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무장친위대의 사단)] ||<-7> '''{{{#fff {{{+1 제20무장척탄병사단}}}[br]20. Waffen-Grenadier-Division der SS[br]20. eesti diviis[br]20th Waffen Grenadier Division of the SS (1st Estonian)}}}''' || ||<-7> [[파일:제20무장척탄병사단 엠블럼.svg|width=300]] || || '''{{{#fff 창설일}}}''' ||<-6><(> [[1944년]] || || '''{{{#fff 해체일}}}''' ||<-6><(> [[1945년]] || || '''{{{#fff 소속}}}''' ||<-6><(> [[슈츠슈타펠]] || || '''{{{#fff 참전}}}''' ||<-6><(> [[제2차 세계 대전]] * 나르바 전투 * 타넨베르크 요새전 * 비스와-오데르 대공세 || [목차] [clearfix] == 개요 == [[나치 독일]] [[무장친위대]]의 20번째 사단이자 [[독일군/외인부대|외인부대]] 중 하나. 이름에서 알수 있듯이 [[에스토니아인]] 지원병들로 구성된 사단이다. == 사단의 창설 == 1939년 8월 23일 [[나치 독일]]과 [[소련]]은 [[독소불가침조약]]을 맺게 되고 나치 독일은 [[에스토니아]]가 소련에 넘어가는 것을 묵인했다. 결국 [[에스토니아]]는 제2차 세계대전 중인 1940년 6월 소비에트 연방(소련)으로부터 침공당했다. 동년 7월 소련의 통제 아래에 독재로부터의 해방이라는 명분으로 선거가 치러져 에스토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이 되어 그해 8월 소련에 합병된다. 그로 인해 [[에스토니아]]에선 [[반공]], [[반소]] 분위기가 거세지고 1941년 6월 22일 [[독소전쟁|나치 독일이 소련을 침공하자]] 에스토니아인들은 [[나치 독일]]을 일종의 해방자로 생각하여 환영하였다. 1942-43년 [[나치 독일]]은 병력 부족이 심화되기 시작하자 에스토니아인들을 징집하기 시작하는데 [[무장친위대]] 휘하에스토니아인 군단, [[독일 국방군]], 공장 [[노동자]] 세 개의 선택권이 있었는데 이 중 에스토니아인 군단 지원자들은 독일 본토에서 파견된 토텐코프 원년멤버들의 훈련을 받고 5 SS 기갑사단 비킹의 동부전선 병력으로 투입되나 결국 수많은 경험을 쌓는 대가로 숙련병들을 잃었고, 이후 본토로 돌아와 20 무장척탄병사단으로 재창설된다. 무장친위대 에스토니아인 군단에 지원한 자들에겐 개인 토지 반환이 제공되었다. 그러자 1944년, 전세가 뒤집어진 상황에서 독일군은 소련-에스토니아 국경까지 밀리고 병력이 부족해진 [[나치 독일]]은 [[무장친위대]] [[에스토니아]] 1사단을 창설했다. 에스토니아인 약 3만명이 여기에 지원하게 된다. == 전후 == 반 나치 성향이 강한 [[유럽]] 대부분 나라들과 달리 [[소련]]에 맞서 조국의 독립을 위해 싸운 독립운동가이자 참전용사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대우가 매우 좋다. 이는 [[라트비아]], [[리투아니아]]도 마찬가지. == 관련 문서 == * [[독일군/외인부대]] * [[무장친위대/부대일람]] [[분류:무장친위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