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제20대 대통령 선거/후보 경선]]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제20대 대통령 선거)] [include(틀:제20대 대통령 선거)] [목차] == 개요 == [[2022년]] 치러진 대한민국 [[제20대 대통령 선거]]의 각 당 후보 경선 문서이다. == [[대한민국의 민주당계 정당|민주당계 정당]] == === [[더불어민주당 제20대 대통령 후보 경선|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더불어민주당 제20대 대통령 후보 경선)]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제20대 대통령 후보 경선)] [[파일:민주당20대대선경선슬로건_디자인최종_.png]] ||<-4><:>[[대한민국 대통령|{{{#ffffff {{{+1 '''더불어민주당 제20대 대통령 후보 경선'''}}}}}}]]|| ||<|2><:>'''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FFFFFF {{{+5 '''1'''}}}}}} ||<:> '''[[이재명|이재명]](李在明)''' ||<:> '''719,905''' ||<:> '''1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50.29%''' ||<:> '''당선''' || ||<|2><:>{{{#FFFFFF {{{+5 '''--2--'''}}}}}} ||<:> --[[김두관|김두관]](金斗官)-- ||<-2><|4> 사퇴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2><:>{{{#FFFFFF {{{+5 '''--3--'''}}}}}} ||<:> --[[정세균|정세균]](丁世均)--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2><:>{{{#FFFFFF {{{+5 '''4'''}}}}}} ||<:> [[이낙연|이낙연]](李洛淵) ||<:> 560,392 ||<:> 2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39.14% ||<:> 낙선 || ||<|2><:>{{{#FFFFFF {{{+5 '''5'''}}}}}} ||<:> [[박용진|박용진]](朴用鎭) ||<:> 22,261 ||<:> 4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1.55% ||<:> 낙선 || ||<|2><:>{{{#FFFFFF {{{+5 '''6'''}}}}}} ||<:> [[추미애|추미애]](秋美愛) ||<:> 129,035 ||<:> 3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9.01% ||<:> 낙선 || ||<|2><:>'''계'''||<:>'''선거인 수'''||<:>2,165,039||<|2><:>'''투표율'''[br]67.43%|| ||<:>'''투표 수'''||<:>1,459,992|| === [[민생당]] === 2021년 7월 21일, [[이승한(정치인)|이승한]] 최고위원이 대선에 후보를 낼 것임을 밝힌다.[[https://www.f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0090|#]] 2021년 8월 18일, [[홍승채]] 전북도당 대변인은 [[손학규]], [[정동영]], [[유성엽]]을 Big 3으로 대선 경선 흥행을 유도할 계획이며, 당명 교체도 가능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https://www.nocutnews.co.kr/news/5609708|#]] 2021년 8월 30일, [[서진희(정치인)|서진희]] 민생당 신임 대표가 대선 준비계획을 밝힌다. [[http://www.normalmedia.co.kr/news/article.html?no=23211|#]] 하지만 여러 법적 문제로 인해 11월 19일에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의해 정식 취임하는 모습을 보인다. 2021년 10월 9일, [[이창록]] 민생당 충북도당위원장이 [[손학규]], [[정동영]] 前대표와 [[천정배]] 前의원을 민생당 대권후보로 준비중 이라고 밝혔다. [[https://youtu.be/6Y2meyRYW5w|#]] 2021년 10월 29일, [[박주선]] 전 바른미래당 공동대표와 [[김동철]] 전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 원내대표는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 지지를 선언해 민생당 대권주자에서 빠졌다.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1102916204952653|#]] 2021년 11월 15일,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후보가 '당적 대사면령', 즉 민생당으로 탈당했던 인사들에게 복당을 허용했다. [[http://m.honam.co.kr/detail/tohfpC/657516|#]] 곧이어 2021년 11월 25일, 구체적으로 민생당의 정대철, 천정배, 정동영 등에게 복당을 제안한 것으로 밝혀졌다.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211126005012|#]] 2021년 11월 29일, [[손학규]] 전 대표가 대권 출마 선언을 했다. 그런데 민생당을 탈당하고 무소속으로 출마하겠다고 한다. [[https://www.yna.co.kr/view/AKR20211128056200001|#]] 결국 최종적으로 민생당에선 아무도 출마하지 않았다. == [[대한민국의 보수정당|보수정당]] == === [[국민의힘 제20대 대통령 후보 경선|국민의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국민의힘 제20대 대통령 후보 경선)] [include(틀:국민의힘 제20대 대통령 후보 경선)] [[파일:국힘_20대대선_경선_슬로건_최종.png]] ||<-4> [[대한민국 대통령|{{{#ffffff {{{+1 '''국민의힘 제20대 대통령 후보 경선'''}}}}}}]]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국민의힘|[[파일:국민의힘 흰색 아이콘.svg|height=22]]]]'''}}}}}} || [[원희룡|{{{#373a3c,#dddddd 원희룡}}}]](元喜龍) || 23,085 || 4위 || || [include(틀:국민의힘)] || 3.17% || 낙선 || ||<|2> {{{#FFFFFF {{{+5 '''[[국민의힘|[[파일:국민의힘 흰색 아이콘.svg|height=22]]]]'''}}}}}} || [[유승민|{{{#373a3c,#dddddd 유승민}}}]](劉承旼) || 54,304 || 3위 || || [include(틀:국민의힘)] || 7.47% || 낙선 || ||<|2> {{{#FFFFFF {{{+5 '''[[국민의힘|[[파일:국민의힘 흰색 아이콘.svg|height=22]]]]'''}}}}}} || '''[[윤석열|{{{#373a3c,#dddddd 윤석열}}}]](尹錫悅)''' || '''347,963''' || '''1위''' || || [include(틀:국민의힘)] || '''47.85%''' || '''당선''' || ||<|2> {{{#FFFFFF {{{+5 '''[[국민의힘|[[파일:국민의힘 흰색 아이콘.svg|height=22]]]]'''}}}}}} || [[홍준표|{{{#373a3c,#dddddd 홍준표}}}]](洪準杓) || 301,786 || 2위 || || [include(틀:국민의힘)] || 41.50% || 낙선 || ||<|2> '''계''' || '''선거인 수''' || 569,059 ||<|2> '''투표율'''[br]63.89% || || '''투표 수''' || 363,569 || === [[국민혁명당]] === ||<-3> [[대한민국 대통령|{{{#ffffff {{{+1 '''국민혁명당 제20대 대통령 후보 경선'''}}}}}}]] || ||<|2> '''기호''' || '''이름''' || '''순위''' || || '''정당''' || '''결과''' || ||<|2><:>{{{#FFFFFF {{{+5 '''1'''}}}}}}|| {{{#373a3c,#dddddd 이명규}}} || 비공개 || || [include(틀:국민혁명당)] || 낙선 || ||<|2><:>{{{#FFFFFF {{{+5 '''2'''}}}}}}|| [[고영일|{{{#373a3c,#dddddd 고영일}}}]](高榮一) || '''2위''' || || [include(틀:국민혁명당)] ||<#FFD700> 낙선 → '''당선''' || ||<|2><:>{{{#FFFFFF {{{+5 '''3'''}}}}}}|| [[구본철|{{{#373a3c,#dddddd 구본철}}}]](具本喆) || 비공개 || || [include(틀:국민혁명당)] || 낙선 || ||<|2><:>{{{#FFFFFF {{{+5 '''4'''}}}}}}|| [[김경재|{{{#373a3c,#dddddd 김경재}}}]](金景梓) || '''1위''' || || [include(틀:국민혁명당)] → [include(틀:무소속)] || '''당선''' → 탈당 || 10월 14일 김경재 후보가 당선되었으나 12월 초 [[전광훈]] 대표와의 의견 차이로 탈당해 무소속으로 독자 출마하기로 했고, 12월 13일 [[고영일]] 전 기독자유통일당 대표가 새 후보로 선출되었다. 다만 고영일 후보는 예비후보 단계에서 사퇴했다. === [[혁명21]] === ||<-4> [[대한민국 대통령|{{{#ffffff {{{+1 '''혁명21 제20대 대통령 후보 경선'''}}}}}}]]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결과'''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혁명21|[[파일:혁명21로고.jpg|height=35]]]] || [[황장수|{{{#373a3c,#dddddd 황장수}}}]](黃壯秀) || 비공개 || 찬성 과반수 || || [include(틀:혁명21)] || 99.5% ||<#FFD700> '''후보 추대''' || 2021년 12월 22일, [[황장수]]가 출마를 선언했다. [[http://news.imaeil.com/page/view/2021122317274960938|#]] 다만 예비후보 상태에서 사퇴, 최종 후보로는 등록하지 않았다. == [[대한민국의 진보정당|진보정당]] == === [[정의당 제20대 대통령 후보 경선|정의당]]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정의당 제20대 대통령 후보 경선)] [include(틀:정의당 제20대 대통령 후보 경선)] [[파일:자부심.jpg]] ||<-4><:>[[대한민국 대통령|{{{#000 {{{+1 '''정의당 제20대 대통령 후보 경선'''}}}[br]과반수 득표자 없을 시 결선 투표}}}]]|| ||<-4><:>{{{#000000 '''1차 투표'''}}} || ||<|2><:>'''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000000 {{{+5 '''[[정의당|[[파일:정의당 흰색 아이콘.svg|height=22]]]]'''}}}}}}||<:> 김윤기(金潤起) ||<:>1,448||<:>3위|| ||<:>[include(틀:정의당)]||<:>12.37%||<:>낙선|| ||<|2><:>{{{#000000 {{{+5 '''[[정의당|[[파일:정의당 흰색 아이콘.svg|height=22]]]]'''}}}}}}||<:> '''심상정(沈相奵)'''||<:>'''5,443'''||<:>'''1위'''|| ||<:>[include(틀:정의당)]||<:>'''46.42%'''||<:> {{{#222 '''결선'''}}}|| ||<|2><:>{{{#000000 {{{+5 '''[[정의당|[[파일:정의당 흰색 아이콘.svg|height=22]]]]'''}}}}}}||<:> '''이정미(李貞味)'''||<:>'''4,436'''||<:>'''2위'''|| ||<:>[include(틀:정의당)]||<:>'''37.90%'''||<:> {{{#222 '''결선'''}}}|| ||<|2><:>{{{#000000 {{{+5 '''[[정의당|[[파일:정의당 흰색 아이콘.svg|height=22]]]]'''}}}}}}||<:> 황순식(黃淳植)||<:>386||<:>4위|| ||<:>[include(틀:정의당)]||<:>3.30%||<:>낙선|| ||<|3><:>'''계'''||<:>'''선거인 수'''|| 21,282 ||<|3><:>'''투표율'''[br]55.58%|| ||<:>'''투표 수'''|| 11,828 || ||<:>'''무효표 수'''|| 125 || ||<-4><:>{{{#000000 '''결선 투표'''}}} || ||<|2><:>'''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000000 {{{+5 '''[[정의당|[[파일:정의당 흰색 아이콘.svg|height=22]]]]'''}}}}}}||<:> '''심상정(沈相奵)''' ||<:> '''6,044''' ||<:> '''1위''' || ||<:>[include(틀:정의당)]||<:> '''51.12%''' ||<:> {{{#222 '''당선'''}}} || ||<|2><:>{{{#000000 {{{+5 '''[[정의당|[[파일:정의당 흰색 아이콘.svg|height=22]]]]'''}}}}}}||<:> 이정미(李貞味) ||<:> 5,780 ||<:> 2위 || ||<:>[include(틀:정의당)]||<:> 48.88% ||<:> 낙선 || ||<|3><:>'''계'''||<:>'''선거인 수'''|| 21,159 ||<|3><:>'''투표율'''[br] 56.68% || ||<:>'''투표 수'''|| 11,993 || ||<:>'''무효표 수'''|| 169 || === [[기본소득당]] === ||<-4><:>[[대한민국 대통령|{{{#ffffff {{{+1 '''기본소득당 제20대 대통령 후보 경선'''}}}}}}]]|| ||<|2><:>'''기호'''||<:>'''이름'''||<:>'''득표수'''||<:>'''결과'''|| ||<:>'''정당'''||<:>'''득표율'''||<:>'''비고'''|| ||<|2> {{{#FFFFFF {{{+5 '''[[진보당(2020년)|[[파일:기본소득당 흰색 아이콘.svg|height=30]]]]'''}}}}}} ||<:> [[오준호|{{{#373a3c,#dddddd 오준호}}}]](吳準鎬) ||<:> 543 ||<:> 찬성 과반수 || ||<:>[include(틀:기본소득당)]||<:> 72.21% ||<:> '''후보 추대''' || ||<|2><:>'''계'''||<:>'''선거인 수'''|| 19,503 ||<|2><:>'''투표율'''[br]3.86%|| ||<:>'''투표 수'''|| 752 || 2021년 10월 12일, [[신지혜]] 당대표가 대선에 후보를 낼 것이라고 밝히고, 후보 발굴위원회를 만들겠다고 한다. 당의 유력 인사 신지혜 대표, 용혜인 의원 모두 40세 이하여서 대선 출마가 불가능하기 때문. [[https://www.gukje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326065|#]] 2021년 11월 4일, [[용혜인]] 의원이 [[이재명]] 후보의 연설에서 기본소득이라는 단어를 찾을 수 없었다고 꼬집으며, 기본소득당이 멈출 수 없는 기본소득 정치를 위해 본격적인 대선 후보 선출 절차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https://www.gukje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341687|#]] 2021년 11월 11일, [[오준호]] 당 기본소득한국네트워크 운영위원이 대선출마를 선언했다. [[https://www.newsis.com/view/?id=NISX20211111_0001647499|#]] 그리고 찬성 과반수를 받아 정식 후보가 되었다. === [[진보당(2020년)|진보당]] === ||<-4><:>[[대한민국 대통령|{{{#ffffff {{{+1 '''진보당 제20대 대통령 후보 경선'''}}}}}}]]|| ||<|2><:>'''기호'''||<:>'''이름'''||<:>'''득표수'''||<:>'''결과'''|| ||<:>'''정당'''||<:>'''득표율'''||<:>'''비고'''|| ||<|2> {{{#FFFFFF {{{+5 '''[[진보당(2020년)|[[파일:진보당 아이콘.png|height=35]]]]'''}}}}}} ||<:> [[김재연|{{{#373a3c,#dddddd 김재연}}}]](金在姸) ||<:> 25,474 ||<:> 찬성 과반수 || ||<:>[include(틀:진보당(2020년))]||<:> 92.56% ||<:> '''후보 추대''' || ||<|2><:>'''계'''||<:>'''선거인 수'''|| 40,164 ||<|2><:>'''투표율'''[br]68.52%|| ||<:>'''투표 수'''|| 27,522 || 2021년 8월 29일부터 9월 3일까지 당원투표를 실시했고, 단독 출마한 [[김재연]] 대표가 대선후보로 선출되었다.[[https://jinboparty.com/pages/?p=14&b=b_1_1&m=read&bn=6576|#]] === [[노동당(대한민국)|노동당]], [[사회변혁노동자당]] === ||<-4><:>[[대한민국 대통령|{{{#ffffff '''사회주의 좌파 공투본'''[br]{{{+1 '''제20대 대통령 후보 경선'''}}}}}}]]|| ||<|2><:>'''기호'''||<:>'''이름'''||<:>'''득표수'''||<:>'''결과'''|| ||<:>'''정당'''||<:>'''득표율'''||<:>'''비고'''|| ||<|2> {{{#FFFFFF {{{+5 '''1'''}}}}}} ||<:> '''이백윤''' ||<:> '''1,698''' ||<:> '''1위''' || ||<:>[include(틀:사회변혁노동자당)]||<:> '''69.6%''' ||<:> '''당선''' || ||<|2> {{{#FFFFFF {{{+5 '''2'''}}}}}} ||<:> [[이갑용|{{{#373a3c,#dddddd 이갑용}}}]](李甲用) ||<:> 462 ||<:> 2위 || ||<:>[include(틀:노동당)]||<:> 18.9% ||<:> 낙선 || ||<|2> {{{#FFFFFF {{{+5 '''3'''}}}}}} ||<:> [[현린|{{{#373a3c,#dddddd 박성철}}}]](朴成哲)[* 평소에는 본명이 아닌 “현린”이라는 가명을 사용한다.] ||<:> 281 ||<:> 3위 || ||<:>[include(틀:노동당)]||<:> 11.5% ||<:> 낙선 || ||<|2><:>'''계'''||<:>'''선거인 수'''|| 4,218 ||<|2><:>'''투표율'''[br]59.6%|| ||<:>'''투표 수'''|| 2,515 || 노동당과 사회변혁노동자당은 '''한국사회 체제전환을 위한 사회주의 좌파 공동투쟁본부'''를 결성해 단일후보를 출마시키기로 했다. == [[제3지대/정당|제3지대 정당]] == === [[국민의당(2020년)|국민의당]] === ||<-4> [[대한민국 대통령|{{{#fff {{{+1 '''국민의당 제20대 대통령 후보 경선'''}}}}}}]]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결과'''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 {{{+5 '''[[국민의당(2020년)|[[파일:국민의당 흰색 아이콘.svg|height=22]]]]'''}}}}}} || [[안철수|{{{#373a3c,#ddd 안철수}}}]](安哲秀) || 비공개 || 찬성 과반수 || || [include(틀:국민의당)] || 92.18% ||<#FFD700> '''후보 추대''' || ||<-4> '''투표율'''[br]19.59% || [[11월 1일]], [[안철수]] 대표가 국민의당 경선 후보로 단독 등록되었다. [[11월 3일]] 아침 8시부터 [[11월 4일]] 오후 2시까지 전당원 상대 온라인 투표를 진행했다. [[11월 4일]], 국민의당 후보 지명 선거에서 찬성 92%를 받고 대선 후보로 선출되었다.[[https://www.yna.co.kr/view/AKR20211104160800001?section=politics/all|#]] === [[시대전환]] === 2021년 9월 16일, [[조정훈(1972)|조정훈]] 당대표가 무소속 [[김동연]] 전 기재부장관을 지지 선언한다. [[https://www.etoday.co.kr/news/view/2062947|#]] 2021년 10월 28일, 김동연 후보가 [[새로운물결]]이라는 새로운 창당 준비위를 꾸린다. 당명부터 조정훈 의원이 추천해준만큼, 두 당이 신설 합당하여, 김동연 후보는 원외정당 기호가 아닌, 원내 정당의 고정적인 기호를 받는 대선후보가 될 가능성이 있다. 2021년 11월 9일, 조정훈 의원이 김동연 캠프의 전략기획본부장을 맡고, 이재명 후보를 비판하는 글을 올린다.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211109500250|#]] === [[새로운물결]] === == 경선 과정을 거치지 않은 정당 == === [[우리공화당]] === [[조원진]] 당대표가 단독 등록했기 때문에 당헌 75조에 따라 경선 없이 후보 적격 심사를 통해 후보를 결정하게 되었고 만장일치의 결과로 조원진 후보자가 20대 대선 우리공화당 최종 후보로 확정되었다. === [[국가혁명당]] === 2019년 8월 15일, 일산 킨텍스에서 창당과 동시에 [[허경영]] 당대표를 대통령 후보로 추대한다. [[https://www.siminsori.com/news/articleView.html?idxno=216121|#]] 2021년 8월 18일, 행주산성 대첩문 앞에서 대선 출마 선언을 한다. [[https://www.yna.co.kr/view/AKR20210817169500001|#]] 2021년 10월 18일, 예비후보 등록을 하면서, 오징어게임 코스프레를 주변에 둔다. [[https://www.chosun.com/politics/politics_general/2021/10/18/74VGD5CXSNGUTDJM62PGQ6MLJA/|#]] 사실상 [[허경영]] 1인 정당에 가깝기 때문에 경선이 필요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 [[신한반도당]] === 2021년 12월 21일, 박정희 전 대통령의 딸이자 박근혜 전 대통령의 동생인 [[박근령]]이 출마를 선언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82/0001132864|#]] 다만 예비후보로도 등록하지 않으며 최종적으로는 출마하지 않았으며, 이후 박근령은 이재명 지지를 선언하였다.