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세계무역센터]][[분류:높이 300m 이상의 마천루]][[분류:2018년 건설]] [include(틀:다른 뜻1, other1=9. 11 테러 이전의 '3번 타워', rd1=제3세계무역센터(붕괴 이전))] [include(틀:신세계무역센터 목록)] ||||<:> [[파일:20170817_225931.jpg|width=300]]|| || '''한국어 명칭''' ||제3세계무역센터|| || '''영어 명칭''' ||Three World Trade Center(3WTC)|| || '''위치''' ||[[미국]] [[뉴욕주]] [[뉴욕시]] Greenwich Street 175|| || '''착공''' ||[[2008년]] [[7월]]|| || '''완공''' ||[[2018년]] [[6월 11일]]|| || '''층수''' ||지상 69층 / 지하 4층|| || '''높이''' ||328.9 m|| || '''소유주''' ||실버슈타인 컴퍼니|| [목차] [clearfix] == 개요 == [[세계무역센터]]의 제3번 건물. 지상 69층에 328.9 m로 건립되었다. == 연혁 == [[9.11 테러]] 이후 3번 타워는 지상 73층의 높이의 오피스 전용 마천루로 재건하려는 계획을 가지고 있었으나, [[2008년]] 7월 착공할 당시에는 지상 80층, 378 m의 건물로 층수를 조금 더 높였다. [[2009년]] [[5월 11일]], [[뉴욕 뉴저지 항만청]]은 약 4층 높이의 "그루터기"(stump)를 없애고, '''175 그린위치 스트리트''' 지역에 3WTC를 재건하기로 한다. 이 계획은 [[제2세계무역센터]] 높이의 축소, [[제5세계무역센터]]의 사업 추진 중단과 연관이 있는데, 46만 m^^2^^로 재구성 된 셈이며, 곧바로 신세계무역센터의 가용 오피스 면적을 약 절반 정도로 줄이기로 한 셈이다. 항만청은 이 제안의 이유에 대해 '''경기 침체와 래리 실버슈타인과의 의견 차이'''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실버슈타인은 2달 뒤인 [[2009년]] [[7월 7일]] 기자회견에서 이 계획에 반발했다. 그는 항만청 조직의 무능력함을 줄곳 지적했으나, 어쨌건 이 계획이 이루어짐에 따라 개발 회사가 남은 4개의 신세계무역센터 타워의 건설에 관한 합의와 구속력있는 중재를 시작하게 된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24px-WTC_3-May_2012.jpg|height=300]] [[2012년]] 3월의 모습. 그리고 [[2012년]] [[10월 2일]]에는, 미국의 광고 업체인 'Group M'은 이 건물에 투자하겠다는 의사를 통보해 왔고, 본격적인 협상에 들어갔다고 전해진다. 우선 [[2012년]] [[2월]]까지, 1층 메가칼럼 공정은 거의 마무리 되었으며, 저층부 연단부는 5층에 도달했다. 그 이후 [[2012년]] [[5월 18일]]에 저층부의 상부 구조 작업이 계속 되고 있으며, [[2012년]] [[9월 7일]]에 목표 저층부 높이에 도달 할 것으로 예상했다. [[2012년]] [[12월]]에 콘크리트 코어가 8층까지 올라온 상태에서 거푸집 비계가 철거되었고 이듬해 [[8월]] 타워크레인이 옮겨짐으로서 공사가 잠정 중단되었다. 그리고 크레인이 옮겨질 때에 미리 지어져 있던 지상 6층까지 커튼 월 공사가 거의 마무리되었다. 이제 고층부를 건설하면 되는데... === 폐건물화, 그리고 공사 재개 === 사실 Group M은 이 건물 시공에 투자를 하긴 했으나 입주 의사는 없었다. 일단 미국 경제가 완전 회복된 상태가 아니다보니 3WTC 같은 고급 오피스에 입주하는 업체 자체가 적은 것도 한 몫 한다. 문제는 단순히 투자만 받는 게 아니라, 입주자를 받아서 입주료를 바탕으로 자금으로 건설을 해야 하는 상황이라는 점이다. [[2014년]] [[7월]] 현재 2WTC과 마찬가지로 입주자를 구하지 못해 공사가 잠정 중단된 상황. 8층[* 코어 기준. 전체적인 층 수는 6층까지밖에 못 올라간 상황이다.]까지 올라간 상황에서 단열 공사를 포함한 나머지 자잘한 작업이 진행중이다. 현재는 로비의 창문 작업이 진행중이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0px-WTC_3-April_2014.jpg|height=300]] [[2014년]] [[4월]]의 모습. [[2014년]] [[4월]]말부터 콘크리트 코어의 둘레에 비계가 설치되더니 '''중단되었던 공사가 근 1년만에 재개되었다!''' Group M이 건물 내에 입주하겠다고 하였기 때문. 거푸집이 다시 설치되던 동년 [[8월]]초 [[http://3wtc.com/|공식 홈페이지]]까지 오픈되었으며 실버슈타인측은 2018년 개장을 목표로 한다고 발표. [[파일:external/farm9.staticflickr.com/16020714181_edab88d819_b.jpg|height=300]] [[2014년]] [[12월]]의 모습. 공사가 막 시작된 직후이다. [[파일:external/farm9.staticflickr.com/16787050188_6c73ee3764_b.jpg|height=300]] [[2015년]] [[3월]]의 모습. 코어 외 철골 및 트러스 공사가 시작된 모습이다. [[파일:external/scontent.cdninstagram.com/11378278_389996434524791_720038960_n.jpg|height=300]] [[2015년]] [[6월]]의 모습. 공사가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 [[파일:external/farm1.staticflickr.com/20356750751_af8ed9e2d7_h.jpg|height=300]] [[2015년]] [[8월]]의 모습. 2개월 전보다 많이 진척된 모습이다. [[파일:external/i1243.photobucket.com/20151028_144019.jpg|height=300]] [[2015년]] [[10월]]의 모습. [[제4세계무역센터]]건물 높이의 절반 정도까지 도달하였다. [[파일:external/c2.staticflickr.com/24441002405_a695d57f67_b.jpg|height=300]] [[2016년]] [[1월]]의 모습. 과거와는 달리 빠르게 진행되는 모습이다. 참고로 이 달 투자회사인 GroupM이 기존 입주 면적에서 추가로 입주를 하기로 결정하였다. [[파일:external/c2.staticflickr.com/26602899956_a29ba173be_b.jpg|height=300]] [[2016년]] [[4월]]의 모습. 트러스 공사 역시 기존에 비해 많이 진척이 되었고, 코어는 [[제4세계무역센터|옆 건물]]의 높이와 비슷해졌다. [[파일:external/c6.staticflickr.com/28540397293_56409fc14f_b.jpg|height=300]] [[2016년]] [[8월]]의 모습. 코어 공사는 완료된 모습이며, 트러스 공사는 중층부, 커튼 월 공사는 하층부 위주로 진행이 되는 모습이다. 확실히 2018년까지 공사가 끝날 것으로 추정된다. [[파일:3_World_Trade_Jan_2017.png|height=300]] [[2017년]] [[1월]] 26일의 모습. 일정 부분 이상 유리로 덮여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2018년 준공에 차질은 없을 것 같다. [[파일:36305164452_2d66d90d55_h.jpg|height=300]] [[파일:35559244593_8bbefc621a_b.jpg|height=300]] [[2017년]] [[8월]]초의 모습. 외관 공사는 거의 마무리 된 것 같다. [[2018년]] [[6월]] 11일 완공되었다. 현재 입주사는 GroupM, McKinsey, Tradenda Capital, 그리고 IEX. == 특징 == 당초 계획에서는 중간에 X자 모양의 빔들이 있었으나 설계가 바뀌어 모양이 밋밋해졌다. 9.11 테러 이전의 3WTC는 22층짜리 4성급 호텔인 '메리어트 세계무역센터'(Marriot World Trade Center)였으나, 9.11 테러로 이 건물 역시 무너지면서 지금은 69층짜리 새로운 복합 타워로 계획되었다. === 호텔 입주 문제 === 테러 전의 3번 타워는 22층짜리 [[메리어트]] 세계무역센터라는 4성급 호텔이었으므로, 테러 이후 재건되는 3번 타워에는 호텔과 오피스를 동시에 입주시키는 종합 건물로 계획이 되어있다. 테러 이전처럼 메리어트 호텔이 다시 입주할 지는 알 수가 없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