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