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여단)] [include(틀:포병여단)] [include(틀:제25보병사단 예하부대)] ||<-7><:> '''{{{#fff {{{+1 제25보병사단 포병여단}}}}}}'''[br]'''{{{#fff 第25步兵師團 砲兵旅團}}}'''[br]'''{{{#fff The 25th Infantry Division Artillery Brigade}}}''' || ||<-7><:>[[파일:제25보병사단 포병여단.png|width=300]] || ||<-7><:> '''{{{#19458e }}}''' || ||<:> '''{{{#fff 창설일}}}''' ||<-6><(> [[년|1953년]] [[윌|6월]] [[일|8일]](제25보병사단 포병연대)[br] [[2020년]] [[12월 1일]]('''제25보병사단 포병여단''') || ||<:> '''{{{#fff 소속}}}''' ||<-6><(> [[대한민국 육군]] || ||<:> '''{{{#fff 상급부대}}}''' ||<-6><(> [[제25보병사단]] || ||<:> '''{{{#fff 규모}}}''' ||<-6><(> [[여단]] || ||<:> '''{{{#fff 역할}}}''' ||<-6><(> 25사단 예하 여단 화력지원 || ||<:> '''[[여단장|{{{#fff 여단장}}}]]''' ||<-6><(> [[대령]] 신중식(학사 31기) || ||<:> '''{{{#fff 위치}}}''' ||<-6><(> [[경기도]] [[양주시]] || ||<-7>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제25보병사단, 너비=100%, 높이=100%)]}}}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 육군]] [[지상작전사]] [[제1군단]] [[제25보병사단]] 예하 '''제25보병사단 포병여단'''. == 상세 == [[여단장]]은 [[대령]]이며 예하 대대장은 [[중령]]급 지휘관이다. [[경기도]] [[양주시]] 일대를 담당한다. 원래 명칭은 제25보병사단 포병연대였으나 [[국방개혁 2.0]] 기본계획에 의거, 상비사단과 지역방위사단이 개편돼 2020년부로 제25보병사단 포병여단으로 격상되었다. 제632포병대대는 사단 직할 포병대대로 변경되었다. 제 632포병대대 제2포대는 사단 기준포대이다. == 예하부대 == === 여단직할대 === * '''[[본부포대]]''' * '''[[통신중대]]''' * '''[[표적획득포대]]''' * '''천무사격대''' - 본부포대 - 1포대 - 2포대 - 3포대 === 제206포병대대 청룡 === * 본부중대 교통편은 그리 좋은 편은 아니다. 독립포대로(A,C포대) 운영되며 시설은 포병여단 본부 다음으로 213대대와 함께 좋은 편에 속한다. * 206 C 206포병대대 예하 (A,B,C) 포대이다. 일반 보병의 중대급이며 독립된 위치에 입지한다. === 제213포병대대 천둥 === * 본부중대 통합대대로서 운영되며 부대 내 시설과 교통편이 타 포병부대에 비해 좋은 편이다. 타 포병대대는 독립포대로 운영되어 대중교통편을 이용하기가 어렵거나, 접근 자체가 어려운 위치에 위치한 반면 해당 부대는 사단 회관이 가까이 위치해 외박이 상대적으로 간편하며 택시, 버스 편으로 휴가 나가기도 상대적으로 나은 편이다. 의정부 연고지병이 많이 배속되는데, 버스로 의정부까지 이동이 가능한 교통편이 좋은 부대 중 하나이다. === 제217포병대대 번개 === * 본부포대 * 1포대 * 2포대 * 3포대 대대와 포대 전체 시설이 매우 낙후되어있다. 632포병 대대와 마찬가지로 두 대대가 낙후시설 [[용쟁호투]]?를 다룬다. [* 자주포 VS 견인포] 본부 포대와 하나의 포대 이외의 2개의 포대는 독립포대로 되어 있다. 훈련강도는 그렇게 높지는 않다. 다른 포병대대와는 다르게 155mm견인곡사포([[KH179 155mm 견인곡사포|KH-179]])를 운용한다. 2020년 10월 28일 부로 제1포대에 2층침대가 들어왔다. 추가로 2021년 10월12일부로 기존의 긴생활관을 반으로 나누어서 생활관을 하나더 만들었다 217대대 2025년을 마지막으로 없어진다고 한다. 28사단 포병 예하 대대 중 하나와 통합되는 형태일 것으로 추정됨. === 제632포병대대 왕포 === 사단 유일의 [[K-9 자주곡사포]] 전력화 부대이다. 대대의 애칭인 "왕포"도 이에서 따왔다. 이전에 사단 포병은 [[105mm 견인곡사포]]를 운용하던 시절부터 이 대대는 [[155mm 견인곡사포]]를 운용해왔고, 자주화된 지금도 여전히 가장 큰 화포를 운용하기 때문이다. 대대 전체의 시설이 심각한 수준으로 낙후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지휘통제실]]을 포함한 대대 참모부 및 본부포대 시설이 OO년대에 건축되었으며, 직접 근접전투를 수행하는 제대의 시설개선을 우선시하는 [[대한민국 육군]]의 특성상, 포병부대 시설에는 투자가 없다시피 하기 때문에, [[리모델링]]조차 없었던 관계로 무려 2023년 기준으로도 '''침상형 생활관을 사용하고 있다.''' 예하 포대의 경우, 다행히 침상형이 아닌 2층 침대형 생활관으로 개조되었으나 시설 자체는 동일하게 노후화되어 있는 상태이다. [[2010년대]] 이전까지는 침대가 문제가 아니라 연탄을 이용한 아궁이로 난방을 했을 정도. 이와는 별개로 대대 자체의 병영문화는, 최소한 [[병(군인)]] 기준 [[25사단 포병여단]] 내에서 가장 선진적이며, 무엇보다도 사단 최장거리의 야포부대 답게 온갖 종류의 검열을 다 받는 관계로 원천적으로 [[병영부조리]]가 존속할 수 없는 구조라, 일부의 예외는 있을지라도 시설에 적응할 용기만 있다면 자대배치 시에 절망할 필요는 없다. *본부포대 *1포대 *2포대 *3포대 == 출신인물 == === [[여단장]] === ||'''볼드체'''는 [[대장(계급)|대장]] 진급이 된 연대장 및 여단장.|| ||<-6><:> '''{{{#19458e 역대 제25보병사단 포병여단장}}}''' || || '''{{{#19458e 역대}}}''' || '''{{{#19458e 이름}}}''' || '''{{{#19458e 계급}}}''' || '''{{{#19458e 임관}}}''' || '''{{{#19458e 비고}}}''' || '''{{{#19458e 기타}}}''' || || 초대 || 000 || 예) [[대령]] || [[육군사관학교|육사]] 00기 ||前 [[연대장]] || || || 00대 || 서한필 || [[대령]] || [[육군사관학교|육사]] 33기 ||前 [[연대장]] || || || 00대 || [[김기홍(군인)|김기홍]] || [[준장]] || [[육군3사관학교|3사]] 26기 ||現 [[제5포병여단]]장 || || || 00대 || 윤준근 || [[대령]] || [[육군학생군사학교|학군]] 34기 ||前 [[여단장]] || || || 00대 || 김광주 || [[대령]] || [[육군사관학교|육사]] 53기 ||前 [[여단장]] || || === 장교/부사관 === === 병 === == 기타 == === 근무환경 === === 여단가 === == 사건 사고 == == 여담 == [[분류:대한민국 육군]][[분류:제25보병사단]][[분류: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