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FFFFFF {{{+1 '''역대'''}}} [[청룡영화상|[[파일:bluedragonfilmawards_logo.png|width=120]]]]}}} || ||<-5> [[파일:bluedragonawards3.png|width=30]] || || '''[[제38회 청룡영화상|제38회]][br]([[2017년]])''' || {{{+1 →}}} || '''[[제39회 청룡영화상|제39회]][br]([[2018년]])''' || {{{+1 →}}} || '''[[제40회 청룡영화상|제40회]][br]([[2019년]])''' || [목차] == 개요 == [[2018년]] [[11월 23일]] 오후 8시 45분 [[경희대학교]] 평화의전당에서 [[스포츠조선]]의 주최로 개최되어 [[SBS]]를 통해 중계된 [[청룡영화상]]. == 심사 방식 == [[2017년]] [[10월 12일]]부터 [[2018년]] [[10월 11일]]까지 개봉한 한국 영화 183편을 대상으로 한국영화기자협회 회원, 영화제작사, 감독, 평론가 등 영화 관계자 설문을 진행해 부문별 후보를 엄선했다.[[https://www.sedaily.com/NewsVIew/1S7AVTEKIO|#]] 수상작 선정에는 김형중 스포츠조선 엔터테인먼트팀 부장, 김홍선 감독, 노종윤 웰메이드필름 대표, 안수현 케이퍼필름 대표, 정보석 배우, 정윤철 감독, 조진희 숙명여대 교수, 조혜정 중앙대 예술대학원 교수 등 8인의 심사위원이 각 1표 씩을 행사했다. 여기에 네티즌들의 투표 결과가 1표로 환산됐다.[* 네티즌 투표 결과 1위를 한 후보에게 1표가 추가되는 것이다.] 투표 결과 과반(5표)을 득표한 후보가 없으면 1·2위 후보를 놓고 2차 투표를, 그때도 과반 득표 후보가 없으면 3차 투표를 실시했다. 다만 <[[버닝(한국 영화)|버닝]]>은 제작사인 파인하우스필름과 [[이창동]] 감독의 청룡영화상 보이콧 선언을 존중하는 의미로 최우수작품상과 감독상 후보 심사에서 제외되었다.[[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18/11/01/2018110101139.html| ]] == 수상 결과 == 지난해에 이어 11월 23일 경희대 평화의전당에서 진행되었다. 또한 시상식에 들어가기 전 [[신성일]]을 추모하는 시간을 가졌다. <[[1987(영화)|1987]]>은 10개 부문[* 작품상, 감독상, 각본상, 남우주연상 ([[김윤석]]), 남우조연상 ([[유해진]]), 촬영조명상, 미술상, 음악상, 편집상, 기술상 (의상)] 에 노미네이트되었다. 이창동 감독의 <[[버닝(한국 영화)|버닝]]>의 경우에는 이창동 감독의 보이콧으로 최우수 작품상, 감독상 후보에 오를 수 있음에도 오르지 않았다. 대신 남우주연상 ([[유아인]]), 남우조연상 ([[스티븐 연]]), 신인여우상 ([[전종서]]), 음악상 총 4개 부문에 노미네이트되었다. 신인감독상은 <[[소공녀(2018)|소공녀]]>의 전고운 감독이 수상했고, 신인여우상은 <[[마녀(2018)|마녀]]>의 [[김다미]]가 수상했다. 신인남우상은 <[[안시성(영화)|안시성]]>의 [[남주혁]]이 수상하며 이변을 연출했다. 올해 신인여우상과 신인남우상 후보들이 워낙 쟁쟁했는데 청룡영화제답게 결국 메이저영화 배우들이 결국 수상하였다. 남우조연상은 <[[독전]]>에서 진하림 역으로 열연한 [[김주혁]]이 수상했다. 김주혁의 소속사인 [[나무엑터스]]의 김석준 상무가 대리수상 했는데 울먹이는 목소리로 "<독전>에서 함께 고생하신 모든 분들에게 감사합니다. 주혁 씨도 많이 기뻐하고 있을 것 같습니다. 잘 전하겠습니다."라는 수상을 남겨, 슬픔을 전했다. 때마침 같이 출연했던 [[진서연]]이 눈물을 훔치는 장면에 클로즈업 되어서 더 슬픔을 자아냈다. 예상대로, <[[1987(영화)|1987]]>이 최우수 작품상, 남우주연상([[김윤석]]), 촬영조명상을 수상하며 3관왕 트리플크라운을 이뤄냈고, <[[공작(영화)|공작]]>은 감독상과 미술상을 수상하며, 2관왕을 이뤄냈다. <[[신과함께-죄와 벌]]>은 기술상(시각효과 부문의 진종현)과 여우조연상([[김향기]]), 한국영화 최다관객상 등 3관왕을 기록했다. <[[곤지암(영화)|곤지암]]>은 [[대종상]]에 이어 청룡에서도 편집상을 수상했으며, 각본상은 <[[암수살인]]>이 수상했다. 아쉬움이 없었던 건 아닌데, 2부 시작 때 진행했던 [[이특]]의 개그성 시상이 무리수 였다는 평가를 받았다. 쉽게 말해서, [[강심장]] 스타일로 진행했던 셈인데, 진행도 재미없고 억지스러운 웃음을 유발했다는 평이 지배적이다. 또한 [[김혜수]]와 함께 MC로서 청룡영화상의 진행을 맡았던 유연석의 진행 역시 매끄럽지 못했다는 평이 많다. 그리고 후보에 오를 거라는 예상이 컸지만 오르지 못한 배우, 스태프들이 작년에 비해 많은 편이다. 특히 평가와 흥행 모두 성공한 [[강철비]]가 단 한 부문에도 후보에 오르지 못했다. === [[청룡영화상/최우수작품상|최우수작품상]] === || {{{#ffffff,#2d2f34 '''작품''' }}} || {{{#ffffff,#2d2f34 '''제작사''' }}} || || '''[[1987(영화)|1987]]''' || '''우정필름''' || || [[공작(영화)|공작]] || [[사나이픽처스]], [[영화사월광]] || || [[리틀 포레스트(한국 영화)|리틀 포레스트]] || 영화사 수박 || || [[신과함께-죄와 벌]] || 리얼라이즈 픽쳐스, [[덱스터 스튜디오]] || || [[암수살인]] || 필름 295, 블러썸픽쳐스 || 1차 투표 결과 <1987>이 9표 만장일치로 수상자로 결정되었다. [include(틀:영상 정렬, url=oT-1-xCv3Qc)] === [[청룡영화상/감독상|감독상]] === ||
{{{#ffffff,#2d2f34 '''감독''' }}} || {{{#ffffff,#2d2f34 '''작품''' }}} || || [[김용화]] || [[신과함께-죄와 벌]] || || [[민규동]] || [[허스토리(영화)|허스토리]] || || '''[[윤종빈]]''' || '''[[공작(영화)|공작]]''' || || [[임순례]] || [[리틀 포레스트(한국 영화)|리틀 포레스트]] || || [[장준환]] || [[1987(영화)|1987]] || 1차 투표 결과 김용화 감독이 4표[* 김형중, 김홍선, 조진희, 네티즌], 윤종빈 감독이 3표[* 안수현, 정보석, 조혜정], 장준환 감독이 2표[* 노종윤, 정윤철]를 받았다. 2차 투표 결과 윤종빈 감독이 5표[* '''노종윤''', 안수현, '''정윤철''', 정보석, 조혜정], 김용화 감독이 3표[* 김형중, 김홍선, 조진희]를 받아 윤종빈 감독이 최종 수상했다. [include(틀:영상 정렬, url=1i99J3-KRZ4)] === [[청룡영화상/여우주연상|여우주연상]] === ||
{{{#ffffff,#2d2f34 '''배우''' }}} || {{{#ffffff,#2d2f34 '''작품''' }}} || || [[김태리]] || [[리틀 포레스트(한국 영화)|리틀 포레스트]] || || [[김희애]] || [[허스토리(영화)|허스토리]] || || [[박보영]] || [[너의 결혼식]] || || [[이솜]] || [[소공녀(2018)|소공녀]] || || '''[[한지민]]''' || '''[[미쓰백]]''' || 1차 투표 결과 한지민이 7표[* 김홍선, 노종윤, 안수현, 정보석, 정윤철, 조혜정, 네티즌], 김희애가 1표[* 김형중], 이솜이 1표[* 조진희]를 받아 한지민이 수상자로 결정되었다. 이로써 한지민은 지난 [[2007년]] 제28회 청룡영화상에서 《[[해부학]] 교실》이라는 영화로 신인여우상 후보에 오른지 무려 '''11년만에''' 청룡영화상 여우주연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누리게 되었다.[* 여담으로 2007년 제28회 청룡영화상 신인여우상 수상자는 <두 얼굴의 여친>이라는 영화에 출연한 [[정려원]]이다.] 한지민이 울먹거리면서 수상 소감을 말하고 중간에 김혜수를 언급하며 김혜수에게도 감사의 표시를 하자, 김혜수 또한 눈물을 훔치는 장면이 보여 뭉클함을 자아내기도. 또한 한지민의 이름이 호명되자 《미쓰백》의 감독인 이지원 감독과 <미쓰백>에서 악역으로 등장한 조연 배우인 [[권소현(배우)|권소현]]도 함께 눈물을 흘리면서 감동적인 분위기를 자아냈다. [include(틀:영상 정렬, url=Q6CZ1v-FTkU)] === [[청룡영화상/남우주연상|남우주연상]] === ||
{{{#ffffff,#2d2f34 '''배우''' }}} || {{{#ffffff,#2d2f34 '''작품''' }}} || || '''[[김윤석]]''' || '''[[1987(영화)|1987]]''' || || [[유아인]] || [[버닝(한국 영화)|버닝]] || || [[이성민(배우)|이성민]] || [[공작(영화)|공작]] || || [[주지훈]] || [[암수살인]] || || [[하정우]] || [[신과함께-죄와 벌]] || 1차 투표 결과 김윤석이 7표[* 김형중, 김홍선, 노종윤, 안수현, 정보석, 정윤철, 조혜정], 이성민이 1표[* 조진희], 주지훈이 1표[* 네티즌]를 받아 김윤석이 수상자로 결정되었다. 김윤석은 '''"열사들의 가족들과 영광을 나누고 싶다. 오늘날 이런 자유를 느낄 수 있게 해주신 민주투사 분들에게 감사합니다."'''라는 인상적인 수상소감을 남겼다. [include(틀:영상 정렬, url=h6lLR_k3XaY)] === 기타 === [[청룡영화상/여우조연상|여우조연상]]: [[김향기]] - <[[신과함께-죄와 벌]]> [[청룡영화상/남우조연상|남우조연상]]: [[김주혁]] - <[[독전]]> [[청룡영화상/신인여우상|신인여우상]]: [[김다미]] - <[[마녀(2018)|마녀]]> [[청룡영화상/신인남우상|신인남우상]]: [[남주혁]] - <[[안시성(영화)|안시성]]> 신인감독상: [[전고운]] - <[[소공녀(2018)|소공녀]]> 각본상: [[곽경택]], 김태균 - <[[암수살인]]> 촬영조명상: <[[1987(영화)|1987]]> 편집상: <[[곤지암(영화)|곤지암]]> 미술상: <[[공작(영화)|공작]]> 음악상 [[달파란]] - <[[독전]]> 기술상: 진종현 (시각효과) - <[[신과함께-죄와 벌]]> 청정원 단편영화상: 허은지, 이경호 - <신기록> 청정원 인기스타상: [[주지훈]], [[진서연]], [[김영광(배우)|김영광]], [[김향기]] 한국영화 최다관객상: <[[신과함께-죄와 벌]]> [[분류:청룡영화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