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제21대 국회의원 선거]][[분류:민중당]][[분류:정당별 선거 결과]]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제21대 국회의원 선거/정당별 결과)] [include(틀:제21대 국회의원 선거)] [목차] == 개요 == 원내 제2의 진보정당을 원했지만, 결과적으로는 '''지역구 0석,비례대표 0석''' 원외정당이 되었다. == 상세 결과 == === 지역구 === ||<-4> [[동구(울산 선거구)|{{{#ffffff {{{+1 '''동구'''}}}}}}]][br]{{{#ffffff 동구 일원[*울산동구 남목1동, 남목2동, 남목3동, 전하1동, 전하2동, 대송동, 방어동, 일산동, 화정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김태선(1979)|김태선]](金台善) || 21,642 || 3위 || || [[더불어민주당|{{{#373a3c,#dddddd 더불어민주당}}}]] || 24.53% || 낙선 || ||<|2> {{{#ffffff {{{+5 '''2'''}}}}}} || '''[[권명호]](權明浩)''' || '''33,845''' || '''1위''' || || '''[[미래통합당|{{{#373a3c,#dddddd 미래통합당}}}]]''' || '''38.36%''' || '''당선''' || ||<|2> {{{#ffffff {{{+5 '''7'''}}}}}} || [[김종훈(1964)|김종훈]](金鍾勲) || 29,889 || 2위 || || [[민중당(2017년)|{{{#373a3c,#dddddd 민중당}}}]] || 33.88% || 낙선 || ||<|2> {{{#ffffff {{{+5 '''8'''}}}}}} || 우동열(禹東烈) || 646 || 5위 || || [[국가혁명배당금당|{{{#373a3c,#dddddd 국가혁명배당금당}}}]] || 0.73% || 낙선 || ||<|2> {{{#ffffff {{{+5 '''9'''}}}}}} || 하창민(河暢珉) || 2,196 || 4위 || || [[노동당(대한민국)|{{{#373a3c,#dddddd 노동당}}}]] || 2.48%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30,353 ||<|3> '''투표율'''[br]68.47% || || '''투표 수''' || 89,256 || || '''무효표 수''' || 1,038 || 유일한 지역구 의석인 [[동구(울산 선거구)|울산 동구]]에선 원내대표이자 유일한 현역 의원인 [[김종훈(1964)|김종훈]] 의원이 진보 단일화에 실패한 후유증을 극복하지 못한 채 [[미래통합당]] [[권명호]] 후보에게 패해 낙선했다. 말 그대로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울산 동구청장 선거 결과의 재림이 된 것이다. 참고로 이 지역구에서 당선된 권명호 후보는 이번 총선 지역구 당선인 중 최저 득표율로 당선되는 기록을 남겼다.[* 반대로 최고 득표율로 당선된 후보는 광주광역시 [[광산구 을]] 지역구에 출마해 무려 '''84.05%'''의 득표율을 기록한 [[민형배]] 후보이다.] ||<-4> [[나주시·화순군|{{{#ffffff {{{+1 '''나주시·화순군'''}}}}}}]][br]{{{#ffffff 나주시 일원[* 송월동, 영강동, 금남동, 성북동, 영산동, 이창동, 빛가람동 (舊 나주시)[br]남평읍, 세지면, 왕곡면, 반남면, 공산면, 동강면, 다시면, 문평면, 노안면, 금천면, 산포면, 다도면, 봉황면 (舊 나주군)], 화순군 일원[* 화순읍, 능주면, 한천면, 춘양면, 청풍면, 이양면, 도곡면, 도암면, 이서면, 동복면, 백아면, 사평면, 동면]}}}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신정훈]](辛正勳)''' || '''75,586''' || '''1위''' || || '''[[더불어민주당|{{{#373a3c,#dddddd 더불어민주당}}}]]''' || '''78.81%''' || '''{{{#000000 당선}}}''' || ||<|2> {{{#ffffff {{{+5 '''7'''}}}}}} || [[안주용]](安柱龍) || 18,751 || 2위 || || [[민중당(2017년)|{{{#373a3c,#dddddd 민중당}}}]] || 19.51% || 낙선 || ||<|2> {{{#ffffff {{{+5 '''8'''}}}}}} || 조만진(趙萬鎭) || 1,578 || 3위 || || [[국가혁명배당금당|{{{#373a3c,#dddddd 국가혁명배당금당}}}]] || 1.65%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51,368 ||<|3> '''투표율'''[br]65.3% || || '''투표 수''' || 98,815 || || '''무효표 수''' || 2,900 || 한편 나주·화순 지역의 안주용 후보가 19.51% 정도로 선전했으나, 이는 [[20대 총선]]에서 [[구미시 갑]]에 출마한 [[남수정]] 후보처럼 지역여당 vs 야당 구도였고 민생당 후보자조차 출마하지도 않았기에 가능했던 수치다. 참고로 후자의 남수정 후보는 [[경산시(선거구)|경산시]]에 출마해서 1.92%를 득표하면서 침몰하였다. 그 밖의 지역구에선 1~2%의 득표율을 보였지만 [[김미희(정치인)|김미희]], [[김선동(1967)|김선동]], [[김재연]] 등 국회의원을 지냈던 후보들은 3~5%의 지지율을 얻었다. === 비례대표 === 비례대표 득표율도 1.05%에 그쳐서 [[봉쇄조항]]인 3%를 넘기지 못해 비례대표 4번으로 출마했던 [[이상규(정치인)|이상규]] 대표도 낙선했다. 그나마 [[열린민주당]]이나 [[국민의당(2020년)|국민의당]]처럼 비례대표에서라도 선전하였으면 괜찮았겠지만 비례대표에서도 영 좋지 않은 성적을 거둔 것이다. 지역별로 보면 지난 [[20대 총선]]이나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와 달리 수도권에서 지지율이 1%대로 올리는 것이 성공하였으나, 반대로 전남, 광주, 울산의 지지율이 3%로 떨어졌다. 광주,전남은 [[광주전남연합]]의 근거지, 울산이 [[울산연합]]의 근거지임을 생각하면 뼈아픈 결과이다. == 이후 == 한편 민중당은 20대 국회 임기가 끝난 후, [[진보당(2020년)|진보당]]으로 당명을 변경하였다. 그리고 [[2023년 상반기 재보궐선거]]에서 원내에 3년 만에 입성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제21대 국회의원 선거/정당별 결과, version=1568, paragraph=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